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에게 한문구조를 교수 할 경우의 한 가지 학습방법으로서 전통시대의 초학교재를 활용하여 2자, 3자, 4자, 5자, 7자의 한문문장을 축자식으로 해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문장구조의 필수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부속성분인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는 문장의 확장정도로 제시하면서 문장의 기본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아시아 세계의 전통 초학교재란 단순히 과거에 사용된 교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이란 과거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창조하기 위하여 재서술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곤란에 위기의식을 느낄 때, 인간은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 반사경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현재의 한문학습에서 느끼는 곤란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하였던 교재들을 돌이켜 보는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과 위기 극복의 노력이 겹겹이 쌓여 갈 때, 한문학습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될 것이다. 이 경우 한문학습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전통’에 근거하여 미래를 창조해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문학습의 전통 안에서 사용되었던 초학교재는 교육의 근원적 자료로, 그 내용과 형식은 오늘날에 가져와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문학습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서, ‘전통교재’의 재해석, ‘전통교재’의 재평가, 혹은 ‘전통교재’의 한계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오늘날 한문교육은 한자한자어 학습과 한문의 문장구조를 이해하여 독해하는 학습에 전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시대적인 입장의 반영이긴 하지만 옛날처럼 한문으로 글을 짓거나 작품을 이루기 위한 창작활동 같은 교육은 하지 않는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제 7차 한문교육과정안에서 제시한 한문교육의 목표처럼(물론 중등과정에 해당하지만)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한문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니고,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이 오늘날 한문교육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것 중에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일”은 한문학습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사항이다. 왜냐하면 한문을 독해할 수 있으려면 필히 한자 한자어를 알아야 하고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한문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배워서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 계승발전은 물론 대외적인 교류증진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독해능력의 배양은 오늘날 대학교의 전공과정에서도 가장 치중하고 있는 사항인데 한문학을 위한 기본 요건이기 때문이다. 한문의 문장 내용을 이해하려면 다양한 수사적 기교가 동원되는 문장 구성원리를 파악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한문 문장의 수사법 중에 생략법은 너절한 자구를 줄이는 일로 말을 추가하여 삽입하는 일과는 상대적이다. 이는 불필요한 어휘나 반복적인 언급을 피하여 더욱 간결하고 보기 좋은 문장을 이루려는 한문 문장구성의 필수적인 수사기교이다. 한문의 문장은 지극히 생략법을 강구하여 간결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독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문장의 생략된 구조를 살필 수 있으면 문장의 뜻을 파악하는 일이 쉽고도 분명해진다. 지금까지 어법연구서나 어법에 관한 논고가 다소 나왔지만 생략에 관한 분야에는 관심이 없었는지 연구 결과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한문을 독해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법을 소홀히 할 수 없다. 문장을 구성하는 수사기교와 다양한 형식을 파악해야 독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생략의 기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관심에서 외면되었고, 또한 이는 한문의 문장구조를 이해하고 독해력을 증진하는 데에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생략에 의한 수사기법에 대해 여러 유형을 제시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Universal grammar has exerte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SLA researchers working within UG have addressed the question whether second language developments are constrained by universal language principles. This paper reviews current developments in UG-based SLA research with a view to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UG principles in foreign language sentence structur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