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에게 교직 생애 처음으로 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경험기를 평가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그들의 솔직한 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학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경상북도 시 지역의 신규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모아 Spradely의 주제분류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기 전, 이 제도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진 교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들은 선배교사들의 이야기는 모두 부정적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전 지식은 없었지만 전문성 신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며, 수업 능력과 학급 경영에 관해 평가받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며 기대 반, 걱정 반의 이야기를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이후, 신규교사들은 받은 결과를 읽고 평가를 받고나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동료 교원 평가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전문성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습 내용 추가, 신규교사 대상 임용연수에서 제도에 대한 연수 확대, 동료 교원 평가는 축소하되 학생 평가는 확대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의 목적을 살릴 수 있도록 문항을 구체화하고 교육활동 소개자료 및 능력개발계획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순기능을 살리고 학교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줄일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교육현장의 교사가 학교폭력의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자신이 선택하고 수행 해왔던 교직의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교육방식과 행동에 대해서는 어떻게 반성하고 해석해가고 있는가에 대한 가해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학교 폭력의 예방과 문제해결의 전문가인 연구자는 학교폭력 사안처리에 대한 컨설팅의 과정 에서 만났던 두 가해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학교폭력 가해문제를 상담하 면서 수집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들이 교직생활을 통해서 가지고 있었던 교육방 식에 대한 입장과 학교폭력의 가해교사가 된 사건의 경험, 조기퇴직의 선택에 대한 이야 기,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바뀐 것과 바뀌지 않는 것 사이에서 경험하고 있는 갈등과 적 응에 대한 그들의 내러티브는 현재 학교폭력 문제를 둘러싼 법 규정으로 인해 나타난 사회적 인식, 학교현장의 교육주체인 교사의 인식, 그리고 그 객체인 학생의 인식들 간 에 나타나고 있는 갈등과 균형의 의미와 학교현장의 학교폭력 문제의 현상을 드러내주 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중(在中) 한국인 유치원 교사들이 교직생활에서 경험한 교육과정 운영, 유아들의 생활을 질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칭다오(靑島)시 C한국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3명과 K한국국제학교 부설유치원 교사 1명의 면담, 교사저널, 연구자의 약기, 기타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중 한국인 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한 교육과정 운영은 본국과 연계된 교육과정으로 가르치기, 전문성 개선의 한계를 느끼는 외로운 타국살이, 타국에서 한국의 새싹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면서 애국자로 나타났다. 재중 한국인 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한 유아들의 생활은 유아들에게서 느껴지는 자연스러운 이중문화, 변해가는 유아들에 대한 안타까움, 유아들에게 정체성 확립시켜 주기로 나타났다. 또한 재중 한국인 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한 학부모와의 관계는 학부모들과 함께 소통하기, 때로 어려운 가정과의 연계, 학부모들에게 받은 감사 그리고 응원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현재 일반대학 교직과정 중 음악과에 한해서 실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자가 학생들의 실제 교직과정 이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음악교사 양성 실태와 관련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문제점을 제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악과 교사양성 제도 중에서 특히 일반대학 교직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일반대학에서 음악과 교직과정 이수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음악 중등 정교사 양성 제도와 현황, 임용제도, 임용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고, 그 다음 일반대학 음악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질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적 교과인 음악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진지한 고민, 미적 교과에 알맞은 교사의 특성, 그에 따른 양성제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