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대부가 창작의 주체인 문인화는 필묵을 숭상하며 채색이 맑고 담백하다. 민화나 궁정 회화에 비해 정신적 의미의 표현 과 화면의 상징적 의미를 더욱 중요시하고 문인의 사고방식으 로 물상을 정신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화가 개인의 정서와 관념 을 투영한다. 이로써 작품은 정신세계의 물질화 형식으로 존재 한다. 그리하여 문인화는 ‘자기 위안’과 ‘유사성을 추구하지 않 고 운율 생성을 추구하는’ 회화 이념을 형성하였다. 문인화는 어떤 기법의 대명사가 아니라 일종의 관념이자 의 식이다. 필묵과 색채의 계승 면에서 채색-흑백-간결한 필묵-필 묵+색채의 발전과정을 거쳤다. 이는 오채의 아름다움을 보여준 당(唐)대에 기원하여 송대에 발전하였다. 당시 궁정 회화가 주 류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문인화가는 자신만의 회화의 길을 묵묵히 고수하며 탐색하였다. 북송부터 오대 시기까지 색 채를 벗겨냄으로써 차별화된 흑백산수화가 형성되었다. 원대에 는 복잡한 필치의 준찰(皴擦)을 버리고 깨끗하고 간결하게 화 면을 구성하였다. 대부분 수묵 위주이지만 화가는 ‘묵분오색’, ‘여백’ 등의 형식을 통해 문인화의 독특한 필묵의 언어 및 색채 관계를 형성하였다. 명·청시대에는 고대의 기법을 바탕으로 필 (筆)을 뼈대로, 묵(墨)은 살로 삼고 색으로 정신(神)을 입힘으로 써 필묵과 색채가 서로 돋보이도록 하였다. 본고는 회화 주체의 역할 변화 및 시대적 배경의 관점에서 문인화의 ‘기승전결’을 탐구하고, 문인의 내면 정신과 사고방식 을 결합하여 필묵과 색채 표현 간의 부침을 분석한다. 필묵과 채색으로 화면의 색채를 운용하는 관계에서 출발하여 문인화의 비판적인 색채 계승 및 재창조를 해석하고 문인화의 필묵과 색 채 간 긴밀한 연관성을 정리한다. 그러면 문인화를 더 잘 이해 하고 시대정신에 맞는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8,1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中國繪畫의 역사를 살펴보면, 山水畵가 등장하여 中國 繪畫史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된 이후에야 비로소 筆墨의 예술적 경지 그리고 창작동기와 이론 등 화가와 관련된 것들 역시 상당히 높은 수 준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宋代는 중국 산수화 역사상 황금기로, 유명 화가의 그림이 많을 뿐만 아니라 수준도 높아 고금의 일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형식과 기법은 중국 산수화 전통발전에 매우 특수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北宋시기 范寬이 그린 <溪山行旅圖>는 중국 산수화의 최고봉일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이 중국 산수화를 이해할 때 반드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작품이다. 이 그림을 본 사람들은 거의 전부 ‘한번 보고 나면 잊기 어려울(一見難忘)’ 정도이며, 많은 감상자들은 호기심을 갖 고 또 많은 감상자들이 감동을 받는다. 그렇다면 이 한 폭의 그림은 감상자들에게 왜 이렇게 감동과 호감을 주는 큰 힘이 존재하는 것일 까? 본고에서는 北宋 范寬의 <溪山行旅圖>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의 筆墨과 意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계 산행려도>의 필묵을 構圖 ‧ 筆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음으로 예 술적 경지의 의경을 분석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필묵의 경지인 雨點 皴과 화면분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그림이 보는 감상자들에게 道 의 세계로 회귀해야 한다는 의경을 통해 잊혀 존재를 일깨운다는 점 이다.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