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lex Schuessler (2009, 34–39) has articulate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real reason for the choice of a particular graphic element within a composite graph. This is often due to “mental or cultural associations” that tend to interfere with the choice. Even with a simple graph it is not easy to discern what we call “graphic design” that must have guided the original scribes to create the graphs to express words. These are important issues in Chinese paleography. We will use terms like “pure phonetic”, “quasi-phonetic”, “quasi-phonosignific”, “etymonic”, “quasi-etymonic” that are not commonly used in the literature (we will define them in the paper). The Old Chinese (OC) rimes comprised of a relatively few words such as *-əp, *-en, and *-ui suffer a shortage of graphs to write the words with such rimes. This implies the existence of graphs with only a segment or segments of an OC syllable that suggest its entire phonological form with a meaning or function. For example, the top portion of (=羊 *jaŋ~*laŋ, i.e., ) seems to serve as quasi-phonosignific in (=羌 *khaŋ~*khiaŋ—cf. 西戎, 牧羊人也, 羊亦聲—SW). That is, 羌 were “sheep herders”, and the grapheme can be taken as partial phonetic, not really “亦聲” it would seem, because only the rime of 羊 agrees (“quasi-phonetic”). When we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rimes but also to the initials, we may, if cogent analysis can be made, come to understand why a word was written in a certain specific way. This interfaces between paleography and historical phonology, further involving historical lexicology. We shall also assess some traditional paleographical interpretations of nǚ 女= ‘woman’ and mín 民= ‘people’ and try to descry “graphic designs” by the original scribes. Here, however, we first need to figure out the underlying meanings of the words nǚ and mín in their early history. Their semantic fields could range from synonymy, near/quasi-synonymy, antonyms, and near/quasi-antonyms to members of some large word-family. In this paper, we limit our analysis to some “graphic minimal pairs” and the words represented by them. For example, “ (女 ‘woman’) and (卩 ‘joint’)”; “ (如 ‘follow, go’) and (訊 ‘interrogate’)”; “ (目 ‘eye’) and (臣 ‘servant’)”; “ (民 ‘people’) and (見 ‘see’)”; and a few related graphs.
        8,9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ccessive discoveries of unearthed documents have brought an opportunity for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handed down documents. This thesis mainly combines the documents, and suggests that (1) the ‘shi (世)’ of “shi xuan er lao (世選爾勞: calculate your credit for generations)” in Shangshu be read as ‘she’ (揲) since it is interpreted as counting; (2) the ‘zhi (植)’ of “zhi bi bing gui (植璧秉珪: put the jades on the altars and hold an elongated pointed-tablet of jade in hand)” as ‘dai’ (戴); (3) “yu bu gan bi yu tian jiang wei (予不敢閉于天降威: I dare not block the power of heaven.)” as a sentence; (4) “gao nai ting (高乃聽: expand your knowledge)” as a possible mistake of “shu nai de ( (淑)乃德: beautify your character)”; (5) “jun yi yue shi wo” be sentenced probably as “jun. yi! yue shi wo (君。已 (嘻)!曰時我: Jun! sigh! God be kind to us.)” since ‘shi (時)’ means ‘to be kind’; (6) the ‘zai wei (在位)’ of “xiao zi tong mei zai wei dan wu wo ze (小子同未在位誕無我責: I am an ignorant young man, but no one among the officials in office will blame me.)” belong to the preceding sentence, which ought to be translated as “I am ignorant but in the big position” ; and (7) ‘da yin (達殷)’ of “yong ke da yin ji da ming (用克達殷集大命: To defeat the Yin dynasty and achieve national destiny.)” bear the meaning of Yin.
        5,800원
        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古代文章當中有叫‘反訓’的特殊訓詁現象, 所謂‘反訓’是指一個詞同時具 有相反對立的意味而言的。例如, ≪論語ㆍ泰伯篇≫有一句說, “舜有五臣, 而天下治. 武王曰: 予有亂臣十人。” 這兒的‘亂臣’表示‘治臣’的意思, 但在 ≪孟子ㆍ滕文公下≫的“孔子成春秋, 而亂臣賊子懼。”中的‘亂’表示搗亂的意 思。如此, 把一個詞同時有相反或相對的意項的詞, 在訓詁學上叫‘反訓詞’。 本稿從這一思路出發, 觀察反訓的由來, 幷通過分析其例子, 要査明反 訓的産生原因和類型。 反訓可分爲內部與外部的成因。內部的成因是由起因於本意的分化和引 伸而産生的。外部的成因是由起因於本意和通假關係而産生的。本意分化反 訓又可分爲‘美惡同詞’, ‘施受同詞’, ‘相對同詞’。通假反訓可有本意和通假意 之間的反訓與通假意之間的反訓兩種。有一些學者根本不同意通假反訓, 但 我認爲一個詞不僅有包括本意和引伸意內部的意項, 而且有起因於假借和通 假的外部的意項, 詞意之間的關係幷不重要, 一個詞旣然有着相反意或相對 意活用的話, 按照其活用結果, 反訓現象也是自然而然地産生的。
        5,000원
        4.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訓詁와 義理는 경전해석의 중요한 두 국면이다. 훈고는 경전의 구절에 대한 의 미 추구에 앞서 경전에 등장하는 글자와 구절에 대하여 정확한 字義와 語義를 분 석하는 학문이다. 즉 훈고는 그 경전의 정확한 의리를 파악하기 위한 전단계의 과 정으로서 경전해석의 기초적인 토대가 되면서 올바른 의리추구의 선결조건이 되 는 것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는 정확한 字義해석에 기초한 훈 고를 바탕으로 경전에 담겨진 의리를 탐구하는 것이 경학 연구의 본령이라는 점 에 동의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성리학적 관점, 즉 훈고의 관점보다는 의리의 관 점으로 경전을 해석하는 경향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조선 성리학자들의 전 경학저작에도 대입시켜 검토해 볼 여지가 있다. 경전의 의리의 추구는 무엇보다 정확한 經文의 자의를 정확하게 이해한 다음 추구되어야 설득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것은 조선의 경학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던 주자가 자신의 사서집주를 저술하 면서 행한 방식이기도 하다. 주자는 철저하게 고증을 통한 훈고의 바탕위에서 경 전의 자의와 구절의 뜻을 무엇보다 먼저 밝히고, 大文의 대의를 밝힌 다음 자신의 의리적 관점을 반영하는 등 경전해석에서 훈고와 의리의 조화를 추구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성립기의 조선 맹자학의 대표적인 저술인 퇴계 이 황의 맹자석의와 사계 김장생의 맹자변의를 검토해 보면 다음의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퇴계의 맹자석의는 조선 초기 조선의 학자로는 드물게 경전의 본문에 나아가 정확한 자의와 구절의 해석에 주의하는 훈고학적 자세를 보여주었다. 그는 한 자 한 자의 문맥에서의 뜻에 집중하여 경전의 原義를 살리려고 하였으며, 경전의 해 석에서 빚어질 수 있는 의미의 차이를 文勢와 語勢에 기초하여 바로잡으려 하였 다. 그것은 훈고의 착실한 적용을 통한 경전의 본지파악 노력이었으며, 동시에 퇴계가 파악하고자 한 경전의 의리를 드러내는 방식이기도 했다. 한편 사계의 경서변의는 경서의 본지를 회복한다는 의욕적인 자세에서 저술 되었다. 그는 경서의 해석에서 논란이 되는 구절에 대한 국내외 일류 학자들의 견 해를 소개하고, 자의와 문맥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 그 핵실한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변의의 최종적인 목표가 경전 자체의 본지보다는 주자가 파악한 본지의 추구에 있었기 때문에 그 논의의 범위가 주자의 해석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남겼다. 사계가 추구한 맹자 해석의 방향, 즉 주자의 견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면밀한 논증의 경향은 서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율곡학통의 학술적인 흐름이 되어 후대의 송시열과 한원진으로 이어졌다. 이것은 전대의 퇴계 이황이 맹자석의에서 주자의 해석을 수용하면서도 정확 한 훈고를 통해 경전의 본지를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여준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으로, 경학의 본지가 어느 학자의 견해에 대한 추수보다는 경전 자체에 대한 본지 추구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긴다. 경전 자체의 본의에 충실하려는 시도는 경문을 중심으로 경전을 이해하려고 했던 일군의 학자들을 지나 박세당이나 이익 등의 학자들에게 이르러 다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9,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