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직접 설계 및 제작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는 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탐색하고자 한다. 중등학교 현장의 과학 탐구활동을 위해 청주지역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방법과 그 속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의 포집장소는 청주지역 대학교의 4층 건물 옥상에서 포집하였다. 모터 펌프, 인넷, 지름 1.0μm 테프론필터, 필터 홀더 등을 이용하여 포집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포집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포집은 2013년 12월-2014년 6월까지 진행하였다. 포집한 미세먼지의 중금속 성분과 미생물 포함 여부를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날아온 미세먼지 속에는 Cu, Zn, Cd, Ni, Pb 등인위적인 오염물질로 판단되는 중금속 성분이 국내 기원 미세먼지 보다 많았다. 더 나아가,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 뿐만 아니라, 곰팡이나 세균같은 미생물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미세먼지가 중금속 뿐만아니라 미생물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실험의 사례로 제공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six types of household vacuum cleaners in the closed chamber. A test cleaner without HEPA filter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first one minute of initial operation, observing significant generation of airborne particles, and especially for particle size of 0.5 to 2.5 μm, the generation rate increased up to 68.5 × 103 particles/min. Concentration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depends on the production year, the motor power, and the dust filter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The observed resul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how they are operated in indoor environment.
The current interest in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is mainly due to its effect on human health.Exposure to outdoor PM is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adverse health effects. Indoor air contains a complexmixture of bioaerosols such as bacteria, fungi and allergens. Children are known to be more susceptible tothe exposures of PM and bioaerosols which are represented by airborne bacteria, fungi, and allergens. Thisstudy is to assess concentrations of the atmospheric PM and bioaerosols indoors and outdoors at 15 daycarecenters for children located in Seoul. Particles were measured indoors and outdoors with automatic particlemonitoring using beta radiation absorption.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sampled by Anderson sampler.Analysis shows that average indoor PM10 was 95.7µg/m³ (SD 26.6µg/m³) and average level of airbornebacteria and fungi were 575.0CFU/m³ (SD 431.6CFU/m³) and 77.9CFU/m³ (SD 45.6CFU/m³), respectively.Finally, efficient ventilation and effective air cleaning strategies are necessary to reduce indoor concentrationsof particles and bioaeros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