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을 중심으로 그를 북인(北人)계열 詩脈(시 맥)의 연원이자 학문적⋅문학적 측면에서 지식권력 즉 영향력을 지녔다고 상 정한 뒤 그의 시문학을 분석한 연구이다. 아울러 화담의 시세계를 분석하면 서, 그 안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을 북인계열 문인들의 시세계와 연계하여 해석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글에서 상정한 연구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대 별 가능한데, 첫 번째는 화담의 시문학을 통해 그가 지닌 지식권력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며, 두 번째는 화담 서경덕을 통해 북인계열 문인들의 학 문적 근원을 검토하기 위한 단서를 얻고자 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화담의 영 향력은 동시대 그리고 동일 문인집단을 넘어서서 이후 시기인 16~18세기에 활동한 북인계열 문인들에게까지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진 바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화담의 실질적인 작품 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화담이 라는 문인을 통해 북인계열 시문학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이 에 2장에서는 화담과 북인계열 문인들의 접점을 찾기 위한 시도를 진행하였 는데, 특히 화담과 그의 제자들, 그리고 북인계열 문인들 간의 학문적⋅문학 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화담의 시문 학에서 나타나는 ‘도술(道術)’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의 접점 양상, 그리고 ‘역경(易經)’과 ‘상수역학(象數易學)’에 대한 논의를 다룸으로써 북인계열 시문 학과의 연계 지점을 상세히 다루고자 하였다. 종합해보면, 이 글은 북인계열 문인들과 시문학적인 측면에서 접점을 가지는 화담 서경덕의 학문적⋅문학적 특성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논의하는 동시에 북인계열 시맥의 연원을 확인하 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일면 학술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삿쌍(Satsang)이란 “진리의 모임”이란 뜻으로 힌두 혹은 시크 박타(bhata)들이 모여 의식(예배)을 치르는 곳을 말한다. 이런 삿쌍 문화를 활용하여 힌두/시크교의 신이 아닌 예수에게 헌신하고 예수를 따르는 박타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예배를 드리는 곳이 예슈 삿쌍 (Yeshu Satsang)이다. 내용은 교회와 유사하지만 음악, 그림, 상징 등 그 형식은 힌두/시크적이다. 듀억슨은 북인도에서 이런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그는 예수에 대한 박티적 헌신, 하나님의 축복과 성령의 역사(기적), 악의 분별, 복음의 증거, 이 네 가지를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으로 지적한다. 그리고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이 사도행전에 나오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가 형성하고 있었던 교회의 정체성과 연관될 수 있는 것으로 보면서 어느 정도의 성서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필자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보다는 교회의 정체성을 완성형으로 구현한 바울의 “인-크라이스트”(in Christ)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면서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에 대해 재평가하고 인도 선교를 위한 예슈 삿쌍의 앞으로 의 역할을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