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키워드=내담자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정신분석 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정적 치료반응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인 시기심을 탐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치료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부정적 치료반응은 내 담자가 자신의 결핍과 공격성을 상담자에게 투사하고, 상담자를 시기함 으로써 치료의 진전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시기심의 발달적 배경과 공격적 특성, 그리고 상담 관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통 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치료 전략으로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시기심 과 공격성을 민감하게 인지하고, 전이-역전이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며, 시기심을 간직하고(contain) 적절히 해석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직면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포함된다. 특히, 시기심은 단순히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 아니라 내담자의 자기-파괴적 행동과 밀접히 연 관되어 있으므로, 이를 다루는 작업이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시기심을 다룰 때 요구되 는 성찰 역량과 개입 전략을 구체화하고, 향후 연구와 실천에서의 방향 성을 제시하였다.
    6,700원
    2.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s of suicidal ideation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 cl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rom six college student clients who had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for approximately six months from January 2021 to June 2021. This study adopt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derived 24 sub-themes and seven essential themes, the latter being: ‘feeling like a person with serious defects’, ‘wounds of the past haunting the mind’, ‘indulging in the marsh of depression’, ‘two minds that want to be close and distanced’, ‘wanting to live, but feeling like there's nothing else but death’, ‘living everyday life with a slender will’, and ‘realization of myself being a good person’. I understood that college student clients’ suicidal ideation was a natural phenomenon, not pathological. Conclusion: The essence of college student clients’ suicidal ideation is the confession of painful minds and because they think that they are flawed.
    4,6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로 연구방법을 통해 남성 상담자와 내담자 총 4인의 상담관계 체험을 분석함으로써 그들 체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연구 질문 의 인터뷰 축어록을 사용, 이러한 질적 연구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3명과의 세미나를 통한 삼각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첫째, 내담자(상담자)와의 상담전반의 인상 둘째, 치료동맹의 형 성 셋째, 내담자(상담자)와 상담전반의 어려움 넷째, 내담자 변화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점 다섯째, 내담자(상담자)와의 관계체험을 통한 통찰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 분석하 였다. 첫째, 남성 상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남성 상담자는 상담 초기에 부담, 걱정이 있었지만, 내담자와의 상담관계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보게 되면서, 상담자 자신에 대한 자 각과 통찰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상담자 자신의 삶의 변화를 체험하였다. 둘째, 내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내담자는 과거의 상처로, 상담 초 남성 상담자 에 대해 경계적 모습을 보이나, 남성 상담자와의 관계 체험을 통해, 자기 삶의 긍정적 변화를 체험, 상담자와의 관계, 상담자에 대한 인식이 변화, 이 변화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체험 하였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