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apartment inhabitants’ life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on housing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life management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management of public order and fac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housing satisfaction. Thus, the principal agent of management needs to increase inhabitants’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on developing life management techniques. Secondly, administrative management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us, the more accurate the completion documents and management transfer process necessary for administrative management, the higher the cost-cutting effects of accounting, construction, and service contracts, the more transparent the resident agreement process in accordance with management policies, the more transparent the election process of building representatives and resident representatives, and the higher the effects of energy saving, the higher the housing satisfaction of inhabitants. This revealed that the principal agent of management needs to increase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on developing administrative management techniques because the level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As a result, in order to create reliability between inhabitants and the principal agents of management,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such as document disclosure must be ensured, thus improving the housing satisfaction of inhabitants.
        4,000원
        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의 범죄취약지역에서 거주자(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계획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요 차별성은 서비스디자인방법론과 통계방법론을 혼합한 새로운 방법론적 플랫폼을 통하여 기존 연구들이 가지는 방법론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시민의식기반의 영향요인을 좀 더 세밀하게 규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인 이용자여정지도(User Journey Map)와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한 목표 계층 거주자의 심층인터뷰 등의 기법과 기존의 전통적 통계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한 PLS-회귀분석을 혼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범죄취약지역에서의 주민들이 원하는 핵심적인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도출하고 개선사업을 위한 우선순위를 밝힐 수 있었다. 범죄발생 및 두려움에 대한 취약성 요인은 범죄유형 특성과 인구·사회적 특성, 물리적 환경특성, 심리·행태적 특성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CCTV와 가로등의 사각지대와 막다른 길과 공간, 야간 누군가 튀어나올 것 같은 걱정(두려움), 야간 골목길의 전반적인 어두움, 열악한 보행환경, 산책 및 주민소통 공간의 부족 등이 해당 대상지역의 주민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지역의 인구·사회적 특성요인인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걱정(두려움)요인은 예상과는 달리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사업대상지역에서의 막다른 길과 공간요인은 CPTED의 디자인기법으로 활용되어온 Cul-de-sac 설계개념과는 다르게 위험한 환경특성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디자인 기회요소로서의 인식과 세부 계획요인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