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efficiency of mechanical ventilation, one of the measures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residential spaces. In the most popular ventilation rate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most efficient air conditioning system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time when the radon concentration reached the lowest level, the radon reduction rate, and the radon concentration that could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The results showed a reduction rate of up to 80% or mor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experiment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to reach the lowest concentration after starting the mechanical ventilation was about 6 hours to a maximum of 7 hour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indoor radon concentrations can be efficiently reduced by using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본 연구는 냉동공조용 열교환기 내 스케일 형성으로 열전달 과정에서 열저항으로 작용하여 냉동공조시스템의 냉각성능이 떨어져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분해 원리를 이용하여 배관 내 스케일을 자동 제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성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전까지는 배관 내 스케일을 2∼3 년에 한번씩 브러시나 분사 노즐에 의해 기계적으로 배관 내를 청소를 하거나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세관하였다. 이러한 세관은 시간이 경과하면 또 관이 오염되어 전열성능이 떨어지고 냉각장치의 운전을 정지하여 반복해야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의 정지없이 전기분해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처리수를 순환시킴으로서 스케일의 원인물질은 Ca, Mg, SiO2를 고형물 형태로 석출시켜 배관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배관내 스케일 발생을 차단하고 기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여 배관의 전열 성능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한 결과, 새 배관의 열전달율을 100으로 기준할 경우, 스케일이 형성된 배관의 열전달율은 86.66%이었으며, 스케일이 형성된 배관을 1개월 동안 처리수를 가동했을 경우 열전달율은 90.5%의 수준까지 회복되었으며, 2개월간 운전한 경우 97.86%의 수준까지, 3개월 운전했을 경우 98.72% 까지 열전달율이 회복되었다. 비교적 짧은 실험기간이지만 배관내 형성된 스케일의 제거효과를 파악하였으며, 전열성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물학적 위험등급 3등급 BL3용 공조기의 급배기는 밀폐 연구시설 사이의 교차오염을 막기 위하여 관계 규정에 의거 전외기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외기 방식의 공조기는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게다가 BL3의 경우 하루 24시간 운전으로 인하여 에너지 소비가 매우 많으며 또한 연구시설의 대형화로 인하여 에너지 소비는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BL3용 공조기에서의 에너지 절약에 관한 연구로는 국외의 경우 전외기 방식에서 급기와 배기덕트 사이에 부동액 등을 사용한 핀-튜브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배기로부터 열회수를 통한 에너지 절약에 관한 연구를, 국내의 경우 생물학적 안전성을 기반으로 하는 재순환에 의한 에너지 절약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BL3용 공조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핀-튜브 열교환기와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대한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고 마이크로 채널 제작을 위한 열교환기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tatistical correlation of the time series for temperature measured at the heat box in the automobile drying process. We show, in terms of the sample variance, that a significant non-linear correlation exists in the time series that consist of absolute temperature changes. To investigate further the non-linear correlation, we utilize the volatility, an important concept in the financial market, and induce volatility time series from absolute temperature changes. We analyze the time series of volatilities in terms of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a method especially suitable for testing the long-range correlation of non-stationary data, from the correlation perspective. We uncover that the volatility exhibits a long-range correlation regardless of the window size. We also analyze the cross correlation between two (inlet and outlet) volatility time series to characteriz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nd disclose the dependence of the correlation strength on the time lag.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as important factors to the modeling of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the heat box’s temperature.
A study of temperature profiles in mixing zone of AHU(air handling unit) can contribute greatly to enhance performance of AHU system, so the study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etween RA(return air) and OA(outdoor air) is important to analyze the mixing characteristics in a mixing zone of AHU. Accordingly, the temperature profiles during RA(return air) and OA(outdoor air) supply process into mixing zone of AHU with an air mixer are studied numerically. The effect of air mixer, OA temperature and RA/OA flow rate are studied in detail.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mixing effect is all high for installed the air mixer. The more OA flow rate decrease, the more mixing effect i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