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41.
        199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ell wall components of fruit include cellulose. hemicellulose, pectin, glycoprotein etc., and the cell wall composi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kind of fruit. Fruit softening occurs as a result of a change in the cell wall polysaccharides : the middle lamella which links primary cell walls is composed of pectin. and primary cell walls are decomposed by a solution of middle lamella caused due to a result of pectin degradation by pectin degrading enzymes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During fruit ripening and softening, contents of arabinose and galactose among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are notably decreased, and this occurs as a result of the degradation of pectin during fruit repening and softening since they are side-chained with pectin in the form of arabinogalactan and galactan Enzymes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the cell wall include polygalacturonase, cellulose, pectinmethylesterase, glycosidase, etc.,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chang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ripening and softning of fruit. Among cell wall-degrading enzymes, polygalacturonase has the greatest effect on fruit softening, and its activity Increases during the maturating and softening of fruit. This softening leads to the textural change of fruit as a result of the degrada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by a cell wall degrading enzyme which exists in fruit.
        142.
        199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chromatograms of polysacctatides and soluble pectins on Sephadex G-50 and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ell wall of persimmon fruits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and -galactosidase in vitro. The chromatogram pattern of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galactosidase on Sephacryl S-500 column were similar to those of untreatment, but contents of soluble pectins treated with -galactosidas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untreatment. The patterns of chromatograms In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ere more complex and lower molecular polymer than those of other cell wall-degrading enzyme treatments. Non-cellulosic neutral sugar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of soluble materia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as rhamnose, those in fraction I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I and contents of arabinose, xylose and glucose were higher than contents of othe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in soluble material by -galactosidase treatment wer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and mannose. Content of glucose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I was higher than that in fraction I .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treated with mixed enzyme wer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e. Compositions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 and III.
        143.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시비수준이 Oxida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OPPP)와 Nitrate Rdeuctase (NR), Nitrite Rdeuctase(NiR), Glutamine Synthetase1 (GS1 ) 및 Glutamine Synthetase2 (GS2 ) 활성도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암조건하에서 6일간 생육시킨 완두의 부위별 또는 crude extract와 순수분리 한 plastid 별 효소 활성도를 분석 검토한 결과, 1. NR의 r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와 단백질 1mg당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생체 1g 당 활성도는 거의 비슷한 반응을 나타내 NO3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증가하여 생체 1g당 NR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는 5mM에서, NR의 단백질 1mg당 NR 활성도는 10mM에서 각각 그 최고치에 각각 도달하였다가, 이후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저하하여 50mM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2. NR의 shoot부위의 생체 1g당 활성도와 단백질 1mg 당 활성도, NiR의 root 및 shoot부위의 단백질 1mg당 활성도는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활성도가 induction되었으며, NR의 생체 1g당 활성도는 50mM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4.8배, 단백질 1mg 당 활성도는 25mM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5.0배까지 상승하였다. 3. Crude extract의 총 GS specific activity가 plastids의 GS2 specific activity에 비해 월등히 많았으며, crude extract의 총 GS specific activity 대 plastids의 GS2 specific activity의 비율은 뿌리의 3.0-4.3에 비해 shoot는 3.2-10.6으로 Shoot에서 NO3 처리농도에 따라 활성도비율의 차이가 더 컸다. 4. 고수준의 NO3 처리구에서 과다한 NO3 influx에 의한 NR, NiR, GS1 , GS2 , 등의 효소활성도가 억제되었다. 5. OPPP만을 통해서도 식물체내의 NO3 의 환원이나 동화를 위한 NR, NiR, GS1 , GS2 활성도의 발현에 필요한 환원제와 ATP 충분히 공급될수 있었다.
        144.
        199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종자의 개갑처리과정중 종자단백질 및 몇가지 효소의 전기영동변이를 처리단계별로 조사하여 배의 분화 및 발육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1. 종자단백질에서는 처리종료시까지 8개의 band를 보였는데 Rf 치가 0.12, 0.24, 0.66 및 0.72의 band는 농염인채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나머지 4개의 band는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옅어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처리후 75일부터 분리채취한 배에서는 Rf 치가 0.76인 band를 확인할 수 없었다. 2. Peroxidase는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band의 수가 증가하여 처리후 45일에는 4개의 band를 보였고 그들의 색조는 처리종료시까지 짙어지는 경향이었으며 배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3. Esterase는 모두 4개의 band를 보였는데 처리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Rf치 0.36의 band는 점차 짙어지는 경향이었고 Rf치 0.56의 band는 반대로 점차 옅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처리후 95일에는 종자(배분이전의 것)에서 소멸되었던 Rf치 0.20의 band가 배에서 선명하게 나타났다. 4. Glutamate dehydrogenase는 처리후 60일에만 나타난 Rf치 0.16의 band와 전조사기간에 걸쳐 나타난 Rf치 0.14의 band만이 확인되어 단조로운 양상을 보였으며 배에서는 후자만이 나타났다. 5. 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는 분리채취한 배를 포함하여 채종시부터 처리종료시까지 Rf 치 0.36의 band가 유일한 것으로서 매우 단조로웠다.
        145.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하의 조직부위별 배양기간에 따른 단백질 및 4종의 중요 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적 특성이 비교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조직 유내 Callus의 단백질 pattern 은 야생식물체 각 조직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2. 각 조직 유내 Callus의 Esterase isozyme pattern은 야생 식물체 각 조직과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3. 각 조직 유내 4주 배양 Callus의 GOT isozyme pattern은 야생식물체 각 조직과 비슷하였으나 배양 8주 Callus에서는 분자량이 큰 새로운 isozyme band 1개가 출현하였다. 4. 각 조직 유내 4주 배양 Callus의 Peroxidase isozyme band pattern 에서는 야생식물체 총 기관에서 출현했던 1개의 분자량이 작은 band 가 나타나지 않았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