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two opinions in academia: one opinion realizes Chinese Character as a shape, or a concrete image in one’s mind. But another realizes Chinese Character as the symbol of language. The two character’s ideologies both have their own applicability and boundedness. They are the results under certain historical conditions, so they can’t satisfy the modern people’s needs of recognitions of character. Therefore, we should define the research objects, stand in the position of semiology, use dialectical materialism and historical materialism and modern scientific methodology, to reexamine Chinese Character, and will find that, Chinese Character is the results which combine the graphic/visual symbol with voice/auditory symbol. It is graphic symbol presenting a certain voice and meaning.
온정균과 이상은은 모두 당 말기 두드러진 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들이다. 두 사람 모두 동시대에 이름을 떨친 사람들이지만, 시가의 풍격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가의 풍격 상에 있어서의 차이는, 두 작가가 시가에서 음유하고 있는 내용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지만, 그 내용 외에도 두 시인의 언어에 있어서의 선호도와 다른 언어의 선택 또한 두 시인의 시가 풍격에 있어서 다른 양태를 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唐 유미주의 시단을 대표하는 양대 시인 온정균과 이상은은, 두 사람 모두 시가 언어 측면에서 화려한 色를 사용하기 좋아했다. 하지만 이 두 시인은 어떤 색을 사용하느냐, 혹은 색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온정균과 이상은 시가의 풍격 차이를 色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이를 통한 두 시인의 시가 풍격 형성에 중요한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예를 들어 色의 시가에 있어서의 사용빈도, 두 시인의 色에 대한 다른 선호도, 두 시인의 다른 가운데 色에 대한 태도, 色의 다른 처리 방식과 조합방식 등을 파악함으로써 두 시인의 차이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을 찾아내는 방법으로는 구체적인 통계 수치를 확보하고, 그 통계 수치를 기반으로 온정균과 이상은이 특정 색깔에 대한 선호도와 각기 다른 시체에서 사용한 색깔에 대한 태도, 그리고 처리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그리고 체계적으로 분석을 하였고, 특히 두 시인이 많은 시들 가운데 사용한 色를 시에서 일일이 찾아내 그 사용 빈도수를 조사하고 통계를 내어 두 시인들이 어떤 色 사용을 좋아하는 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