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1.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어, Cyprinus carpio [Linnaeus]의 체장에 따른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체장 범위 (10~15, 15~20, 20~25cm)에서의 심전도를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16~18℃ 수온에서 3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마취상태와 안정상태로 구분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장이 10~15 cm인 경우, 마비상태 (0~9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3.4 beat/min, 야간에 45.9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38 μ V, 야간에 3.64 μ 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 (9~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9.4 beat/min, 야간에 67.4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3.82 μ V, 야간에 3.50 μ V로 나타났다. 2 체장이 15~20cm인 경우, 마비상태 (0~5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2.2 beat/min, 야간에 45.4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13 μ V, 야간에 3.95 μ 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5~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7.6 beat/min, 야간에 65.3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58 μ V, 야간에 4.61 μ V로 나타났다. 3. 체장이 20~25 cm인 경우, 마비상태(0~4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7.5 beat/min, 야간에 47.5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81 μ V, 야간에 4.20 μ 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4~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7.5 beat/min, 야간에 64.8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5.31 μ V, 야간에 4.90 μ V로 나타났다.
        4,000원
        2.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기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 가지 전기자극원(20, 30, 40 Vp ; 10 msec)으로 실험어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자극 전(마취상태, 안정상태)과 자극 후(자극-회복상태, 회복상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 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의 평균상심박수는 서간에 45.8 beat/min, 야간에 45.0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서간에 1.76 μ V, 야간에 1.75 μ V였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①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34.9 beat/min, 야간에 33.4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6.0 beat/min였으며, 40Vp인 경우 서간에 38.0 beat/min, 야간에 36.4 beat/min로 나타났다. ②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45.5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47.9 beat/min, 야간에 49.0 beat/min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51.4 beat/min, 야간에 50.7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①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Vp인 경우, 서간에 2.54μ V 야간에 2.39μ V였고,30Vp인 경우, 서간에 3.30μ V, 야간에 2.30 μ V였으며, 40Vp 인 경우 서간에 6.05 μ V, 야간에 3.23 μ V로 나타났다. ②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1.92 μ V, 야간에 1.95 μ V 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2.78 μ V, 야간에 2.21 μ V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3.60μ V 야간에 2.98μ V로 나타났다.
        4,000원
        3.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6~18℃ 수온에서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광자극 (10, 100, 400 luχ)에 대한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연속적으로 조사한 심전도를 상태별로 분석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 평균심박수는 서간에 47.6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평균생체 전위는 서간에 1.04 μ V, 야간에 1.24 μ V로 나타났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① 자극상태에서, 10 luχ인 경우 서간에 39.7 beat/min, 야간에 38.2 beat/min였고, 100 luχ인 경우 서간에 38.7 beat/min, 야간에 36.9 beat/min였으며, 400 luχ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5.8 beat/min로 나타났고, ② 회복상태에서, 10 luχ인 경우 서간에 47.1 beat/min, 야간에 46.0 beat/min였고, 100 luχ인 경우 서간에 47.2 beat/min, 야간에 45.6 beat/min였으며, 400 luχ인 경우 서간에 48.1 beat/min, 야간에 46.6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① 자극상태에서, 10 luχ인 경우 서간에 1.22 μ V, 야간에 0.71μ V였고, 100 luχ인 경우 서간에 0.63 μ V, 야간에 0.90 μ V였으며, 400 luχ 인 경우 서간에 1.39 μ V, 야간에 1.63 μ V로 나타났고, ② 회복상태에서, 10 luχ인 경우 서간에 1.26 μ V, 야간에 1.59 μ V였고, 100 luχ인 경우 서간에 2.63 μ V 야간에 3.65 μ V였으며, 400 luχ인 경우 서간에 2.52 μ V, 야간에 3.67 μ V로 나타났다.
        4,000원
        4.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 자극에 대한 향어, Cyprinus carpio [Linnaeus]의 심전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광 자극 (10,100,400 lux)에 대하여 심전도를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연속적으로 조사한 심전도를 현황별로 분석한 심전수와 생체전위는 다음과 같다. 1. 향어는 마취후 5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 평균심전수는 주간에 64.9 beat/min, 야간에 65.3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36.9 nV, 야간에 32.9nV로 나타났다. 2. 자극별 평균 심박수는 1) 자극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68.7 beat/min, 야간에 46.0 beat/min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53.4 beat/min, 야간에 44.1 beat/min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53.2 beat/min, 야간에 40.1 beat/min로 나타났고, 2) 회복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67.9 beat/min, 야간에 57.2 beat/min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68.8 beat/min, 야간에 61.0 beat/min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69.6 beat/min, 야간에 63.6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1) 자극상태에서, 10lux인 경우 주간에 59.1 nV, 야간에 24.0 nV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26.8 nV, 야간에 45.6 nV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71.7 nV, 야간에 14.4 nV로 나타났고, 2) 회복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38.8 nV, 야간에 27.3 nV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29.0 nV, 야간에 39.3 nV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66.1 nV, 야간에 21.4 nV로 나타났다.
        4,000원
        5.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치망 원통의 거동을 장기선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류식 수중위치측정시스템을 제작하고, 그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조기 (2000. 10. 6)와 대조기 (2000. 11. 28)에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에서 4개의 트랜스폰더는 원통의 남북방향으로 부착시키고, 1개의 트랜스폰더는 해저에 고정시켰다. 그리고, 원통까래의 상하진동은 3개의 테이터로거를 원통의 동서방향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시켜 대조기에 관측하였다. 소조기에 측정한 원통의 동서방향, 남북방향, 상하방향의 변화폭은 각각 3.2 m, 3.4 m, 2.1 m이었고, 대조기에는 각각 7.8 m, 7.8 m, 5.0 m로 소조기보다 2.3배 이상 컸다. 원통까래의 상하진동폭은 비탈그물에 가까운 쪽이 3.2 m, 중앙부가 3.7 m, 머거리쪽이 8.4 m이었다. 전반적으로 유속이 10 cm/s 이상일 때와 흐름의 방향이 원통의 길이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 까래의 심도 감소와 상하진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해저에 고정시킨 트랜스폰더를 사용하여 수파기 좌표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 정치망 사개에 부착한 수파기라도 흐름에 의해 그 좌표가 수 m 정도 변함을 알 수 있었고, 정치망의 거동 측정시 이러한 좌표의 변동을 보정하여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3차원 수중위치측정시스템의 위치오차는 가두리에서 측정한 결과, x축, y축, z축이 각각 0.6 m, 0.8 m, 1.2 m이었고, 기선의 내부이거나 기선에 가까울수록 작았다.
        4,200원
        6.
        199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Amberjacks, Seriola quinqueradiata [TEMMINCI et SCHLIBEL] to the surface attracting lamps (0.5W, 0.8W, 1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 L×58W×73Hcm).The attracting rate was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5 minute) when each of the attracting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1. Total distribution rate of fish in the illuminated section was 92.4% (mean 18.5%)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95.8% (mean 19.2%) in case of 5 minutes interva.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19.0% in 1W, 18.4% in 0.5W, and 18.0% in 0.8W respectively. 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19.5% in 1W, 19.2% in 0.5 W, and 18.8% in 0.8W respectively.3. Attracting rates of the last section showed very much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d,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of attracting rates according to interval and lighting source. 4. Attracting rate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 Attracting rate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97.0% in 1W, 86.0% in 0.8W and 74.0% in 0.5W respectively. Attracting rate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97.3% in 1W, 90.0% in 0.5W and 88.0% in 0.8W respectively.
        4,000원
        7.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Yoroi-mebaru, Sebastes hubbsi [MATSUBARA] to the underwater attracting lamps (0.5 W, 0.8 W, 1 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 L x 58 W x 73 H cm). The attracting rat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 5 minutes) when each of the underwater attracting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 follows: 1. Distribution rates of fish in the illuminated area was 35.7 %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50.3 %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circled1 Distribution rates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9.8 % in 1 W, 6.5 % in 0.8 W and 5.1 % in 0.5 W, respectively. \circled2 Distribution rates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15.6 % in 1 W, 8.5 % in 0.5 W and 6.1 % in 0.8 W, respectively. 3. Attracting rates of the last section showed a little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d. A difference of attracting rates according to lighting source in 5 minutes interval were bigger than that in 1 minute interval. 4. Attracting rates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circled1 Attracting rates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30.0 % in 0.8 W, 16.0 % in 1 W and 8.0 % in 0.5 W, respectively. \circled2 Attracting rates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56.0 % in 1 W, 30.7 % in 0.5 W and 10.7 % in 0.8 W. respectively.
        4,000원
        8.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치 Stphanolepis cirrhifer의 선시력을 구하기 위하여, 표적물거리 100cm, 광환경 5가지(400,20,3,1,lx)및 표적물의 굵기(8.0~0.2mm)12가지 조건하에서 행동학적 수법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쥐치의 학습교과는 실험회수가 210회이상에서 시인율이 80%이상이였고, 도달시간이 4~5초로 안정되었따. 2. 시인율은 표적물의 굵기가 굵고 겉보기 콘트라스트가 클 때 높았으나, 1lx이하에서는 대체로 낮았다. 3. 시인한계선의굴기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굵었는데, 400lx의 경우가 0.24m로 가장 가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30mm, 5lx인 경우 0.40mm, 3lxmm, 5lx인 경우가 2.87mm로 가장 굵었다. 4. 시인한계선의 굵기에 대한 겉보기 콘트라스트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400lx와 20lx인 경우 0.01로 가장 작았으며, 5lx와 3lx인 경우는 각각 0.02와 0.03이였으며, 1lx의 경우가 0.09로 가장 컸다. 5. 쥐치의 선시력은 400lx의 경우가 1.21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97, 5lx인 경우 0.73, 3lx인 경우 0.63으로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1lx의 경우가 0.10로 현저距하게 감소하였다. 6. 표적물의 굵기 1mm와 6mm에 대한 시인거리는 밝기 400lx하에서 각각 약 4.2m와 25.0m였으나, 1lx인 경우는 400lx의 1/14과 1/12로 감소하였다.
        4,000원
        9.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ationship between width of line target and distance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examined by means of the behavioral method, for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from 11 to 15cm body length. Target distance was distance from beginning of partition board to target plate, and was varied from 50cm to 200cm. The target plate was made of white acrylic resin with a vertical black line in the center. The width of line target was varied from 0.2mm to 8.0mm. Fish were trained to respond to a line target and the width of line target reduced until the minimum width required to elicit a response was established. Rate of success was expressed as the percentage of target choices in 90 trials. The line acuity of filefish was found to be 0.58 at a target distance of 50cm. The rate of success decreased slowly as line target width decreased from 8.0mm to 1.5mm, and decreased suddenly for target widths less than about 1.5mm. The width of the line target D(mm)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shown to be an exponential function of the target distance L(cm) as follows : D=exp(9.947×10-3.L+0.146)
        4,000원
        10.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Armorclad rockfish, Sebastes hubbsi [MATSUBARA]to the surface attracting lamps (0.5W, 0.8W, 1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L×58W×73Hcm). The attraction rate was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5 minute) when each of the attraction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otal distribution rate of fish in the illuminated section was 61.6%(mean 12.3%)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41.0%(mean 8.2%)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 ①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12.7% in 0.8W, 12.4% in 0.5W and 11.9% in 1 W respectively. ②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9.0% in 1W, 8.6% in 0.8W and 7.0% in 0.5W respectively. 3. Attraction rates of the last section showed a little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d. A difference of attraction rates according to lighting source in 1 minute interval was bigger than that in 5 minute interval. 4. Attraction rate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 ①Attraction rate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52.0% in 0.8W, 46.7% in 0.5%W and 45.3% in 1W respectively. ②Attraction rate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32.0% in 1W, 24.0% in 0.8W and 14.7% in 0.5W respectively.
        4,000원
        11.
        199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광에 대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Bleeker]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감성돔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중앙구간보다 양단구간에 많이 모여서 대체로 U자형이 되었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다소 있었다. 2. 양색광쪽에서의 평균 분포차는 7.18%(0.35~19.55%)였고, 주간(8.20%) 보다 야간(6.15%)에 더 적었다. 3. 감성돔이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청색, 황색, 적색, 백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청색, 적색, 황색, 백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일정한 증감추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다. 5. 두 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으나, 주간보다 야간에 그 차가 심했다.
        4,000원
        12.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Striped puffer. Fugu xanthoperus (Temminck et Schlegel) to the color lights. The experimental tank (300L×50W×50Hcm) was set up in a dark room. Six longitudinal sections with 60cm intervals are marked in the tank to observe the location of the fish. Water depth in the tank was kept 50cm level. Light bulbs of 20W at the both ends of the tank projected the light horizontally into the tank. Two different colored filters were selected from four colors of red, blue, yellow, and white, and the were placed in front of the light bulbs to make different colors of light.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 by use of auxiliary filiters intercep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ilter. The fishes were acclimatized in the dark for 60 minutes before they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in 30 second intervals, and the mean of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in 30 second intervals, and the mean of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given as the gathering rate of the fish. The colors favourited by the fish was found in order of blue, yellow, white and red in the daytime, and blue, white, yellow and red at night.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distribution on two different colors of light was 13.12%(4.10-26.55%), and the difference in the daytime(14.79%) was larger than at night (11.45%). Constantly the gathering rate of fish on illumination period was fluctuated with instability. As the gathering rate of fish on illumination period was fluctuated with instability. As the gathering rate on one color of light increased, the gathering rate on the other color of light decreased. The difference of the gathering rate on two different colors of light was comparatively distinct and the difference in the daytime was larger than at night.
        4,000원
        13.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File fish, Stephanolepis Cirrhifer (TEMMINCK et SCHLEGEL) to the surface attracting lamps(0.5W, 0.8W, 1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L×58W×73H cm). the attracting rate was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 5 minute)when each of the attracting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otal distribution rate of fish in the illuminated section was 96.9%(mean 19.4%)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98.4%(mean 19.7%)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① 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19.9% in 0.8W, 19.3% in 1W and 18.9% in 0.5W respectively. ② 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19.8% in 1W, 19.8% in 0.8W, and 19.5% in 0.5W respectively. 3. Attracting rate of the last section showed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 without interval and lighting source. 4. Attracting rate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① Attracting rate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98.0% in 1W, 97.0% in 0.5W and 83.0% in 0.8W respectively. ② Attracting rate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99.3% in 1W, 97.3% in 0.5W and 93.3% in 0.8W respectively.
        4,000원
        14.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has examined the response of sting fish, Sebastes inermis and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i to the attraction lamps(1 W) line in an experimental water tank(550 L× 58 W × 73H cm). Attraction lamp was set up at intervals of 55 cm for each section. The frequency rate was investigated at the illuminated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on and putting out that was 1, 3 and 5 minutes under two conditions of light stimul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requency rate at the last section when each of the attraction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n and off: (1) Sting fish was 27.2 % in case of 3 minutes interval, and 17.4 % in 1 minutes interval, and 15.8 % in 5 minutes interval. (2) Black porgy was 28.5 %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and 25.8 % in 3 minutes interval, and 12.0 % in 1 minutes interval. 2. Distribution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when each of the attraction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1) Sting fish was much gathered in the section adjacent to the extinguished section under the condition of 1 and 3 minutes interval, and not regular trend under 5 minutes interval. (2) Black porgy was much gathered last section under the condition of 1 and 3 minutes interval, and almost evenly distributed under 5 minutes interval. 3. Each of the attraction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and only the last one was on: (1) The frequency rate of Sting fish was 27.2 %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and 16.0 % in 1 minute interval, and 8.0 % in 3 minutes interval. (2) The frequency rate of Black porgy was 10.7 %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8.9 % in 3 minutes interval, and 0.8 % in 5 minutes interval.
        4,000원
        15.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벵에돔 Girella punctata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의 반대쪽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주야간이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 모이는 경향이 주간에는 적었으나 야간에는 더 많았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98 lux(1.90~4.40 lux), 야간에 298.56 lux(188.44~444.96 lux), 야간이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38.73%, 야간에 40.6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다소 있었다.
        4,000원
        1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도등예로써 집어된 어류를 목적 장소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9개의 유도등을 동시에 점등한 후 1등씩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방법으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광자극을 주었을 때의 반응을 수상유도등과 수중유도등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도등의 점등구간에서의 어류분포는 1) 소등한 구간에 인접한 소등구간에 다소 많이 분포하였다. 2) 수상유도등에 의한 어류분포가 수중유도등에 비해 인접구간에 따른 분포차가 더 컸다. 3) 유도등의 소등간격이 1분일때는 수상유도등이, 소등간격이 5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분포가 각각 더 많았다. 2. 최종구간에서의 유도율의 변화는 1)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유도등의 소등간격이 1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유도율이, 소등간격이 5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유도율이 각각 더 높았다.
        4,000원
        17.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까치복 Fugu xanthopterus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쪽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대체로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서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다소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298.56 lux(188.44~444.96 lux)로써 주야간에 같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47.30%, 야간에 50.43%로써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4,000원
        1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도등렬로서 집어된 어류를 목적장소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2가지의 유도등 점멸방법 (Normal, Nega 방법), 3가지의 점멸간격 (1,5,10분) 및 3 가지의 적응등용전구 (1, 10, 20 W)를 사용해서 말쥐치 Navodon modestus(GUNTHER)에 광자극을 주었을 때 그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ormal 방법에 의한 점멸간격과 적응등의 밝기에 따른 유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동계수는 각각 16.78% (1 분), 9.71% (5 분), 8.96% (10 분), 9.71% (1 W), 15.00% (10W), 21.08% (20 W)였고, 최종구간에서의 유도율은 각각 80.0% (1 분), 86.0% (5 분), 85.0% (10 분), 86.0% (1 W), 78.7% (10W), 72.7% (20 W)였다. 2. Nega 방법에 의한 각 점멸구간에서의 어류분포는 점멸간격과 적응등의 밝기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점등구간에 분포했으며 그 중 소등구간에 인접한 점등구간에 많이 분포하였다. 3. Nega 방법에 의한 최종구간에 대한 유도율의 변화는 L자형이 되었으며, 최종유도등만 점등되었을 때의 유도율은 각각 96.7% (1 분), 100% (5 분), 96.0% (10 분), 100% (1 W), 100% (10W) and 88.0% (20 W)였다.
        4,000원
        19.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광에 대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능성어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양단구간보다 중앙구간에 많이 모여 대체로 ∩자형이 되었으며, 주야간의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였다. 2. 양색광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8.07%(1.05~22.45%)였고, 주간(3.58%)보다 야간(12.55%)에 더 많았다. 3. 능성어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청색, 적색, 백색, 황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청색, 황색, 백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일정한 증감추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불안전하게 변동했다. 5. 두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으나, 주간보다 야간에 그 차가 심했다.
        4,000원
        20.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 분포는 광원에 따른 분포곡선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대단히 심했다. 2. 능성어는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나, 야간에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 B, C광원)하에서는 광원쪽에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4.13 lux (15.25~35.93 lux), 야간에 0.14 lux (0.25~0.63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20.23%, 야간에 47.3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과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했는데 빛의 세기가 약한 광원 (A~D 광원)하에서는 야간의 집어율이, 빛의 세기가 강한 광원 (E~H 광원)하에서는 주간의 집어율이 각각 더 높았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