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CCCs), in accordance to the area where the CCC was located. The people in charge of foodservice management of 466 community child centers undertook a web survey, between July to August 2016. Most centers used menus from the Headquarters of Community Child Center (50.0%) o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34.1%).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require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management at the CCCs. Four factors were analyzed: ‘food material and facility management’, ‘administration management’, ‘menu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large cities,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menu management’ were found to affect quality improvement. In small cities, none of the factors assessed were effective in improv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oodservice in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in the centers,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center.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upport polic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4,000원
        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인지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 앞서 기업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디자인 요소의 실험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 기업 중에서도 디자인 중심적 기업 경영을 하고 있는 D기업을 실증분석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ZMET 기법은 현재 기업의 마케팅 분석에 있어서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잠재의식을 알아보는 기법으로서 효율성이 입증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ZMET 기법을 응용하여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ZMET를 응용한 은유기법을 통해서 상품화나 기업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의 형태 이미지나 색채 심리 등으로 도출되어 지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 방법인 은유 기업은 소비자의 잠재된 생각을 통해서 기업디자인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과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