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정원수는 2015년 7개에서 2022년 98개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늘어나는 정원 인프라의 수에 비해서 유지관리를 위한 지속적 정책과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효율 적인 정원 관리 정책을 도출하기 위해 주민들의 인식을 조사 하였다. 토픽 모델링, 감성 분석 등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정원 참여 유형에 따른 주민 인식을 조사하였다. 주민 주도 정 원 그룹에서는 ‘정원정책’, 관 주도 정원 그룹에서는 ‘주민에 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에 의견이 집중되었다. 감성 분석 에서는 주민 주도 정원 그룹이 관 주도 정원 그룹보다 긍정어 점수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과 만족도 사이에 강한 사회적 연결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주민 주도 정원 그룹에 서는 유지관리 업무를 맡은 주민들이 이를 자기계발의 한 형 태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 주도 정원 관리 유형이 정원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정원 내 일자리 와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경관 향상을 위해 공동체정원을 조성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모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공동체정원 조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조성 방향 및 기능에 관한 연구와 고찰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동체정원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도시민 320명을 대상으로 거주유형에 따라 공동체 정원의 조성방향 및 기대효과, 참여도 등을 조사하였다. 도시민은 공동체정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에 비하여 단독 주택 거주민의 요구도가 높다. 공동체정원의 쾌적성과 심미성 측면의 기능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단독주택 거주민은 어린이의 생태체험 제 공의 교육적 효과를 우선하였으나 공동주택 거주민은 녹지공간 확보의 쾌적성과 심리적 안정감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공동체정원의 조성 으로 생활환경개선과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단독주택에서는 지역 공동체성 향상에 대한 기대도가, 공동주택 에서는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도가 높다. 도시민은 공동체정원 계획, 시공, 유지관리에 참여할 의사가 있으며 특히 공동체정원의 조성 및 유지관리를 위해 연평균 79,000원을 기부할 의사가 있다. 공동체정원의 조성으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필요성 또한 높게 인식 되고 있으나 거주 유형에 따라 조성 방향과 기대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입지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성 방향과 도입기능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unity gardens provide the community with a green area for its residents to enjoy and socially interact with other gardeners. The expected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garden, aside from greater access to fresh produce, include increased mental health as well as improved general well-being stemming from increased exercise and socializ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a community garden in a village. Once a community garden is put in place, the residents would intend to utilize it for their rest, stroll, exercise and appreciation.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ould use a garden more than once a week turned out to be high, the reason behind which is construed as their willingness to utilize the garden as a place where they could relatively spend more leisure time later on given that the higher the respondents’ age became, the more often they would use the garden. Furthermore, as weekday afternoons’ or weekend afternoons’ participation has been high,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garden revitalization or a community programs were conducted in line with this timeframe. The efficiency of the community garden would be enhanced when it is located within one kilometer where a person can walk in about 20 minutes. It is anticipated that once the community garden is built, it would be utilized as local residents’ hobby place and that it could serve as urban green space conducive to improving the landscape of a village, and overall, there are high expectations relating to this. As living infrastructure, the community garden can be utilized not just as a space for local residents’ leisure activities and rest areas but for their interactions. Thus, it is estimated that instead of applying a cookie-cutter garden design to all communities, a formulation of a garden needs to be made in a way that designs the space refl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and that introduces needed facilities.
        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temporary society gave birth to pollution environment, family collapse, estrangement human-being, and serious disequilibrium.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are core issue of developmental 21st developmental society. As the alternative plan came up needs of the times, community garden is able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elevating life quality for residents as well as get various beneficial effect. Community garden was attempted to settlement, failed it in Korea, while made good use from old times in Germany, U.K., and U.S.A. Participation and conversation intrapopulation are a key factor to use, maintain, and preserve. Consequ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leader training program that took charge of primary role in activating community garden. Organization which deduce outcome and motivate, as the core competence of leadership, was composed of horticultural information and actual experience to horticulture.
        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practically community garden program which elevating quality of life through making, using, and keeping of it, that was helped rental housing residents improve life of oneself and environment of village independently. So far, a rental housing for a low-income group was a good way in solving lack of housing, reforming circumstance of house, but it gave rise to problems like breaking neighborship, and deprivation. Community garden program was composed to 16 session divided 1st and 2nd step program during March 29~July 26, 2005. 1st step was responsible for cultivating one's ability through observation plant culture, understanding, rule of the life, 2nd step was growing practical ability helped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garden, effective management garden, development profitable business. This program got elevation of participant's self-esteem and life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