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nqie (反切) is a traditional method of indicating the pronunciation of a Chinese character by using two other Chinese characters, one having the same consonant as the given character and the other having the same vowel (with or without final nasal) and tone. There are seven problematic aspects regarding Fanqie (反切) phonetic notation of polyphonic characters in The Grand Chinese Dictionary, 漢語大詞典. The first, the cited Chinese characters used as phonetic notations are wrong; the second, the attributions of phonological status about some polyphonic characters are not correct; the third, one or two phonetic notations are missing among several pronunciations of the polyphones; the fourth, the materials for phonetic evidences are neglected; the fifth, the evidences of some ancient sounds are lagging because of not finding the earliest evidence in citing ancient sound; the sixth, the main sounds and the secondary ones are reversed; and the last,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s are not appropriate in some Fanqie phonetics.
        4,5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西字奇蹟』은 마테오 리치에 의해 작성되고 1605년에 간행된 문서이며 한자에 대한 로마 자 발음 표기가 실려 있다. 로마자 발음 표기는 명대 말기의 중국어 음운 체계에 관한 정보 를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 로마자 발음 표기를 분석하여 명대 말기의 중국어 성모 체계의 특징을 살펴 보려고 하였다. 첫째, 탁음의 청화와 송기음화, 非敷奉母의 합류, 微 母 일부 글자들의 영성모화, 疑母의 일부 글자들의 영성모화와 影母, 喩母와의 합류, 知組와 章組의 합류, 莊組는 精組의 합류, er 음절의 변화 등을 반영하고 있다
        4,900원
        3.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이음에 대한 어종의 반응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어, 쥐치, 검복 등의 식이음을 녹음하여 이들의 주파수와 음압준위를 구하고 이들 식이음을 수조에 다시 방성하여 공시어들의 반응행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어, 쥐치, 검복의 식이음의 주파수범위는 각각 80~350 Hz, 100~300 Hz, 250~500 Hz이고, 음압 준위는 각각 101~108 dB, 102~112 dB이다. 2) 공시어에게 양의 주음반응을 일으키게 하는데는 측정음압보다 20 dB 정도 증가시켜 방성하는 것이 효과적 이였다. 3) 농어는 식이음에 대한 양의 주음반응이 강하나 쥐치와 검복은 약하다. 4) 공시어는 방성 후 5분까지는 양의 주음반응을 나타내나 5분 이후부터는 음의 주음반응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4,000원
        4.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 가지 어류와 갑각류의 식이음과 울음소리를 분석하고, 그 소리를 방음할 때의 주음반응을 조사 연구하였다. 1. 어류의 식이음의 주파수는 참돔(Chrysophrys major)과 말쥐치(Navodon modestus)는 63~125Hz로서 낮고, 까치복(Fugu xanthopterus)은 400~500Hz로서 높으며, 소조기(Nibea albiflor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는 그들의 중간인 125~250Hz이였다. 말쥐치와 참돔의 식이음과 음압은 55~59db로서 낮고, 까치복은 60~64db로서 높으며, 소조기와 방어는 57~62db로 이들의 중간이었다. 2. 수조기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125~250Hz로서 식이음과 같으나, 음압준위는 62~63db로서 식이음보다 높았다. 3. 갑각류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왕게(Scylla serrata)가 125~250Hz로서 낮고, 민꽃게(Charybdis japonica)와 왕밤송이게(Telmessus acutidens)가 500~1,000Hz로서 높으며,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는 250~500Hz로서 그들의 중간이었다. 음압준위는 왕게가 68~70db로서 높고, 꽃게, 민꽃게와 왕밤송이게는 54~61db로써 낮았다. 4. 수조기와 방어의 식이음에 대한 주음률은 56~87%였으며, 말쥐치와 까치복은 주음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수조기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률은 52~63%였다. 5. 수조기, 방어, 까치복, 말쥐치, 참돔 등은 주파수가 50~9,000Hz인 정현파에는 주음하지 않았다. 6. 꽃게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은 대형군(갑폭 15.1~18.5cm)이 방음할 때, 소형군(8.5~12.5cm)의 주음률(13~58%)보다는 소형군이 방음할 때 대형군의 주음률(44~98%)이 높았다. 중소형군(각폭 8.5~15.0cm)까지는 암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88~100%)은 암컷의 주음률(56~91%)보다 높은 편이며, 수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19~63%)보다 암컷의 주음률(66~100%)이 높은 편이었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