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과수원에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붙 이(Grapholita dimorpha)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이들의 피해 현황과 발생 양상의 차이에 대한 정보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의 신 초와 과실에서 복숭아순나방류 유충을 채집하여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분 자동정법으로 가해 종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숭아원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 순나방붙이 성충의 발생 소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성페로몬 트랩에 유살된 모 든 성충에 종 특이적 분자진단법을 적용하여 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신초를 가해 하는 종은 모두 복숭아순나방 유충이었으며, 과실에서 채집된 유충 중에서는 92.5%가 복숭아순나방이었고, 나머지 7.5%만이 복숭아순나방붙이인 것으로 확 인되었다. 올해의 경우 복숭아순나방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4회(4월 중순, 6월 상 순, 7월 중순, 8월 중하순)였던 반면,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에는 3회(5월 중순, 7 월 중순, 8월 중순)에 걸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복숭아 생육초기에 발 생하는 세대에서는 2종의 발생 시기가 크게 달랐지만, 생육후기에는 발생최성기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과실에 대한 피해가 큰 복숭아순나방을 중심으로 방제전략 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제주, 밀양, 원주의 잡곡포장에 왕담배나방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유인량을 조사하였다. 지역간 왕담배나방의 평균 발생량은 제주에서 총 329마리로 밀양 및 원주보다 각각 0.5배 및 4.7배 많았다. 왕담배나방의 발생최성기는 지역별 차이가 매우 심하였는데, 제주는 7월 상순~9월 상순, 밀양은 7월 하순∼9월 중순, 원주는 8월 중순∼9월 중순까지로 나타났다. 유효적산온도에 따른 성충의 연간 발생 세대수는 제주 및 밀양이 4세대, 원주가 3세대였다. 1세대 초발생시기는 제주, 밀양, 원주가 각각 5월 3일, 5월 9일, 5월 12일로 제주에서 가장 빨랐다. 반면 2세대는 제주, 밀양, 원주가 각각 7월 11일, 7월 8일, 7월 11일로 밀양에서 가장 빨랐고, 3세대도 제주, 밀양, 원주에서 각각 8월 21일, 8월 18일, 8월 22일로 밀양에서 가장 빨랐다. 4세대는 제주 및 밀양에서 각각 10월 14일, 10월 9일이었다. 왕담배나방 유충의 수수종실 섭식량은 3령, 4령, 5령, 6령에서 각각 5.4개, 12.7개, 31.9개 및 54.2개로 령기가 증가할수록 섭식량도 증가하였다. 왕담배나방 2~3령 유충에 의한 수수 이삭의 피해율은 출수기가 이삭당 유충 1마리 발생시 32.5%, 2마리 62.2%, 3마리 80.8%, 4마리 91.8% 이었고, 개화기는 1마리 21.7%, 2마리 39.8%, 3마리 61.5%, 4마리 80.4% 이었다. 그리고 등숙기는 1마리 10.9%, 2마리 18.6%, 3마리 29.3%, 4마리 46.4% 이었다. 수수 생육단계와 왕담배나방 유충의 발생밀도에 따른 수수의 수량 감소율과의 관계식은 출수기 Y = 23.278X+6.744, R2 = 0.9636, 개화기 Y = 20.197X-0.0712, R2 = 0.999, 등숙기 Y = 11.343X-1.1201, R2 = 0.9807 이었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수수포장의 왕담배나방 유충에 대한 요방제 밀도 (5% 수량감소율)를 산출한 결과, 20이삭당 출수기는 1.4마리, 개화기는 5.0마리, 등숙기는 10.8마리였다.
        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부지역 배 과수원에서 채집된 잎말이나방 종류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Adoxpohyes spp.),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사과잎말이나방 (Hoshinoa longicellana), 갈색잎말이나방(Pandemis heparana), 매실애기잎말이나방 (Rhopobota naebana) 등이었으며,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가 82.3%를 차지하였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의 암컷 성페로몬 성분은 Z9-14:OAc (80%)과 Z11-14:OAc (20%)이었으며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Z11-14:OAc (97%)과 Z9-14:OAc (3%)이었다.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E11-14:OAc (70%)과 Z11-14:OAc (30%)를 성페로몬 성분으로 이용하는 반면에, 사과잎말이나방은 Z11-14:OAc (80%)과 E11-14:OAc (20%)이었다. 갈색잎말이나방은 3가지 성분(Z11-14:OAc, Z9-14:OAc 및 Z11-14:OH)을 95:3:2의 비율로 이용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수원지역에서 수컷 성충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상순, 9월 중순이었으며,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6월 상순과 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한편 사과잎말이나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9월 중순이었다.
        4.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낙엽과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유리나방류 3종(복숭아유리나방, 사과유리나방, 포도유리나방)에 대한 월동 충태, 월동 장소 및 성충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bicingulata)과 사과유리나방(Synanthedon haitangvora)은 다양한 령기의 유충으로 주간과 주지 속에서 월동하였는데, 전체 월동유충 중에서 노령유충이 차지하는 비율은 복숭아유리나방이 12%였고 사과유리나방의 경우에는 35%였다. 그러나 포도유리나방(Nokona regalis)의 경우에는 모두 노숙 유충으로 피해신초 속에서 월동하였다. 복숭아유리나방과 사과유리나방 성충은 5월부터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기 시작하였으며 9월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복숭아유리나방의 초기세대에서는 성충 발생최성기가 분명하지 않았으나 후기세대에서는 8월 하순에 뚜렷한 최성기를 나타냈다. 사과유리나방 성충은 6월 중순과 9월 상순에 각각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한편, 포도유리나방 성충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었으며,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이었다.
        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oxophyes spp. (Lepidoptera: Tortricidae) ar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fruit trees in Asia and Europ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ree Adoxophyes species, A. orana, A. honmai and A. paraorana, in Korea was surveyed using species-specific sex pheromone traps for males in 2006 and 2007. The distribution of A. orana was restricted in the midwestern area, while A. honmai was found mainly in the southern area. In contrast to these two species, A. paraorana was widely distributed. Moreover, A. paraorana coexisted with A. orana in the midwestern area, and with A. honmai in the southern area. The seasonal fluctuation of male catches was monitored with pheromone traps in 2008. In the central regions, males of A. orana and A. paraorana were captured from May to September, with peak numbers in late May, middle July, and late August. A. honmai males were trapped from late April to late September, with peak catches in middle May, late June, early August, and early September in Naju.
        4,000원
        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요해충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국내 분포상황을 종특이적인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은 중서부 지역(안성, 평택, 천안, 아산)에 국부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차애모무늬잎 말이나방(A. honmai)의 경우에는 남부지역(완주, 울주, 진주, 나주)에 주로 발 생하고 있었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남양주, 화천, 영월, 충주, 상주, 장수 등을 비롯한 중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 서부지역에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공존하고 있었으며, 남부지역에서는 차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중부지역에서 애모무늬 잎말이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충은 연 3회 발생하였으며, 각 세 대의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및 8월 하순이었다. 남부지역에 우점하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연 4회 발생하였는데, 5월 중순, 6월 하순, 8월 상순 및 9월 상순에 각각 성충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The chestnuts infected by the weevils were collected from Gongju, Buyeo, and Cheongyang in Chungnam Province, Republic of Korea. Investigation was focus on the escape period of chestnut weevil larvae from the fruits, invading time and vertical distribution in soil, survival rates of larvae during overwintering, emergence period, emergence rate, and sex ratio and longevity of adults. For precocious species, larvae escaped the chestnut from the mid-September to the early-October, middle species and slow species, were escaped from the late-September to the mid-October and from the early-October to the mid-November. After escaping from the chestnut fruits all of the larvae burrowed into the soil within 35 minutes. Overwintering larvae inhabited in the range of 0~48 ㎝ from the soil surface and highly distributed in the range of 18~36 ㎝. The 74.1% of wintering chamber were distributed within 18~36 ㎝ from the surface. Survival rates observed were 38.0% in 1st year, 16.0% in 2nd years, and 2% in 3rd years, respectively. Seasonal occurrence period of C. sikkimensis was from the early-Aug. to early-Oct. and the optimal occurrence period was the early and mid-Sept. Emergence rate decreased to 8.4% in 1st year, 3.6% in 2nd years, and 0.8% in 3rd years, respectively. Sex ratio was showed in the range of 0.51-0.55. It is female biased ratio. Longevity of adults was 9.9 days for female and 8.9 days for male.
        4,000원
        8.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male sex pheromone of the peach leafminer, Lyonetia clerkella Linne (Lepidoptera:Lyonetiidae), was analyzed by coupled gas chromatographic-electroantennographic detector (GC-EAD). GC-EAD analyses of pheromone gland extract revealed a single compound that elicited responses from male antennae. Retention time on DB-l column of EAD-active compound was identical to that of syn-thetic (14S)-14-Methyl-1-octadecene (14Sme-1-18Hy). In field tests, sticky traps baited with synthetic l4Sme-1-18Hy alone were highly attractive to male. Traps with 0.1 ㎎ dose showed the lowest catch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moth caught in traps baited with doses of 0.5 and 1.0 ㎎. The results of the field assays for longevity of pheromone traps showed that effectiveness of lures maintained for at least 8 weeks under field condition. The attractiveness of 14Sme-1-18Hy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in lures as an antioxidant. Traps baited with 0.5 ㎎ 14Sme-l-18Hy were successfully used to monitor L. clerkella male flights. Analysis of seasonal trap catches over two years showed that moth flight activity in peach orchards occurred over a period of seven months with six generations in Suwon.
        4,000원
        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의 주요 해충인 담배나방은 유충이 과실 속에서 가해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수원지역의 고추 포장에서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전체 발생기간은 5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였으며 각 세대의 발생 최성기는 6월 하순, 7월 하순 8월 상순, 8월 하순 9월 상순이었다. 월동세대와 1세대 성충 발생기간 중에 트랩유인 수준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유충에 의한 과실의 피해정도를 잘 반영하였다. 그러나 고추 생육후기에 발생하는 2세대의 경우 트랩에 유인되는 성충의 수는 매우 많았으나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페로몬 트랩으로 조사된 세대별 성충 발생시기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약제방제 시험을 수행한 결과, 각 세대별 성충 발생 최성기를 중심으로 연 5회에 걸쳐 살충제를 살포하면 유충에 의한 과실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