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고통을 단순 병리로 환원하거나 회피・억압하려는 태도는 그 본질을 놓치고 고통을 심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와 불교상담의 고통에 대한 이해와 치유 접근을 비교 분석하고, 통합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ACT는 인지적 융합, 경험 회피, 자기 동일시 를 고통의 핵심 원인으로 보고, 개방성・알아차림・능동성 강화를 통해 심리적 유연성 회복을 지향한다. 불교상담은 무명과 집착에 기반한 분별 과 망상을 고통의 근원으로 이해하며, 정견, 사띠, 반야, 계・정・혜의 실 천을 통해 존재 방식의 전환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정은의, 김형록, 박찬욱, 이충현 등 국내 주요 불교상담가들 의 상담 구조와 실천 기법을 종합하여 체계화하고, ACT와의 구조적 유 사성에 기반하여 치유 과정을 ‘인식과 수용-관찰-통찰-실천과 전환’의 네 단계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고통을 마음의 기능적 흐름 속 작용으로 이해 하고, 통찰과 실천을 통해 삶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도록 돕는다. 이는 현 대 심리상담에 적용 가능한 대안적 치유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ICT관련 연구직 직장인에게 수용행동 향상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 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목적으로 수용전념치료 기반 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 는 경기도 김포시에 ICT업계 종사자들로써 ㅇㅇ기업 기술 연구소 에 근무중인 현직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무작위로 구분하여 15명씩 총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12 회기를 실시하였다. ACT 기반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ACT이론 삼각 모형의 6단계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원예활동은 현재 나의 관찰을 도와주는 플라워 박스, 감각 속에 나의 시간 느끼는 꽃병 꽃꽂이, 인지적 융합 이해를 위한 장미 곱슬 버들 리스, 수용을 촉진하는 포프리 상자, 나의 가치를 표현하는 핸드 타이드 꽃다발, 자신의 현재 감성을 표현한 잔 디 인형 만들기를 하였다. 매회기 원예 활동 후에는 토론을 통하여 ACT 이론을 자연스럽게 복습하도록 하였 다. 평가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측정 도구(PWBS)와 수용행동 측정도구 (AAQ) 그리고 한국인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 세가지를 사용 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2.0 을 이용하여 실시 전 대조군과 실험군의 동질성과 실시후의 효과성은 독립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그룹내의 사전 사후 변화 비 교는 대응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예치료 실시 후 투자수익률(ROI)기법 을 이용하여 원예치료 프로 그램의 경제적 효과성을 알아 보았다. 프로그램실시 후 AAQ 검사의 하위요인인, 기꺼이 경험 하기, 행동 2개 모두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PWBS 검사 결과에 따르면 하위요인 6개 중에서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반면 개인 적 성장 자아수용 2개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KOSS검사에서는 8개의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관계 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물리환경,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스트레스 상 황을 단순하게 인내하거나 부정적인 상황을 회피하고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원 그 자체를 그대로 경험하고 수용할 것을 강조하 는 수용전념 치료의 맥락을 원예활동으로 전환하여 체험과 토론을 통하여 AAQ와 PWBS의 향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투자수익율 (ROI) 분석을 통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경제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투자대비 109%라는 수익률이 산출되어 경제적으로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CT 기반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은 연구직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짧은 시간 내에 즐거움과 동시에 치료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이라고 판단된다.
Purpose: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is a new treatment approach that focuses mindfulness, and it is classified as the third wave i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Method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a 8-week's ACT program designed specifically for four female archers who had stress and chronic pain. In order to explore process of the ACT, the researcher utiliz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Results: The results exhibited various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in six components of ACT program: acceptance, defusion, self as context, focus on present, value, and commitment. Each participant described cognitive-behavioral changes through the ACT program. Conclus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ir changes in terms of‘increasing in awareness', 'diminishing in pain and stress diminishing pain and stress', 'recognizing peer relationship', 'valued goal-setting', 'decreasing negative thought'. Finall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s in mindfulness, and the suggestion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여자 양궁선수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수용 전념 치료(ACT)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ACT는 마음 챙김에 초점을 둔 새로운 치료 접근으로, 인지 행동 치료의 3흐름으로 분류된다. 전통적인 심리 기술 훈련은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사고, 정서, 그리고 신체 감각을 통제하거나 바꾸어야 한다는 접근에 기초하지만, ACT는 이러한 내적 경험을 통제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실제로는 역설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지닌 고등학교 여자 양궁선수들에게 8주 간의 ACT를 평가하였다. uBioClip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를 측정하였고, 운동스트레스, 수용행동 질문지, 개정된 인지적, 정서적 마음 챙김 척도가 ACT의 기저선, 처치, 추후에 실시되었다. 4명의 단일 피험자 ABA설계가 이용되었으며, 시계열 자료는 시뮬레이션 모델링 분석이 이루어졌고, 리커트 자료는 신뢰 변화 지수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ACT는 스트레스, 수용행동, 마음 챙김에서 유의한 의미 있는 개선을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