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1795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함께 화성에 머문 8일 동안의 주요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한 ≪화성능행도병(華城陵行圖屛)≫ 중 한 작품인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의 의례 속에 어떤 소리가 보이는지, 그리고 그 소리에 무슨 의미가 담겨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림 속에 나타난 당시의 소리풍경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화성능행도병≫의 바탕이 되는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해 <봉수당진찬도>에 나타난 의례의 순서와 절차, 쓰인 정재와 음악, 창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조가 직접 하교 하여 시행된 정재로는 헌선도, 포구락, 무고, 아박, 향발, 학무가 추어졌으며, 반주곡으로는 여민락, 환환곡, 오운개서조곡, 천세만세곡, 유황곡이 연주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재와 함께 불린 창의 가사를 분석한 결과 송축, 나라의 풍요로움, 올바른 음악 추구, 어머니를 향한 자식의 효의 의미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정조는 이 의례를 통해 효를 강조함으로써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신원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그림에서는 상단에 많은 소리가 보였는데 정재를 추는 여령들 과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악공들의 모습이 두드러져보였다. 진찬연에서 종합적인 의식을 이끌며 진행하는 사회자 역할을 한 여집사와 정리사의 소리도 보이며 의빈척신에게 음식과 술이 부족한지 물어보며 나눠주는 여관들의 소리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봉수당진찬도>는 되도록 의례의 많은 소리를 화폭에 담아 재현함 으로써 정조의 정치적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려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림에 나타난 의례의 소리풍경을 분석하여 소리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정조 시대의 소리문화를 밝힌 데 있다.
        6,400원
        2.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시대를 대표하는 국중(國中) 최고의 화가였던 김홍도 (金弘道, 1745-1806년 이후)는 문인 수준의 지적 소양까지 겸비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양반이 아니면 사회적 대우를 거의 받지 못했던 신분제 사회의 질곡은 김홍도 또한 넘기 힘든 벽이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형성 된 엄격한 신분제 사회라는 한계 속에서 김홍도가 느꼈을 비애와 자기 연민을 중심으로 이러한 그의 신분 의식이 어떻게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분제적 모순에서 김홍도가 느낀 소외감과 불만을 유추해보는데 가장 중요한 작품은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이다. 이 그림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그림 오른쪽에 적혀있는 김홍도의 제발로 그 내용은 “생황의 [길고 짧은] 들쑥날쑥한 모습은 봉황의 날갯짓 같고 월당(月堂)에 울려 퍼지는 생황 소리는 용(龍)의 울음보다 처절하네(筠管參差排鳳翅, 月堂凄切勝龍吟)”이다. 김홍도가 느낀 신분제적 차별과 관련해서 주목되는 것은 “용의 울음(龍吟)”이다. 중인 출신의 시인이었던 이득원(李得元, 1639-1682)은 한 시에서 “용처럼 으르렁거리고(龍吼) 빈산의 귀신처럼 울부짖는 칼”로 신분제적 차별 속에서 고통받았던 자신을 비유하였다. 그런데 이 제발에서 김홍도는 용의 울음보다도 더 처절한 생황 소리를 자신의 울분과 고뇌를 표현하는 상징으로 활용하였다. <단원도(檀園圖)>(1784년, 개인 소장)는 김홍도가 1781년에 자신의 집에서 강희언(姜熙彦, 1738-?), 정란(鄭瀾, 1725-?)과 같이 가진 모임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의 제발에서 김홍도는 이 모임을 ‘진솔회(眞率會)’로 지칭하였다. 그런데 이 진솔회는 북송시대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의 아회였던 ‘진솔회(眞率 會)’를 모델로 한 것이었다. 김홍도가 자신의 모임을 사마광의 진솔회에 비유한 것은 그가 스스로에 대해 매우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김홍도는 당시(唐詩), 송시(宋詩)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다수의 시의도(詩意圖)도 제작하였다. 김홍도는 문 인적 소양을 갖춘 화가로 높은 자존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김홍도는 뛰어난 재주와 능력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뜻을 펼칠 수 없었다. 중인으로서 그가 느낀 슬픔과 좌절감은 그의 그림 속에 녹아있다. 정조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도화서 화가였던 그의 화려한 명성 뒤에 숨어있었던 그의 신분 의식을 고려하지 않는 한 우리의 김홍도에 대한 이해는 절반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6,0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Soswaewon construction represented in Kim In-Hu's 48 poems on the basis of the concept and idea of soundscape. It classified the landscape resources through the various emotional elements such as the sense of sight, hearing, smell, touch, taste, and warmth described in the 48 poems of Soswaewon, and also interpreted the meaning and value of Soswaewon construction. Appreciating various sounds of Soswaewon, Kim In-Hu understood a soun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landscape. Also, he abundantly wrote down the interesting changes of Soswaewon which vary depending on time or seasons. The 48 poems contain the scent and feel of Soswaewon as well as the soundscapes which can be heard with ears. A variety of sounds heard in Soswaewon are the whole sense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hill of Soswaewon, the fragrance of trees and the mystery of the mountain, etc, and they mean the wider world much more than the value of physical sounds. Soundscapes of Soswaewon are becoming an emotional space which intactly conveys not only the musical inspiration but also the scent of life to us.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