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외직구를 비롯한 인터넷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실제적인 제품을 보지 못하고 제품의 사진과 제품 정보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제품의 사진은 제품의 형태만을 보여줄 뿐이므로 소비자들은 정확한 크기에 대한 정보는 제품 속성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크기나 양을 표시할 때, 같은 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데에도 여러 가지 단위와 그에 따른 다른 숫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직구 상황에서 30ml 의 향수가 1 fl. oz.로 표시되어 있는 사이트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같은 크기의 제품 이라 하더라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사용된 단위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즉 큰 숫자로 표현된 사물을 크게 지각하는 다수성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로 큰 단위가 사용되면 크게 지각하는 단위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다수성 효과와 단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심리적 거리 중의 하나인 사회적 거리와 단 위의 친숙성을 제시하고 이들의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이 사용되었다. 우선 실험 1 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경우는 다수성 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사회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단위 효과 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 2에서는 단위친숙성이 낮은 경우에는 다수성 효과가 강해지고 단위친숙성이 높은 경우에는 그 다수성 효과가 약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또 실험 1에서 나타난 사회적 거리의 조절효과는 단위 친숙성이 낮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6,900원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중국 정부는 중국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생태문명 건설이라는 새로운 국정운영 목표를 제시 하였다. 중국의 환경과 관련된 이러한 거시적 변화는 중국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인을 찾고자 다양한 분야의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이 중국 소비자의 환경관심 및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의 북경, 상해, 청도에 거주하는 327명의 중국소비자들로부터 실증분석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사회적 공감은 환경관심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 중 인지적 공감과 거시적 관점수용만 환경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은 모두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중국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 연구 분야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설명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학문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거시적․미시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확인은 중국 진출 국내기업들에게 친환경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400원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우리 사회는 거절과 무시라는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경험의 증가로 인해 공격 행동, 자기 자멸적 행동, 인지 능력의 저하와 같은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유형인 무시와 거 절이 각각 과시적 소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근육 강화에 의한 체화된 인지가 그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무시와 거절 조건의 참가자에게 악력기를 통한 근육 강화 (firmed muscle)로 체화된 인지를 형성시킨 후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prosocial behavior)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무시 조건의 경우 악력기를 통한 근육강화 집단이 근육비강화 집단 (통 제 집단)에 비해 더 낮은 과시적 소비 경향과 더 높은 친사회적 행동 의도를 보였으나, 거절 조건의 경우 근육강 화 집단과 근육비강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적 배제 경험 중 무시의 경우, 체화 된 인지를 통해 효능감의 동기를 높이면 친사회적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4.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가구의 사회적 배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사회적 배제는 필수소비재, 사회적참여비, 교육비, 의료비, 주거관련비의 소비로 한정하여 보았 다. 이를 위하여 2013 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 1,186가구를 조사대상 으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영역별 배제율은 교육비(57.0%), 의료비(47.2%), 사 회적참여비(30.3%)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배제 여부를 보면, 가구주 유배우자와 월평 균총소득이 높을수록 필수소비재를 비롯한 사회적참여비, 교육비, 주거관련비가 배제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배제를 받는 대상자의 소비배제 심도는 월평균총소득 이 높을수록 교육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배제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부머가 일자리를 유지하도록 준비하되, 단순하고 신체적인 일자리로 한정하는 것 이 아니라 은퇴 전 업무와 연결될 수 있는 직종을 개발하고, 급여체계 또한 개발이 필 요하다.
        5,800원
        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d on the credibility and image of a food corporation by analyzing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food purchases of consumers. This analysis was undertaken in an attempt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eets consumer demand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SR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food corp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image of the corporation and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ical aspect of the CSR activ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while their charitable aspect had the least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regarding the food corporation. Thus, it appears that establishing of suitable ethical doctrines and guidelines for corporate management by food corporation is effective in emphasizing the ethical aspects of their policies through transparent management by means of fair trade.
        4,500원
        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외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CSR)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선 소비자들이 외국 기업에 대해 국내 기업 보다 높은 수준의 CSR를 기대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와 동시에 외국 기업의 CSR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외국 기업의 CSR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가호감도, 가치 이론에서 제시하는 개인의 가치관중 자아 증진 가치와 자아 초월 가치, 그리고 상황 이론의 관여도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163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유럽 자동차업체의 CSR에 대한 기대를 조사하였다. 검증 결과, 우선 응답자들은 외국 기업에 대해 국내 기업보다 높은 수준의 CSR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외국 기업의 경제적 책임에 대한 기대는 개인의 자아 증진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나,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한 기대는 국가 호감도와 상황적 관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SR의 하위 단계인 경제적 책임이 상위 단계의 책임인 법적, 윤리적 그리고 자선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business environment changes with higher consumer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an before. However, many fashion companies are unaware of such a wave of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hey are not so much interested in making any investment or policy for CSR activities. Besides, despite changing environment and consumer demands, there are very few studies dealing with this matter. Thu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proper types of CSR activities for fashion companies. In addition, it also intended to determine potential effects of CSR activitie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behavi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onsumers' perceived suitability depending on types of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y.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suitability of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has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Thirdly, the more favorable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owing to their CSR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higher consumer satisfaction. Fourthly, the more favorable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are also correlated with the higher consumer intention for purchase. Hence, it is required that fashion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CSR activities, and als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CSR activities for consumers.
        4,600원
        8.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Past research has not given much attention to the roles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type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ir satisfaction to the alternative exposed to them. Current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oderation role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s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 recovery satisfaction, and this research also explored whet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hei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peripheral relationshi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50 participant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Participants of each group took forceful steps in choosing on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χ2-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at the number of choosing each alternative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one 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nts are satisfied to the alternative chosen by them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 Marketers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type of justice when developing alternatives by which consumers’ service failure can be recovered. They should suggest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to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hereas they should develop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for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An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rvice failure they also should focus on interaction justice.
        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더바디샵의 국내진출 이후에 등장 한 국내의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들의 이타주의적 사회공헌 활동이 소비자들로부터 어떻게 인식되어지며, 소비자들로부터 공감을 얻어내고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타주의적 소비자의 사회적 표출적 욕구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국내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고, 또한 각 브랜드의 이미지와 메시지에서 어떠한 이타주의적 가치관을 표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서 사회표출적이고 윤리적 브랜드는 이타주의적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얻어진 소비자의 공감은 소비행위라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가정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 대표적인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4개 [더바디샵], [네츄럴리퍼블릭],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를 선정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각 브랜드의 정보와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표출로서의 기능에 대한 인식과 수단으로써 구매태도를 가지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이타적 소비자들은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서 자신의 가치관을 사회적으로 표출하고 있었으며, 집단주의적 가치를 지닌 소비자는 사회공헌적인 브랜드 이미지와 메시지에 대해서 높은 호감과 구매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소비자들은 사회공헌적인 브랜드의 상품이라고 할지라도 구매에 있어서 추가비용까지를 지불하려는 의사는 그리 높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의 소비자들은 사회공헌적 브랜드의 활동은 지지하지만 아직 추가 비용까지를 지불할 의사는 낮다는 소극성이 보여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