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sychological momentum events which influence player's performances in badminton competition and to examine in depth the player's psychological momentum experiences. Methods: A total of 83 badminton athletes over high school in Korea Badminton Association were carried out in this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8 adult athletes were interviewed in-depth with the guidelines based on the open-ended survey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extracted contents from the inductive categorization were developed by deductive method.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psychological momentum accidents which may influence on the performances of badminton players. The total of 615 raw data were collected and then categorized into 25 positive momentum accidents and 28 negative ones. The respective accidents were classified 8 general categories according to performance, opponent's performance, the flow of game, score, psychological states, physical condition, other's significant behavior and the court environment. Conclusion: Finally, this study will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ontext and environment which affect the player's performance in badminton competitions. Also, it is expected as the opportunity of increasing the interest on psychological momentum in sport psychology.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배드민턴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별 동기와 수행전략의 차이를 검증하고, 동기와 수행전략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431명의 선수들을 경기력 수준별(우수/일반)로 구분하여 동기와 수행전략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통해 분석하고, 각각의 집단별로 상관관계와 단계별 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나타난 결과 경기력 수준별로 동기요인과 수행전략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우수선수들이 일반선수들에 비해 내적동기와 본인조절 점수가 높았고, 컨디션 조절과 심상/목표설정 전략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선수들은 우수선수들에 비해 무동기가 높았다. 경기력 수준별로 동기요인과 수행전략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와 본인조절 요인은 모든 수행전략에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무동기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중요하게는 동기요인 중 단지 본인조절 요인만이 수행전략 각각의 요인을 의미 있게 예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수와 일반선수 집단 공히 나타났으나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조금 다른 패턴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Vallerand(1997)의 통합적 관점의 위계적 모형과 관련해 논의를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