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수산해양기술연구 KCI 등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韓國漁業技術學會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14권 1호 (1978년 3월) 4

1.
197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1961년(年)부터 1974년(年)까지 (1966년제외(年除外) 13년간(年間)의 열수지(熱收支)를 산출(算出)하고 이 기간(期間)동안 하계동지나해(夏季東支那海)에서의 황해(黃海) 냉수(冷水) 세력(勢力)과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해상(黃海上)의 일사량(日射量)은 동계중(冬季中) 12(月)이 가장 낮아 약 160~190ly/day이고, 1월(月)과 2월(月)로 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여 2월(月)에는 250~260ly/day로서 12월(月)에 비(比)하여 79~90ly/day가 컸다. 동계(冬季) 일사량(日射量)의 년별변화량(年別變化量)은 약 50 ly/day 이하(以下)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해면(海面)에서의 장파복사량(長波輻射量)이 유효일사량 보다 12월(月)에는 30~70ly/day, 1월(月)에는 27~46ly/day 정도 크게 나타났으나, 2월(月)에는 반대(反對)로 20~30ly/day 정도 작게 나타났다. (3) 일사량(日射量)에서 해면반사량(海面反射量)과 해면복사량(海面輻射量)을 뺀 값은 100 ly/day 이하(以下)이고, 12월(月)과 1월(月)에는 (-), 2월(月)에는 (+)로 나타나며, 3개월간(個月間)의 평균(平均)은 약 -20 ly/day정도이다. (4) 현열방출량(顯熱放出量)과 증발열량(蒸發熱量)을 합한 값은 1963년(年) 1월(月)이 최고(最高)였고 (882 ly/day), 1961년(年) 2월(月)이 최저(最低)였다.(471 ly/day). (5)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잃어버린 총열량(總熱量)은 1962년(年)이 평균(平均) 588 ly/day로서 최저(最低)이며, 1968년(年)에 716 ly/로서 최고(最高)였다. (6) 1971년(年) 8월(月)에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표층수(表層水)는 여러 종류로 분류(分類)되나, 30m 이심(以深)에서는 수온(水溫)이 6.4˚~13.2℃, 염분(鹽分)이 33.17%˚ 이상(以上)으로서 다같이 저온(低溫)의 성질(性質)을 띠고 있다. (7) 평균(平均) 수온분포도(水溫分布圖)에서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적산수온(積算水溫)을 냉수지수(冷水指數) 50m층(層)의 지수(指數)를 수평지수(水平指數), 32˚N의 20m 이심층(以深層)의 지수(指數)를 수직지수(垂直指數)라 하면, 1962년(年)의 경우 수평지수(水平指數)가 1.86, 수직지수(垂直指數)가 3.18로서 냉수지수(冷水指數)가 5.04였고, 1968년(年)의 경우에는 냉수지수(冷水指數)가 -3.21였다. (8) 냉수지수(冷水指數)에서 11월하순(月下旬)의 황해(黃海)의 수온(水溫)의 표준편차(標準偏差)를 뺀 값 C-T'w와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Tw'=32.06-0.049QT이고, 그상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94이다. 또 수평지수(水平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값 Ch-T'w/2, 수직지수(垂直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 값 Cv-T'w/2와 열수지(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h-T'w/2=12.20-0.019QT Cv-T'w/2=18.07-0.027QT이고, 그 상관계수(相關係數)는 각각(各各) 0.90 및 0.97이다. 이 결과(結果)로서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의 열수지(熱收支)와의 하계(夏季)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황해(黃海) 냉수세력(冷水勢力)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높음이 밝혀졌으므로,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를 계산(計算)하고, 11월(月) 하순(下旬)의 황해수온(黃海水溫)만 알면 하계(夏季) 황해(黃海)의 냉수세력(冷水勢力)을 예측(豫測)할 수 있어 어장(漁場) 선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4,600원
2.
197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 가지 어류와 갑각류의 식이음과 울음소리를 분석하고, 그 소리를 방음할 때의 주음반응을 조사 연구하였다. 1. 어류의 식이음의 주파수는 참돔(Chrysophrys major)과 말쥐치(Navodon modestus)는 63~125Hz로서 낮고, 까치복(Fugu xanthopterus)은 400~500Hz로서 높으며, 소조기(Nibea albiflor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는 그들의 중간인 125~250Hz이였다. 말쥐치와 참돔의 식이음과 음압은 55~59db로서 낮고, 까치복은 60~64db로서 높으며, 소조기와 방어는 57~62db로 이들의 중간이었다. 2. 수조기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125~250Hz로서 식이음과 같으나, 음압준위는 62~63db로서 식이음보다 높았다. 3. 갑각류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왕게(Scylla serrata)가 125~250Hz로서 낮고, 민꽃게(Charybdis japonica)와 왕밤송이게(Telmessus acutidens)가 500~1,000Hz로서 높으며,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는 250~500Hz로서 그들의 중간이었다. 음압준위는 왕게가 68~70db로서 높고, 꽃게, 민꽃게와 왕밤송이게는 54~61db로써 낮았다. 4. 수조기와 방어의 식이음에 대한 주음률은 56~87%였으며, 말쥐치와 까치복은 주음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수조기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률은 52~63%였다. 5. 수조기, 방어, 까치복, 말쥐치, 참돔 등은 주파수가 50~9,000Hz인 정현파에는 주음하지 않았다. 6. 꽃게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은 대형군(갑폭 15.1~18.5cm)이 방음할 때, 소형군(8.5~12.5cm)의 주음률(13~58%)보다는 소형군이 방음할 때 대형군의 주음률(44~98%)이 높았다. 중소형군(각폭 8.5~15.0cm)까지는 암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88~100%)은 암컷의 주음률(56~91%)보다 높은 편이며, 수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19~63%)보다 암컷의 주음률(66~100%)이 높은 편이었다.
5,800원
3.
197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ptical properties were studied in the costal water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based on twenty oceanographic stations from 1 st to 9 th February, 1977. Submarine daylight intensity was measured by using an underwater luxmeter (Toshiba No.9). Daylight intensity in the upper 30m depth layer was measured at 1 m depth interval.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ea water in the area ranged from 0.101 to 2.539 (mean 0.578). The Secchi-disc depth in the area ranged from 0.8 to 13 meters (mean 5.33 me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coefficient (K) and transparency (D) was k= 1. 704/ D. The mean water color in the area was 5. 75 (3-9) in Forel scales. The rates of light penetration for daylight at 1m layer in the area ranged from 13.18 to 82. 05% and the mean was 59.56%, while the rate at 5m layer ranged from 0.007 to 46.1% and the mean was 18.47%.
4,000원
4.
197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법중 활성 슬러시지 공법의 수학적 해법에 관한 연구는 Michaelis-Menton, Monod, Eckenfelder, McKinney 등에 의하여 개발되어왔다. 이들에 의해서 개발된 수학적 모델은 각기 연구되어 온 측면이 서로 다르고, 사용된 기호가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본연구는 각기 수학적 모델을 이론적, 단편적으로 분석하고, 각기 모델에서 사용된 기호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각기모델을 통일시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노력하였다. 실제로 모형실험에는 Aeration Only Activated Sludge 공법을 채택하고 시료는 Glutamic acid 폐수로 행하였다. 실제로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치와 각기모델의 계산치를 1) 유기물제거속도 2) 슬럿지생산비 3) 유출수에 관리되지 않고 남은 유기물농도 4) 폭기조내 산소요구량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본연구에서 시행한 운전결과와 그분석으로부터 McKinney와 Eckenfelder의 모델은 활성슬럿지공법의 생물학적 관리시설의 설계요소들을 모두 구할수 있으나 Michaelis-Menton과 Monod의 모델은 모든 요소들을 구할수 없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