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earthed literature databases such as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 objects of Shang, Zhou Dynasties, Chu Slips of Warring States Period, bamboo slips and stone inscriptions of Qin and Han Dynasties, which have the property of one-time writing, can reveal some problems in the use of “annotation” words when compared with related handed down texts. The issue of stratification involving the attributes of the times and the annotations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re often neglected habitually. This kind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s an important basic subject for mining language and character knowledge as well as forming a knowledge base for development history of characters. Even for chronological questions discussing the writing of relevant texts, some analysis thoughts may be offered.
Li Shan annotated Shi Ji and wrote “Shi Ji Yue” with his annotation convention, mostly annotating characters and geography, and further citing Shi Ji when neede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Hukejia engraving printed by Zhonghua Shuju in 1977, the annotations of Shiji in Wenxuan Lis’ are Xuguang, Zhangyan, Peiyin, Wang Su, Wei Zhao, Xu Shen, Guo Pu, Qiao Zhou, He Xiu, Zan, Zheng Xuan, Ru Chun, Jinzhuo and Ying Shao. Most of these annotations can be found in Shiji Jijie. However, Xu Guang, Zhang Yan, Pei Yin, Wang Su and Wei Shao, their notes differ from those of today’s books. According to the collation of documents, Li Shan must have referred to the Tang Dynasty manuscript Shi Ji, the Nan Dynasty manuscript Shi Ji and Pei Yin’s Shiji Jijie when he quoted Shi Ji. In additio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referring to Xu Guang’s ShiJi Yinyi. The Tang manuscript is close to the original annotation of Shiji. Therefore, we can find that Li Shan’s annotation preserved the annotation which is difficult to find today.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협력원리를 통하여 『史記』 대화문에 출현하는 표경부사(表 敬副詞) ‘幸’의 함축 의미를 분석하고 어떠한 한국어 번역으로의 화행 표현이 효율적 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幸’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고, 화자와 청자의 맥락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경부사로 사용되 었을 때 ‘幸’은 단순히 허사의 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前後 맥락의 함축 정보에 따라 표현이 각각 달라지기도 한다. 해석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같은 구조, 어휘적 으로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각각 내포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본 논고는 『史記』중「本紀」,「世家」,「列傳」의 대화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라이스(Grice)의 대화협력원리 이론을 통해 화자의 화용양상을 살펴보았다. 협력원리로 화자의 대화를 분석해 보면 화자의 의도가 표면적 사전중심의 의미만이 아닌 이면의 함축적 정보에 의해 청자에게 효과적인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축은 화용론에서는 특히 중요한 개념이다. 기존의 통사론과 의미론이 문장 혹은 표면적 연구에 머물러 있었다면 화용의 관점에서는 발 화를 통해 화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에 더 큰 비중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존의 연구와 번역에서 청자에 해당하는 독자에게 제공된 表謙副詞 “竊”과 “伏”의 부족한 함축적 정보를 알아보고 고전원문의 직역이 아닌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으로써의 대안을 살펴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