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는 2자 한자어에 초점을 두어 품사성 특징, 어휘적 성질, 통어적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목적은, 두 언어 모두 한자어의 쓰임이 많고, 각각의 고 유어와 거의 흡사하게 쓰이고 있다는 공통점을 이용하여, 양언어의 학 습자에게 유의한 학습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일본어에서는 ‘한 자어동사’ 혹은 ‘한어동사’라고도 쓰이는데, 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 고, 한국어에서는 어종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한자어의 위치에 대해 검 토해 보았다.
나아가, 한자어에 접속되는 여러 가지 어미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자 어가 가지고 있는 어휘성의 특징을 일한 양 언어 간에 비교해 보았다. 물론, 공통점이 있는 반면, 상이점도 많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오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 또한 명확하게 밝혀야 하지만, 지 면상 금후의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한국어에서도 한자어의 위치는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고 있고,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 지도해야 할 부 분이다. 일한 양언어의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과 지도에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알아보았고, 여기에 대한 지도사항이 절실히 필요함이 인식되어 야 한다.
이 논문은 우리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漢字語의 指導 段階와 模型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은 漢字語와 고유어, 외래어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외래어와 달리 漢字語는 고유어와 구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 敎育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意味 把握의 어려움이 初等 學生 水準에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지금까지는 광범한 어휘의 비교, 대조, 유추와 긴 학습시간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였다. 的確한 指導를 통해 질 높은 언어 사용을 원하는 敎師의 입장에서는 語彙 意味의 명확하고 신속한 學習이 바탕이 되어 學生들의 文章과 글 사용 수준이 높아지기를 원한다. 이런 敎師의 바램을 가로막는 것이 漢字語에 대한 指導와 고유어 指導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점이 관심을 가지고 本 硏究가 이루어 진 이유이다. 이에 따라 硏究의 方向과 水準이 결정되었는데, 本 硏究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漢字語가 敎育的으로 가지는 意義에 대해 밝힌다. 문장 내에서 漢字語의 役割과 漢字語를 指導해야 하는 理論的 根據를 밝혔다. 讀解와 語集의 關聯性 및 讀解와 漢字語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讀解에 있어 漢字語가 어떤 役割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漢字語 指導의 根據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漢字語 指導의 內容이 되는 敎科書 속의 漢字語의 樣相을 밝히고, 漢字語 指導 位階를 세운다. 敎科書에 收錄된 漢字語의 頻度를 조사하고, 初等學校 指導用 漢字를 바탕으로 敎科書 收錄 漢字語 中 指導 漢字語를 밝힌다. 여기서는 指導用 漢字 뿐만 아니라, 收錄 頻度, 收錄 時期, 指導의 適合性 등을 함께 考慮하였다. Ⅳ장에서는 敎科書 收錄 漢字語의 指導 方案을 摸索한다. 漢字 學習 側面에서의 漢字語의 指導 目的과 內容, 指導 方法을 밝힌다. 이것은 漢字에 대한 理解를 바탕으로 漢字語를 指導하기 위한 方法이다. 본 논문이 漢字諦를 보는 시각은 이와 다르므로, 國語 敎育 側面에서의 漢字語 指導 方法을 具案하였다. Ⅲ장에서 選定한 漢字語를 바당으로 漢字語를 접하는 學習者의 상태를 非認識 段階와 認織 段階로 크게 區分하였다. 각 段階別로 細部 段階의 位階的 學習 方法을 提示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敎授·學習 段階 模型과 課程案을 具案하여 指導한다. 그런 다음 指導 結果를 評價紙를 통해 分析하고 設間調査를 指導 前·後에 實施하여 漢字語 指導에 대한 效果와 學習者의 認識을 確認한다. 결론에서는 漢字語의 指導 給果를 明示한다. 硏究 內容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漢字語의 意味 指導 時 漢字의 表意性을 活用하면 語彙 意味의 把持 效果가 크다는 것이다. 한 두 語彙의 指導가 語彙 속 개별 글자의 分節을 통해 새로운 語彙의 意味를 類推할 수 있고 類推 活勳을 통해 語彙 造語力이 향상된다. 學習者가 語彙 造語力을 향상시키는 方法을 體得하고 나면 스스로 語彙의 意味를 구성해 간다. 즉, 本 硏究의 결과, 語彙 造語를 해 나가는 段階를 나누고, 指導 方法을 段階마다 水準別로 달리하면 語彙 意味에 대한 造語 方法이 學習者에게 길러진다고 확인되었다. 위의 指導 內用과 方法을 適用하며 語彙 意味를 指導하면, 구조적으로 조직된 語彙를 바탕으로 폭넓은 文章과 글 지도가 가능하다. 이 뿐만 아니라, 學習者의 자가 발전적 語彙 學習으로 인해 많은 학습 시간을 語彙 意味 解析에 보내지 않아 學習의 質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이 學習 方法을 適用라는 것은 語彙 意味 把持力이라는 側面에서 有意味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學習者가 文章이나 새로운 意味를 처음 대할 때 느끼는 心理的 負擔感과 回避 意識을 떨치고 積極的으로 學習에 임하게 하는 自信感을 심어주는 效果가 크다. 그리고, 무엇보다 本 硏究는 敎師가 語彙 單位의 指導에 얽매이지 않고, 學習者의 文章, 글의 水準을 보다 세련되고 精練化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띤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ways to facilit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Chinese characters account for over 70 percent of Korean vocabulary and their history of assimilation is so long that the speech public tend to accept the borrowed words as pure Korean. It is this reality that makes us unable to rule out the Chinese characters in teaching the vocabulary at Elementary Schools. Nevertheless, the teachers confine themselves to giving the etymological explanation or teaching the radicals and strokes, making use of the optional hours. In Chinese, every word is a free morpheme so the language is very productiv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d the goal of getting students to acquire as many words as possibl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aspects of Chinese words as well as getting them to write the acquired words. The method proposed is helping students build up word power through the activity of finding out the words that have the same semantic element after they are taught the common characters found in the reading texts for the first semester of Fifth grade. The students are then required to write the Chinese words whose meanings are already known. At the closure of the lesson, they are told a story on some old wise phraseology to help them grow in personality. This semantically oriented instruction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has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the students` vocabulary build-up because they learn how to analyze the compounds into separate morphemes which they have already acquired. However, since the lessons for introducing the Chinese characters are not of the regular curriculum, teaching them in regular Korean classes is prohibited, but the optional hours are usually spent for other activities. Another problem is that a complete learning cannot be achieved because only reading the Chinese characters is focused on, excluding the writing exercises. Still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are often big individual gaps found among the students the amount of whose prior exposure to Chinese characters varies. So individualized teaching for the retarded is required in some cases, but above all things teaching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 desirable literacy program should be based upon a sound analysis of our everyday life in using language in that the children`s both maximal and correct use of our language is the basis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is respect,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othing less than an effort to use our language optimally and systematically. Finding out an appropriate method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the second generations who will prevail in the 21st century appears to be an immediate neces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