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미생물인 Bacillus coagulan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탈피대두박(fermented soybean meal; FS)을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10%, 20% 및 30% 수준별로 첨가한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넙치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실험은 평균체중 123 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50마리씩 실험구별로 3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대조 배합사료(control)와 실험배합사료(FS10, FS20, FS30)를 8주간 사육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과 실험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유의적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지방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8:2n-6의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FS10,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시험구에서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 leucine, alanine, lysine이 공통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공급한 사료에 따라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 중 AMP의 함량은, FS20 및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 사료조성으로 넙치 치어를 사육하였을 때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을 어분 단백질 함량기준으로 30%까지 대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500원
        3.
        199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developmental ability of early preimplantation monse embryos was shown to be depend on the embryonic stages, media and snpplements and their interaction(Experiment 1). The development of I-cell embryos were more promoted in the complex medinm(Ham's Fl0) than in the simple one(m-KRB), but that of 2-cell embryos showed the reverse effect. The bovine serum albumin(BSA) as a medium snpplement m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I- and 2-cell embryos, compared with human fetal cord serum(HCS). On the other hand, the harmful effect of HCS was especially shown on the early cleavage i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two stages. The effect of serum, in the respect of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snpplements. was also more significantly appeared in m-KRB than Ham's Fl0. In the experiment 2, when the harmful effect of HCS was compared with that of fetal bovine serum(FBS), the former m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 - and 2-cell embryos than the latter. The effect of HCS was more significantly shown in the development of I-cell than that of 2-cell embryos. Conclusively, as I- and 2-cell embryos were different in the requirements for the in vitro development. the optimal medium and supplement have to be selected for each embryonic stage. It is also respected to the better result if it take into consideration into the kinds of sera when serum is used for culture of early preimplantation embryos.
        4,000원
        4.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백질원으로 참치자숙액 1, 3, 5%를 원료에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변화를 측정하였다. 숙성 중 고추장의 pH는 참치자숙액 첨가량에 관계없이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숙성 30일 후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대조구 171.59 mg%에서 참치자숙액 5% 첨가의 경우 191.10 mg%로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모든 시료에 있어서 숙성 30일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참치자숙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