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침착된 눈물 단백질량에 따라 친수성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소수성화가 진행되는 정도를 알아보고 침착된 눈물 단백질에 의한 소수성화에 다목적용액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인공눈물에 노출시킨 후 Lowry 방법을 이용 하여 렌즈에 침착된 눈물 단백질량을 정량하고 렌즈를 수단Ⅳ 용액으로 렌즈의 표면 및 내부 포함 전체를 염색한 후 염색된 수단Ⅳ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침착된 눈물 단백질량에 따른 렌즈의 소수성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단백질이 침착된 렌즈를 알콜 성분 함유 여부가 다른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으로 세척한 후 단백질량과 수단Ⅳ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목적용액의 침착 단백질 세척효율과 침착 단백질에 의한 렌즈의 소수성화 억제 효율을 확 인하였다.
결과: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양이 많은 경우에 더 크게 소수성화가 진행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다목적 용액으로 세척시에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양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알콜 성분이 함유된 다목적용액의 세척 효과가 다소 우수하였다. 단백질 침착으로 인한 소수성화에 대한 다목적 용액의 억제 효율은 세척 효율보다 크게 우수하였으며, 알콜 성분이 함유된 다목적 용액의 세척이 더 우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다목적용액은 렌즈에 침착된 눈물단백질 세척에 대한 효과보다 침착 단백질로 인한 렌즈 표면 소수성화 억제에 더 효과적이며, 특히 알콜 성분이 함유된 관리용액은 오랜 시간 동안 침착된 단백질이나 콘택트렌즈 내부에 침착된 단백질에 의한 소수성화 억제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단백질 제거효능검 정을 Bradford assay 에 따라 실시하였다. 사용한 렌즈는 FDA기준의 group N 인 이 온성 고함수율 렌즈이며, 인공누액에 65샤간 담갚 후, 각각의 MPS 에 시간별로 처리 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중에 유통 중인 MPS 6개사 7 개 제품의 단백질 제거 효능윷 비교한 결과, 한가지 제품을 제외하고는 단백질 제거 효능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일 조건에서 MPS 의 단백질 제거 효능은 단백질 종류, 담그는 시간 과 제품에 포함된 성분의 조성비, pH, buffer 둥의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중 널리 사용 되고 있는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단백질 게거 효과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기 위해 먼저 렌즈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계 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라 단백질 제거효과를 UV Photo-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MTT assay, LDH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통일 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세포 수도 농도 의폰적으로 감 소하였다. 독성의 차이는 LDH assay 보다 MTT assay가 더 민감도를 보였다. 침착 된 단백질에 대한 세척효과는 동일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뛰어났 다. 단백질 제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는 최저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월둥히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