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무용 전공 대학생의 유년시절 신체활동 태도가 무용 전공 선택동기와 무용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중국 산시성(陕西省) 시안(西安) 지역의 무용 전공 대학 생 500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5.0 이 용하여 경향 분석, T-test 분석, Scheffe 분석, Pears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용전공 대학생의 유 년시절 신체활동태도는 무용전공 선택동기 및 무용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동의 신체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 지속의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도 도 움을 주고자 한다.
        6,700원
        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용수는 공연에 대한 스트레스, 식이 조절, 근골격계 손상 등으로 신체조성의 수준이나 골밀 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한국무용수가 가지고 있는 신체 조성과 골밀도의 특성을 평가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를 이용하여 한국무용 전공 여대생 10명과 일반 여대생 10명의 신체조성과 골밀도를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체조성은 측정된 DEXA의 결과에서 body mass index(BMI), 체지방률, 근육량, 제지방량을 사용하였으며 골 밀도는 팔, 다리, 척추, 골반 부위의 골밀도 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간의 BMI(p=.313), 체지방률(p=.060), 근육량(p=.264), 제지방량(p=.272)의 신 체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팔(p=.055), 다리(p=.105), 척추(p=.276), 골반 (p=.126) 부위의 골밀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무용 전공 여대 생과 일반 여대생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무용수에게 한국무용과 식이 섭취 경향이 골밀도와 신체조성을 부정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오히려 긍 정적인 영향을 준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4,500원
        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D대학교 무용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18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 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에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창작 능력의 각 하위영역인 독창성에서 t=-23.091, p<.05 수준, 다양성에서 t=-39.355, p<.05 수준, 표현력에서 t=-63.778, p<.05 수준, 구성력에서 t=-26.870, p<.05 수준, 그리고 연속성에서 t=-47.343, p<.05 수준으로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창작 능력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창작 능력을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 그리고 연속성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의 각 하위영역인 독창성(F=15.143, p<.05), 다양성(F=70.447, p<.05), 표현력(F=20.751, p<.05), 구성력 (F=25.456, p<.05), 그리고 연속성(F=57.983, p<.05)에 영향을 미치고, 무용창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결론과 함께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4.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무용전공 고등교육은 여전히 발전단계에 있다. 어떤 대학은 교육의 중점을 단순히 전공 지식 학습 측면에만 두어 학생들의 의지력 발전 등의 심리교육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다. 학생들의 전공학습의지력이 발전하면 학생 개인에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전체 교육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 A예술직업학원 무용과 중에서 무작위로 30명의 3학년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실험, 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로젠탈 효과의 지도에 따라 대학 무용전공 학생들의 의지력 발전문제에 대한 연구전개를 촉진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기대형성과 교사의 기대전달, 교사의 교정적 피드백 활동을 통해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은 전문 학습에 대한 자신감 확립 에 주의를 기울이고 긍정적 경험 속에서 의지력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 between coping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groups in university dance settings. Methods: To investigate the proposed path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in a sample of 535 female university dance students (Mage=20.07±1.45).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problem-focused, emotion-focused, and avoidance skills were predicted by students' perceptions of stress. In turn, problem- and emotion-focused skills also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on analyses partially supported the roles of coping skills. Structural weights in the model were variant across dance career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coping skills may help to reduce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dance students. Specifically, problem- and emotion-focused skills are associated with positive scores for psychological well- being.
        6.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mental health among danc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683 university dance students (73 males, 610 females). One-way MANOV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Results: Results of MANOVA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indfulness across dance types, but students with high in dance career was higher in attention and acceptance traits than those with low career.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fit of the alternative model influencing mindfulness on students' mental health through emotions was more adequate than a theoretical model. That is, dance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each of the direct effects in the model was invariant across dance careers.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dance students' abilities being aware of experiences at present, orienting its acceptable attitude, and regulating their attention are important to enhance their mental health, especially decreasing the impact of negative experiences o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