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박물관에서는 연극을 활용한 교육을 지향하는 이른바 뮤지엄 시 어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엄 시어터(Museum Theatre) 를 관람한 관람객의 경험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오르기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고, 중국 고궁박물관의 뮤지엄 시어터 ‘녹단(甪端)’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관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객들이 지식, 정 보 습득을 위해 뮤지엄 시어터를 관람하면서 예술과 문화적 소양을 향상 할 수 있고 역사 이야기에 대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문화재와 박 물관에 대한 지식을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뮤지엄 시어터 는 박물관의 유물과 관련된 역사 장면의 몰입감을 촉진하고, 관객의 참 여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을 갖도록 자극제 역 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뮤지엄 시어터는 첨단기술이나 시각 효과 등 흥 미 요소를 통해 관객들에 적극적인 관람 경험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박물 관 교육보다 더 다양하고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뮤지엄 시어터가 박물관 교육의 일환으로서 지식 확장 및 예술·문화 적 소양 향상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 다. 이는 박물관 교육의 콘텐츠 개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7,0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봉황문 인문보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가례와 같은 중요한 행 사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보자기로 창덕궁유물로 지정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14점이 소장되어 있다. 인문보引紋袱의 일종 인 봉황문 인문보는 보자기 중앙에 봉황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 을 말한다. 인문보는 채색 물감을 이용하여 보자기 위에 다양 한 문양을 화려하게 그린 보자기이다. 봉황문 인문보 앞면에는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자연 현상문양, 보배문양이 복합적인 형태로 그려져 있다. 시문된 문 양에 담긴 복합적인 의미를 분석해본 결과 왕조의 연속성, 자 손 번창, 부귀영화, 무병장수 등을 담아 조선 왕실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봉황문 인문에 관련된 고 문헌을 살펴본 결과 왕실에서 사용 하는 인문보의 제작은 왕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엄격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아쉬운 점은 왕실의 주요한 행사를 기록한 고 문헌에는 수백 장의 인문보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제작과정에 관련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봉황문 인문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궁중 보자기를 연구한 학술논문이나 학위논문 속에 일부분으로 다뤄 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선행연구와 궁중 복식 연구, 궁중 문양 등을 연구한 논문과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공한 봉황문 인문보의 관련 자료와 수장고에서 실물 친견 등을 참고 하여 분석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에 시문된 문양 분석은 발생 배경과 함께 각 문양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고 색채 분석은 동양 전통 오방색 과 음양오행 원리에 따른 색채의 상징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표현 기법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 채색 기법을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문 인문보에 담긴 수준 높은 조선시대 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였다. 봉황문 인문보의 문양과 색채 및 표현 기법을 분석한 본 논 문이 현대 회화와 공예, 디자인, 건축 등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 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