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2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발생하는 주요 버섯파리류를 조사하고, 이의 지역별.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버섯파리류 조사는 1997년 여름버섯재배기인 7~8월과 가을 버섯재배기인 10~11월의 2회에 걸쳐 전국 16곳의 주요 느타리버섯 재배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발생하여 버섯에 피해를 가하는 버섯파리류로서 주용 3종인 Sciaridae, Cecidomyiidae 및 Scatopsidae 파리류를 포함하여 6종이 조사되었으며, 지역 및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중 Lycoriella mali(Diptera:Sciaridae)는 전국적으로 연중 발생하여 가장 문제시 되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또 Coboldia fuscipes(Diptera:Scatopsidae)는 유충이 버섯균사를 가해하였으며, 주로 7~8월에 대량 발생한 후 가을에는 그 발생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유생생식을 하는 Mycophila sp. (Diptera:Cecidomyiidae)에 의한 균상 및 느타리버섯의 오염이 전국적으로 관찰되었는데, 특히 10~11월에 대량발생과 함께 그 피해가 극심하였다.
        4,000원
        127.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에 큰느타리버섯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버섯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pH를 측정 한 결과 대조구보다 버섯첨가구의 pH가 전반적으로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는 pH와 반대로 버섯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정산도가 높았다. 큰느타리버섯 첨가에 따른 김치의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숙성 18일경에 모두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특히 버섯 처리구는 총균수 및 유산균수 모두에서 미생물 억제현상이 관찰
        131.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에 대한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및 면역활성 등의 기능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버섯김치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 및 흰쥐의 간에 대한 TBA가를 측정한 결과 버섯김치가 배추김치보다 항산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데친버섯보다는 생버섯 김치의 효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버섯 김치의 메탄을 추출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32.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 중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김치의 숙성기간에 따른 pH를 측정한 결과 생 느타리버섯 김치는 처음에 대조구인 배추김치보다 높았으나,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값이 배추김치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데친 느타리버섯 김치는 배추김치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는 pH의 경우와 반대현상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생 느타리버섯 김
        133.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느타리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해 PVC wrap과 20 Polyolefin계열의 PD941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한 후 저장온도 , 5, 1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속도가 빠르며, 중량감소율은 저장온도 , 5, 1에서 Polyolefin계열의 PD941 밀봉포장이 PVC wrap 포장보다 중량감소가 훨씬 적었다. 포장내 가스농도중 농도는 PVC wrap포장과 Polyolefin계열의 PD941
        134.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SM으로 무살균 재배를 여러 가지 배지를 혼합하여 균사생장과 밀도, 오염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을 때 옥수수강, 미강, 비트 순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방울솜:옥수수강을 80 : 20(V/V)으로 혼합한 경우가 가장 양호하다. 특히 방울솜에 비트를 10% 이상 혼합하면 균사생장과 밀도가 현저히 불량한 특징이 있다. 둘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40%를 혼합하였을 때 비트, 미강, 옥수수강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방울솜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면자각에 미강을 20%이상 혼합하면 잡균오염도 높아질뿐만 아니라 균사생장과 밀도도 현저히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셋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 우 방울솜:옥수수강:비트를 70:20: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 하였다. 넷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우 면자각:옥수수강:비트를 70:20: 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NSM의 적정 약제 농도별로는 500배가 가장 좋았으나 2,000배액에서도 균사생장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잡균오염율은 희석을 많이 하면 오염율이 높았다. NSM 배지의 적정수분함량은 77%가 적당하였으며, 25℃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사밀도와균사속도가 양호하였다. NSM에 배지를 침지한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한 것이나 32시간 동안 침지한 것이나 동일한 효과가 있었으며 48시간 이상 침지하면 균사속도와 균사밀도가 약간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NSM에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하면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즉 N.S.M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폐면재배에 있어서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 비트, 미강을 혼합하여 균사생장, 균사밀도, 잡균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방울솜에 옥수수강을 20~30% 혼합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76mm/10일 정도로 가장 양호하였고 균사밀도도 양호하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