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仁祖反正(1623)으로 쇠퇴하기 시작한 남명학파는 戊申亂(1728) 이후 강우지역 에 대한 경계와 불신이 짙어지면서 더욱 위축되더니, 끝내 과거의 영광을 회복 할 기회도 얻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잊혀야 했다. 눌암 박지서가 한창 활 동하던 시기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으로, 남명학의 쇠퇴가 150년 이상 지 속되고 나아질 기미조차 없던 시기였다. 눌암은 가계·학문·지역적 연원으로 보아 남명학적 성향이 다분히 드러날 수밖 에 없는 여건이었지만, 정치적으로 배제된 지역의 在地士族으로서 문중을 살리기 위해서는 현실적 대세를 비켜갈 수 없었다. 이에 진주지역에 세거한 눌암의 문중도 증조부 때부터 南人化 성향을 드러냈고, 눌암에 이르러 더욱 폭넓은 교유를 통한 남인화가 이루어졌다. 그에게서 보이는 退溪 중심의 治學 방법이나 문학작품에서 남명학 관련 언급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점 등이 이러한 문중적 성향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눌암이 강우지역 남명학파적 성향을 버리고 남인으로서의 특성 만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가계·학문·지역적 여건에 의해 계승된 남명학파적 성 향 위에 남인화 성향이 보태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눌암이 평생 이룩한 수많은 지적활동은 강우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강우지식인의 오랜 염원 인 南冥의 文廟從祀 請願을 주도하였고, 침체된 진주지역의 鄕學風 쇄신을 위해 향교와 서원 등의 교육시설 중건에 앞장섰으며, 남명학파의 시련과 함께 역사에 묻혀버린 지역 선현의 삶을 찾아 기록으로 남기려는 노력들이 이를 증빙하고 있 다. 적어도 그의 생애에 드러난 활동으로 평가한다면, 눌암은 남명학파적 성향 을 지닌 江右學者였다고 하겠다.
        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退休 姜獻之는 肅宗 대에 仕宦한 宜寧의 인물이다. 출처의 대절에 돈독하여 당시 권력 장악의 다툼 속에서 결연히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당호를 退休라 짓고 「漁樵問答」을 지어 자신의 뜻을 표출하였다. 본고는 퇴휴가 혼란한 정국에서 居官하면서도 禍를 입지 않고 온전하게 생애를 마칠 수 있었던 점에 착안하여 그의 남다른 지취에 주목하였다. 그 핵심 요인은 바로 퇴휴가 자신의 호로 삼은 退休라는 의미 속에서 찾을 수 있었다. 퇴휴가 忽忽히 퇴처할 수 있었던 이유는 출사하여 유자로서의 포부는 웅대하였으나 功績과 職位에는 마음을 두지 않고 언제든 퇴휴할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즉 인생을 관조하면서 삶의 한 지표였던 퇴휴의 의미가 마음에 각인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러날 때를 알고 퇴처할 수 있었다. 퇴휴는 어버이를 天地와 같은 존재로 여기며 부모님께 事親의 예와 자신의 愛敬을 다하고자 하였다. 학문에 뜻을 두었을 때 역사서를 탐독하여 작자의 법도를 터득하고 사리판단을 하는 분별력을 키웠다. 논의가 直截하였고 大義를 우선하여 쉽게 남을 따르지 않았다는 후인의 평가는 史書에서 받은 영향의 일면이다. 퇴휴의 지취를 살펴보면 첫째 일상을 중시한 면모가 드러난다. 訓蒙을 위해 『小學』을 표준으로 내용을 절취하여 실천이 실제에 번거롭지 않도록 「擊蒙家訓」을 지었다. 고원한 이치의 탐구가 아닌 언행을 단속하며 예로써 자신에게 엄격하였던 퇴휴의 일상이 엿보였다. 둘째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면서 閑居하는 삶을 보여주었다. 벼슬살이에서 퇴처하지 않아 재앙을 당한 역사적 인물을 당대 관료들에게 견주며 만족과 知止를 명심하였다. 따라서 만년에 인생을 반추하고 자연과 더불어 한거하며 自足할 수 있었다. 셋째 靜慮를 통해 마음을 수양하며 樂志하는 삶을 추구하였다. 퇴휴는 본디부터 맑고 밝은 본심을 깨닫기 위해 생각을 고요히 하는 것을 우선하였다. 이러한 과정의 수양을 통하여 정신적 지표를 확고히 해 진정으로 즐기는 삶을 추구할 수 있었다. 퇴휴는 어디에 있든 마음의 가짐에 따라 자신이 있는 곳이 桃源이라고 하여 무한한 정신 경계와 은일한 삶을 지향한 자취를 남겼다.
        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뇌계는 忠孝淸儉하고 沈重簡嚴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시를 지나치게 좋아하였 고, 眞醇한 儒者로서 忠義를 분발하였으며, 현실세계에 살면서도 늘 物外의 仙 界를 동경하였고, 圭角이 없는 성품에 達觀의 세계관을 지녔던 인물이다. 그는 詩癖이 있을 정도로 시를 탐닉하였고, 당대를 요ㆍ순 시대로 만들고 싶은 포부 를 갖고 있었으며, 身病과 客苦로 고향을 끝없이 그리워하였고, 현실세계와의 불화를 달래기 위해 物外의 仙界를 정신적 귀의처로 삼았다. 이런 점이 그의 志 趣다. 뇌계는 金宗直의 문인이며 성종조 신신자류로서, 당대의 모순을 개혁하여 새 로운 시대를 만들고 싶은 士意識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백성들에 대한 애정 과 재난에 대해 우려하였으며, 불교의 폐단을 인식하고 배척하였으며, 현실제 도의 모순을 개혁하는 데 동참하였다. 뇌계의 處世觀은 그의 개인적 사유와 정 치적 사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귀향의식으로 집결된 다. 그리고 이런 귀향의식의 저변에는 物外의 세계를 꿈꾸는 정신적 지향이 자 리하고 있다. 뇌계의 詩風은 黃庭堅ㆍ陳師道ㆍ陳與義 등 江西詩派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는 方回의 一祖三宗說을 수용하여, 황정견ㆍ진사도ㆍ진여 의를 통해 杜甫에 도달하는 시문학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氣豪意豁한 蘇軾의 시풍에서 벗어나 唐詩風에 접근할 수 있었다. 뇌계의 시에는 사찰ㆍ유 적지ㆍ객지 등에서의 所懷를 노래하거나 벗ㆍ승려 등에게 內面의 情緖를 보여 준 시편들이 많다. 이 글에서는 歷史에 대한 回顧, 民生에 대한 愛情과 憂慮, 故 鄕에 대한 그리움, 物外의 仙界 志向 등을 시세계의 주요 성향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