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initiators of humor and the differing characteristics of humor these initiators use in elementary-level English classrooms in Korea. Forty-nine videotaped ordinary classes and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were investigated. Teachers tended to make learners the subjects of humor, with this type of humor attrac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arning. Furthermore, teachers encouraged learner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form of English language features by humorously revealing mispronunciations or expressions that learners could easily make mistakes with. Additionally, among learners, the primary users of humor were middle- to lower-level students. Teachers needed to build a safe environment for English underachievers who unintentionally made humorous mistakes so that they would not be mocked. Also, certain boys intentionally tried humor to get attention. It is noteworthy that teachers and learners jointly constructed humor by supporting each other. This conjoint humor reaffirm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eactions and attitudes towards pupils. By listening attentively and accepting learners’ remarks, teachers could make humorous, meaningful interactions. The current paper projec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how to use or deal with humor for foreign language teachers.
        7,800원
        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talk between primary English teachers with different degree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wo primary English teachers who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selected. They both taught sixth grade students and used the same English textbook.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while they both were teaching the same unit of the textbook. Their classes were video-recorded and their interaction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constructive’ and ‘obstructive’ teacher talk (Walsh, 2002).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teachers differed in the amount of the use of ‘constructive’ and ‘obstructive’ teacher talk. The more professional teacher used more constructive talk while the less professional teacher used more obstructive talk, and the more professional teacher encouraged the students to engage in the interaction by using constructive talk, such as error correction, content feedback, scaffolding, and so fort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made.
        6,4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s long been noted that a serious discrepancy exists betwee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teacher tal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To this end, thre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three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re tape-recorded, and their teacher utteranc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orms of utterances, functions of utterances and language types. The result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use significantly more command forms and feedback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use significantly more non-class related utterance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utter class-related managerial and disciplinary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do miscellaneous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languages teachers use in the classro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aks English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use plain Korean to individual students while using formal Korean to the whole class. Middle school teachers tend to use formal Korean irrespective of whole group, small group and individual students.
        6,700원
        4.
        2019.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직시 표현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로 출발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직시 표현 사용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실에서 이루어진 발화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직시 표현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직시(deixis)란 한 개인이 발화를 할 때 그 발화의 맥락을 이루는 요소들을 직접적인 언어 표현으로 가리키는 현상을 말하며 가리키고 지시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적 형태를 ‘직시 표현’이라고 한다. 직시 표현은 표면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직시 표현이 사용되었을 때의 발화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여야만 최종적으로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고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칭 직시 표현, 시간 직시 표현, 장소 직시 표현을 중심으로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세 가지의 직시 표현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인칭 직시 표현으로 42%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시간 직시 표현이 30%, 장소 직시 표현이 28%순으로 나타났다. 인칭 직시 표현에서 1인칭 복수로 사용되는 ‘우리’가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 직시 표현에서는 ‘지금’이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장소 직시 표현에서는 ‘이, 이거, 이것’이 40%, ‘여기’가 3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 분석을 통해 직시 표현의 사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직시 표현과 사회적 직시 표현을 포함한 직시 표현의 사용 양상과 직시 표현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 효과적인 직시 표현의 사용 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7개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교사의 피드백 발화는 Kim(2014)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피드백 유형 중 ‘수용하기’와 ‘초점화하기’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용하기’는 학습자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학습촉 진을 모두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며, ‘초점화하기’는 학습자들이 개념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해결 촉진을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다. 특히 ‘초점화하기’는 일반 수업에서 피드백을 분석 한 선행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유형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핵심으로 생각하는 ‘점프과 제’ 및 ‘연결 짓기’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칭 찬하기와 격려하기는 가장 낮은 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