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1

        142.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ing condition and the point at issue were investigated for utilization as a fundamental data of the Boxthorn research in the growing farm household, which was chief producing district of Box-thorn in Chongyang, Chungmam provin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Lycium fruit wasproduced 445M/. in the 170.4ha. In practical cultivation, major numbers of decapitation were threetimes,, and planting distance was dense planting, and also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as beyondbasic-fertilizer level and number of split application was abundant.Numbers of harvesting were six-ten times, and many labor was requiremented.The issues in cultivation were development of processing technique, supplement of varieties whichhave disease tolerance, superior quality and high yielding, improving of cultivation methods for laborsaving and magnification of demand.
        143.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breed the Boxthorn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in 1984 to 1986(3 years).The character of "Yu seong 1"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and "Yu seong 2"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are fellows;1, The plant type of "Yu seong 1" was semi-elect type but became to electtype after 60C" rediation and yield was decreased because of the number of flowers.2. The yield of "Yu seong 2" was the highest of all varieties.3. The quality(Extract and Betain contents) of "Yu seong 2" was the best ofall varieties and visible character was good.The results of this experinent showed that "Yu seong 1" should be promisinglines in south area because of resistance Ant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orth area.
        144.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약식물로서 중약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구기자의 전지정도에 따른 품질 및 수량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2 ~ '83년 2개년에 걸쳐 "진도재래"를 공시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개화반응은 맹모 - 황엽 - 낙엽 - 개화의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개화되었고, 2. 무전지구에 비해 전지구가 간장이 길고 그에 따른 절수도 많았으며 총 유효분지수가 많아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3. 무전지구에서는 과정이 짧아 과실이 잘고 전지구는 과정이 길고 굵은 충실한 과실이 생산되어 상품가치가 높았다. 4. 10 a 당 수량은 무전지 방치구(76kg)에 비하여 지표면 전지구와 지표면 10 cm 전지구에서 38 ~ 39%의 증수효과가 있어 구기자는 모년 무전하여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5. 구기자 수확회수별 수량은 2회 수확으로 생산량의 85%를 수확할 수 있어 수학노력 절감이 앞으로의 과제라 하겠다.
        147.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수량형질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형 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해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기자의 수양형질중 생과중, 건과중 및 생근중의 유전분산이 가장 크고 년차간의 변동이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변동은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건과율 및 건근중률을 제외한 모든 수양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생과중, 건과중, 생근중, 건근중 및 지골피수량양에서 매우 높았고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생과중과 건과중, 생근중과 지골피, 생근중과 지골피비율, 건근중과 지골피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도 높고 연차간의 변동도 적 었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 간접으로 효과를 크게 미치는 형질은 생근중이었다.
        150.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지골피수량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한 연차간변동을 알고자 1979년, 1980년, 1981년, 3개년간 생산력검정 시험성적을 이용하여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실용형질중 경장, 1차분지장의 유전분산이 가장크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의 형질들이 연차간과 품종간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연차와 품종간의 교호작용에서도 경장의 형질에서 만이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모든 형질들이 유전력이 매우 높았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지골피의 수량과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간에는 정의 상관이며 연차간변동도 적었고 지골피와 근중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효과가 크게 미치는 형질은 경장, 1차분지장 및 근중이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