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ssue surrounding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arising from rapid industrialization is one that is being continuously raised for discussion among the public, and concerns about indoor air quality have emerged both at home and abroad due to the longer periods of time spent indoors in modern time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and photocatalysts are also being studied as a solu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sough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reducing indoor pollutants by applying photocatalysts to building material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ndoor pollutant reduction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acetaldehyde was reduced by about 31%, toluene 29%, and total volatile compounds by 11%, and adhesion strength, an important factor regarding finishing material, was also enhanced 1.3 times or more based on Korean Industrial Standards. From thes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indoor air pollution can be lowered to a certain extent through building materials using photocatalysts, and, therefore, research on long-term performanc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pursued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photocatalysts.
        4,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유농업 산업의 분류체계 구축을 통해 치유농업 산업의 범위에 근거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치유농업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반영하여 특수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통해 치유농장을 대상으로 운영 및 경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치유농업의 산업적 구성과 비중을 분석하였다. 국내 치유농장의 사업 비중은 전체 매출액 중 치유농업 산업이 47.8%, 투입재 산업 40.4%, 파생 산업은 11.9%를 차지하였다. 소분류기준 매출액이 가장 많은 분야는 공동체 서비스 교육, 정신적 재활치료, 치유농업 농산물 재배업 순이었다. 치유농장의 81.1%가 치유농업 운영을 위해 시설을 건설하였는데 그 종류로는 조경 및 공원, 녹지 조성이 77.9%로 가장 많았다. 한편 매출액이나 종사자 규모로 살펴본 결과, 국내 치유농장은 매우 영세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치유농업 산업이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써 도입되고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산업 현황자료로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향후 치유농업의 효율적인 사업경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한편 치유농업법에 따른 정기적 실태조사 추진의 방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4,300원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치유농업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치유농업육성 시범사업에 참여한 173개소의 농장으로 하였으며, 2019년을 기준으로 치유농업 사업을 운영한 농장 중 설문에 응답한 곳은 106개소였다. 조사 결과, 치유농장에서 운영한 프로그램의 개수는 농장당 평균 3.8개였다.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4∼10월에 집중되었다. 대부분은 요일에 관계없이 주중, 주말 모두 운영하였으며 시간대는 주중과 주말이 유사하게 10시에서 16시까지 운영하는 곳이 많았다. 이용객 비중은 단체가 69.1%, 개인이 30.9% 이었으며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자원은 식물이 58.8%로 가장 많았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초/중/고 청소년이 69.8%로 가장 많았으며, 특성별 기준에서는 일반인이 70.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그램 1회당 정원은 평균 26명이었고, 연간 평균 진행 횟수는 19회, 연간 평균 참여 인원은 450명 수준이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다양화나 대상자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좀 더 심화된 사례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4,300원
        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빗물정원과 같은 소규모 저류지공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변 또는 척박지 녹화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초화류 7종을 대상으로 일정 수위를 항시 유지하는 저면 침수와 식물 기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3일간 간 침수처리를 반복하는 완전 침수 두 가지 수분 상황에서 식물의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지식물인 갈대는 침수처리에 의한 생장과 생리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억새와 리아트리스는 침수처리에 의해 광합성량은 저면관수 시 21.4%, 침수처리 시 60.4%로 낮아졌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침수 내성종임을 알 수 있었다. 벌개미취와 해국은 침수처리에 의해 생장이 저조했고 광합성량은 82.7% 이상 감소하고 수분이용효율도 29.2% 증가하여 수분스트레스 상태였으나 이후 정상적인 관수에 의해 광합성량과 수분이용 효율이 회복되어 빗물정원 식물로 적합한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무늬쑥부 쟁이는 저면침수에서는 광합성효율은 낮아졌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차이가 없어 습지에 적합하나, 완전침수에서는 수분스트레스가 79.8%로 매우 높았고 침수 후 회복율도 낮아 완전침수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상녹화를 비롯한 인공지반녹화에 활용 가능한 조경용 초화류의 원활한 생육을 위한 적정 관수 주기를 규명하고 옥상 조건에서 관수 필요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하며 관상가치가 있는 총 20종의 초본식물을 선정하여 녹화용 식물의 토양수분흡수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식물의 수분스트레스와 열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평균 4∼5일 이전의 관수 주기가 요구되며 식물의 원활한 생장과 이에 따른 환경적 효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관수 관리가 요구된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축물이나 인공지반 녹화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식재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좀 더 다양한 녹화식물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택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정원을 소유하고 있는 도시민과 소유하지 않은 도시민들의 정원 이용 행태와 선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대도시의 농업기술센터에서 도시농업 및 정원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도시민 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제 정원 소유 집단의 정원 규모는 넓지 않으며 무소유 집단 또한 소규모의 정원을 가꾸길 희망하고 있다. 정원을 이용하는 목적으로 두 집단 모두 휴식, 먹거리 재배, 마음 안정을 추구하고 있다. 하루 중 정원에서 소요하거나 소요하고 싶은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 정도로 분석되어 일상생활의 여가시간 중 정원 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진 않다. 정원 소유 집단은 식물(나무)가꾸기, 텃밭가꾸기, 휴식 등의 이용행태를 보이며 무소유 집단 또한 이러한 행태를 희망하고 있다. 이는 이용 목적과 비슷한 경향으로 도시민들은 식물, 나무, 텃밭 등의 정원을 가꾸고 정원에서 휴식을 취하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원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그늘 바람에 의한 쾌적함, 환경오염에 대한 완충이나 정신적 위안을 포함하는 건강함, 자연성,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정원에서 식재공간, 휴게공간, 텃밭, 다목적공간 등을 선호하였다. 응답자들은 정원에 그늘을 제공, 계절별 꽃 감상, 열매를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아름다움 형태 등의 식물 도입을 선호하였다. 정원 관리에 있어서 병해충 및 식물을 비롯한 체계적인 정원 관리방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원 관리 교육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원 소유 집단은 병해충 방제, 식물 전정 및 정지, 식물 파종 및 식재 방법 등 실제적인 교육을 요구하였으며 무소유 집단은 정원 조성방법, 총괄적 관리방법 등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정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에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저관리 경량형옥상정원이 많이 조성되고 있으나 토심이 낮아 활용할 수 있는 식물종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중부지방의 저관리 경량형옥상정원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곤달비와 금낭화 등 초본성 자생식물 82종에 대한 생육 및 월동특성, 지피특성, 적용 후 온도 및 토양수분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생육특성, 생존율, 월동전의 생육상태, 지피특성 등을 고려하여 잔대, 산부추, 두메부추, 벼룩이울타리, 참당귀, 개미취, 참취, 범부채, 섬초롱꽃, 패 랭이, 금낭화, 윤판나물, 용머리, 원추리, 붉은단풍취, 비비추, 흰줄무 늬비비추, 옥잠화, 꽃창포, 붓꽃, 노랑꽃창포, 곤달비, 맥문동, 하늘나 리, 참나리, 꽃무릇, 돌단풍, 강활, 수호초, 작약, 수크령, 도라지, 둥굴레, 무늬둥굴레, 양지꽃 물싸리, 할미꽃, 오이풀, 황금, 기린초, 애기기린초, 섬기린초, 세잎꿩의비름, 산비장이, 섬백리향을 선발하 였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후의 콘크리트 표면과 토양의 온도편차는 여름철 최고 20 ~ 35οC이였으며, 토양습도는 6월과 9월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건조기에는 5%미만으로 떨어지는 기간이 1주 이상 지 속되어 자생 초본식물의 도입시 관수를 필요로 하였다.
        4,000원
        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속가능한 빗물정원 설계를 위해서는 내부 구성요소 (식물, 토양, 여재층 등)의 최적화된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데 특히 국내 기후 환경에서는 함수량의 변동이 심하며 적용 가능한 식물의 종이 선정이 중요하다. 지속적 빗물정원으로서의 효율은 빗물의 유입패턴에 따른 적용가능한 식물과 여재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고, 식생의 생장 차이에 따른 식재공간 유지 정도에 의해 지속성이 좌우된다. 본 연구는 근부 생장이 활발한 습생식물의 정원용 소재로서의 평가를 위해 식물별 침입수준(invasion level)을 분석하여 최적의 식재조합을 설계하는데 기 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식물은 속새 외 19종의 습생식물을 관상기준에 따라 직립형, 분지형, 포복형으로 나누고 5월부터 10월까 지 월 2회 각 식물의 피복율을 측정하였다. 20종 중 단위공간 피복율이 100%를 넘어 침입성이 높은 수준의 식물은 부처꽃, 박하, 아스타, 낙지다리, 갯까치수영, 삿갓사초, 고랭이로 나타났고 식재 초기부터 급속한 성장을 보인 식물은 갯까치수영, 박하, 낙지다리, 삿갓사초, 부 처꽃 순으로 식재설계시 고려해야할 수종으로 나타났다.
        1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미세먼지,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도시열섬 등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도시환경을 쾌적한 자연환경으로 극복하려는 연 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건물과 교목에 의한 일조환경 제약이 큰 도시 조경공간에 적절 한 초본류의 선택이 정원의 다층구조식재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 정원공간의 일조환경 예측에 필요한 적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시급하고 정성적 평가와 알고리즘 구현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화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일조환경에 따른 초본류의 생장특성요 소(초장, 마디수, 엽폭, 엽장)을 종합 지표화하고자 한다. 전주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야외온실에 차광율이 각각 50%, 80%인 차 광막을 온실 지붕에 설치하여 일조환경을 음지, 반음지, 양지인 3조건에서 19종의 초본류의 생장특성요소를 2주마다 측정한 다음, 다중 척 도 분석(MCDA, Multi-criteria Desision Analysis)을 통하여 생장지수를 산출하였다. 음지조건에서 꽃범의 꼬리의 생장지수가 0.79로 가 장 높게 나타났고 양지에서는 숙근꽃향유, 매발톱은 각각 0.79, 0.77의 지수로 표현되었다.
        1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경관 향상을 위해 공동체정원을 조성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모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공동체정원 조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조성 방향 및 기능에 관한 연구와 고찰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동체정원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도시민 320명을 대상으로 거주유형에 따라 공동체 정원의 조성방향 및 기대효과, 참여도 등을 조사하였다. 도시민은 공동체정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에 비하여 단독 주택 거주민의 요구도가 높다. 공동체정원의 쾌적성과 심미성 측면의 기능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단독주택 거주민은 어린이의 생태체험 제 공의 교육적 효과를 우선하였으나 공동주택 거주민은 녹지공간 확보의 쾌적성과 심리적 안정감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공동체정원의 조성 으로 생활환경개선과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단독주택에서는 지역 공동체성 향상에 대한 기대도가, 공동주택 에서는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도가 높다. 도시민은 공동체정원 계획, 시공, 유지관리에 참여할 의사가 있으며 특히 공동체정원의 조성 및 유지관리를 위해 연평균 79,000원을 기부할 의사가 있다. 공동체정원의 조성으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필요성 또한 높게 인식 되고 있으나 거주 유형에 따라 조성 방향과 기대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입지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성 방향과 도입기능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규모 국책사업의 축소와 소규모 공사 및 정원의 수요 증가로 녹지조성용 조경수와 기능성 조경수, 정원수 등으로 용도 및 수종별 맞 춤형 조경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정원수로서 꽃과 수형이 아름다운 규격화된 조경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컨테이너 재배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산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원용으로 활용되는 목본식 물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단풍나무(Acer palmatum), 무궁화(Hibiscus syriacus), 서양수수꽃다리(Syringa vulgaris),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피라칸다(Pyracantha angustifolia) 3년생을 용적 40L의 흑색 플라스틱 용기에 원예용상토(펄라이트 40%+피트모 스 60%)와 황토를 1:1로 혼합하여 정식하였다. 정식 후 뿌리 활착을 위하여 1개월 간 정상관수로 관리한 후 관수개시점 토양수분을 1, 5, 10, 15, 20%로 조절하여 2년간 생육변화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생육은 수고와 지하부 생체중 15%, 수관폭과 지상부 생체중 10%에서 높 았으며 무궁화는 수고와 지상부생체중 15%, 수관폭 20%에서 높았다. 이팝나무는 수고 15%, 수관폭 20%, 지상부 생체중 5%, 지하부 생체 중 10%에서 높았다. 단풍나무와 피라칸다는 수고, 수관폭, 지상부 생체중 모두 20%에서 높았으며 서양수수꽃다리는 모두 15%에서 높았 다. 최종 생체중을 기준으로 최적 관수개시점을 설정하면 소나무 16.2%, 무궁화 16.9%, 서양수수꽃다리 21.6%, 이팝나무 15.9%가 적정하 였으며, 단풍나무, 피라칸다는 20%이상으로 수종별로 다르게 나타나 용기재배시에 수종별로 적정 관수개시점을 달리하여 재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1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unity gardens provide the community with a green area for its residents to enjoy and socially interact with other gardeners. The expected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garden, aside from greater access to fresh produce, include increased mental health as well as improved general well-being stemming from increased exercise and socializ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a community garden in a village. Once a community garden is put in place, the residents would intend to utilize it for their rest, stroll, exercise and appreciation.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ould use a garden more than once a week turned out to be high, the reason behind which is construed as their willingness to utilize the garden as a place where they could relatively spend more leisure time later on given that the higher the respondents’ age became, the more often they would use the garden. Furthermore, as weekday afternoons’ or weekend afternoons’ participation has been high,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garden revitalization or a community programs were conducted in line with this timeframe. The efficiency of the community garden would be enhanced when it is located within one kilometer where a person can walk in about 20 minutes. It is anticipated that once the community garden is built, it would be utilized as local residents’ hobby place and that it could serve as urban green space conducive to improving the landscape of a village, and overall, there are high expectations relating to this. As living infrastructure, the community garden can be utilized not just as a space for local residents’ leisure activities and rest areas but for their interactions. Thus, it is estimated that instead of applying a cookie-cutter garden design to all communities, a formulation of a garden needs to be made in a way that designs the space refl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and that introduces needed facilities.
        1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vestigation of the plant growth affected by plug cell volume/pot size and plant age in herbaceous native plants belonging to 11 family and 24 species showed that growth of aerial part was different according to both plant age and plug cell volume/pot size. Among them, especially Iris dichotoma, Iris ensata var. spontanea, Iris pseudoacorus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showed more prominent difference depending on plug cell volume compared to other species. Regarding growth of subterranean part, as decrease plug cell volume/pot size root quality index became high while root weight became low, indicating that growth restriction was happened by exceed increase of root density due to limited root zone area. As increase cell volume/pot size, root development became active in bigger than 150 ㎖ of cell volume. Plant quality got better as increase cell volume/pot size, and 60 days old plants (DOP) revealed higher quality than 90 DOP revealed, indicating that marketing is possible from 60 DOP. Considering both plant age and cell volume (pot size), plant quality was better in smaller cell volume when cultivate plants in short time, while better in bigger cell volume when cultivate plants long time. Accordingly, when extend cultivation periods in small volume of plug cell, plant quality became bad.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of plants, plants should be grown in proper plug cell volume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Among plants tested Hosta longipes,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Aquilegia japonica, Veronica linariifolia, Hemerocallis fulva, Iris ensata var. spontanea, Iris pseudoacorus, Allium senescens, Hypericum ascyron,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Gentiana scabra,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Dendranthema boreale,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spathulifolius, Aster maackii, Aster koraiensis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were determined to be able to produce standard size nursery plants using plug tray, and proper plug cell volume was bigger than 150 ㎖ (32 cell tray).
        1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problems concerned with environment pollution in urban areas, the city dwellers’ social demand for urban green space is ever mo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namental Linum usitatissimum L. seed germination and temperature for effective use of the seed. The petri-dish (90 mm in diameter) was covered with two sheets of filter papers and 50 Ornamental Linum usitatissimum L. was layered for four times. After then, 10ml of distilled water was supplied. Then, the sprouting test was conducted in chamber where th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t 5, 10, 15, 20, 25, 30 and 35°C. The light was adjusted to 12 hours. The source of light was 1341㎛ol・m -2 s -1 by using fluorescent light and halogen. The germination growth was investigated on two day term after the radicle projected by 3 mm. The investigation stopped when there was no further germination growth for seven days. The finding was that the final sprout growth rate was 80% at 5, 10, 15, 20, 25 and 30°C, while it was 70% at 35°C. In the optimal temperature investigation that leveraged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standardized at the reciprocal of T50, the temperature was found to be 12~13°C, and the sprout growth rate was 80% within the range of 5~30°C.
        1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create and manage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ultivating vegetables, fruits, flowers, trees, etc., and took part in activities such as planting plants, growing plants, and harvesting plants. These activities were done through the house veranda, garden, or school classes. We found that much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re done at school, home, and communities, as the students have quite a few experiences in external experiential events or allotment farms. Students had more than average amount of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more gardening activity the student experienced, the higher interest they had. About half of the students observe the plants at least once a month and know the names of 3.42 plants among the plants at school.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at had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re aware of relatively many plants and show high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schools don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ey usually consist of one-off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seeding in schools without gardens as the activities are done with pots inside the classrooms. The satisfaction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was relatively high at schools that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nd this was affected by flowers, trees, and resting area. In other words, students must have plenty of flowers and trees to be satisfied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and should also have an appropriate outdoor resting a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llow students to continue experiencing gardening activities at school and home, because they have a high abundance of experience and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the sp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pre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secured and a variety of flowers and trees should be planted in order to creat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2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ee of apartment building is important to achieve a sustainable design for urban environment and to increase residental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solar shading effect of trees for multi-layer planting. The site for field test is located in Junju, Korea. Four main factors, daylight, illumin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or planting, is tested for 3 months from June to August. Results from the field test are as following; The highest value to block the sunlight is at mean 553.1 W/m2 in shading space under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that height is 8.3 m and crown diameter is 6.7 m and The lowest of that is at mean 253.8 W/m2 under Malus prunifolia (willd.) Borkh.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sunshine space and shade one ranged from 0.6°C to 6.7°C because of tree in Summer. The results shows that solar shading effect of tree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hange of plant growth condition for ground cover planting.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