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COVID-19) 상황으로 감염예방과 관리지침에 따라, 정신간호학 실습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가 없어, 긴급하게 온라인 실습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현장실습 대체 온라인 실습에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하여 온라인 실습 교육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 3학년 학생 31명의 성찰일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의 실습이 종료된 2022년 4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자료 수집하 였고,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 2019)의 내용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 성찰일지 를 내용분석한 결과,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함’, ‘정신건강의 가치를 알게 됨’, ‘정신질환자의 회복에 대해 생각함’, ‘치료적 의사소통 향상에 노력함’,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감소됨’, ‘온라인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이 듦’의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서의 간호대 학생의 성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성찰일지를 대면 실습 혹은 정신건강전문가 양성과정에도 활용하여 연구하기를 제안한다.
        5,800원
        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BL class was applied to a Vietnamese video class. 13 learn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it was examined whether all learners grew toward their learning goals, and if so, through what process they grew. When group 1 announces a task, groups 2 and 3 perform peer evaluation and submit a peer evaluation sheet. For this, group 1 categorized the contents of peer evaluation into reflecting, partially reflecting, revised, and not reflecting to prepare the presentation evaluation sheet. Further, they were required to write a reason why “not reflecting.” A reflection log was also submitted.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assignments were immediately revised, supplemented, and developed every week through peer and instructor evalu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instructor learned in detail what kind of reflection the presenter and team members were doing each week. In particular, learners achieved ‘up-leveling’ with the activeness of immediately accepting each other’s strengths while conducting peer evaluations on each other’s presentations. This shows that the weekly assignments are improved, while the competencies of both the presentation team and peers a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5,200원
        3.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ve proces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y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entered in their teaching journals during a four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Thirty-three student teachers were asked to report critical incidents in their journals once a week, especially focusing on „lesson breakdowns‟ or „events that deserve critical significance‟ during a lesson. 133 journal entri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4 critical incidents were analyzed to see some aspect of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and the reflective processes that student teachers went through right after the incidents. From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y critical incidents happen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lesson and were mostly caused by student teachers‟ lack of experiences in either time management or material preparation tailored to students‟ level. By describing and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student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ir assumptions about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transfer knowledge into real practices. A survey administered after the practicum also revealed that self-observation of critical incidents in their own classroom helped them to generate powerful insights about teaching and to develop reflective teachers.
        7,000원
        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찰일지 작성 전후의 성취도 차이를 비교하여 성찰일 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찰일지 내용을 성찰유형별로 분류하여, 성찰유형과 성취도와 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고등학생 35명이 온라인 프로그래밍 과제 5개를 수행하면서 작성한 성찰일지를 내용성찰, 과정성찰, 비판적 성찰로 유형을 분류하고, 7점 척도 에 의해 채점하였다. 성찰일지 작성 전후의 성취도의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확률 .000으로 학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찰유형과 성 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정성찰(r=.579, p<.01)이 성취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문제해결에 필요한 전략적 성찰인 과정성찰이 성취도 향상 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5.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와 성찰일지 학습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전략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75명의 예비여교사들을 개념도 전략 집단, 성찰일지 전략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다시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후 시험을 통해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개념도는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성찰일지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양식별 학습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렴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 모두 학습 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 전략은 학습 성과에 효과적이나, 성찰일지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