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factors for a successful venture have on business performance. To fulfill this goal, factors for a successful venture are presupposed as the four elements of business creator, technological innovation, type of strategy, and organization, while business performance is set as subordinate variable, with a view to creating a model and establishing a hypothesis for a positive analysis. Data collection for the posi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s for sampling, of the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greater metropolitan region and registered with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s of late December 2012, 98 companies have been selected for the final data. And I have come up with the two following results. First, factors for venture success have all proven to exercis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of all factors for venture success, business creator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exercise hug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From these two conclusions, it is understood that to upgrade business performance of a venture, business creator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 other factors.
        4,000원
        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과적인 수출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수출성과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수출 마케팅전략과 수출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선진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선진국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수출 마케팅전략과 수출성과와의 관계를 수출주도형 경제발전전략으로 성공한 중진국인 한국의 경험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수출 마케팅 전략의 다섯 가지 주요 마케팅 믹스, 예를 들어 제품, 브랜드, 가격, 유통, 촉진 믹스가 한국 기업의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고유 브랜드의 사용, 제품 적응 전략, 가격 적응 전략, 직접 수출 경로 및 해외 유통업체에 대한 판촉 등이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 광고비와 해외 전시회 참가 등은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선진국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과거 연구 결과와의 비교가 이루어지고 한국 및 개도국 기업의 수출마케팅전략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6,000원
        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어 능력이 수출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400개 기업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외국어 능력이 수출마케팅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 구사능력이 우수한 기업일수록 해외시장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거나 현지의 상관습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협상시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여 심리적으로 경쟁사보다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 또 수출마케팅 능력의 향상은 수출성과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수출마케팅 부서 내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임직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해외시장 정보를 경쟁기업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이 수출비중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부서 내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임직원의 수가 많을수록 현지의 상관습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며, 상관습의 이해는 수출 성장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7,000원
        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표는 베트남, 캄보디아의 기상환경에 적응하는 고품질(高品質) 내병(耐病) 내재해(耐災害) 다수성(多收性) 탈립 및 탈립 저항성(脫粒抵抗性) 품종의 육성 후 수출과 육성 개발품종의 종자상품화를 통한 현지 농가보급 활성 화 및 탈립 저항성 품종을 활용한 대면적 재배농가 확대로 재배면적과 생산량 증대 및 국가식량자급도 향상 방안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베트남 현지의 내습성 및 내병성 유전자원 수집과 인공교배로 국내품종의 내습 성과 내병성을 보강하고, 동남아 기후 및 재배여건에 적합한 영농기술체계 확립하여야 한다. 캄보디아 베트남에 서 생산한 품종의 품질평가를 통하여 고기능성 및 고항산화 품종을 육성, 대 중국 종자시장 소비시장과 세계무역 시장 진출 및 국내수입참깨시장에서의 수입대체효과 유발 및 원가절감 방안을 소개한다. 수출 시장개척 및 마케 팅 전략으로 우수 육성품종의 종자상품화로 현지 전국의 종자 및 농약사에 우수한 품질의 종자를 농가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농가의 재배수익성 증대로 생산과 재배면적을 증대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캄보디아 베트남은 일년의 절반은 건기와 우기로 나뉘어져 한발과 침수가 교차하므로 한발 및 습해저항성 유전자원과 함께 국내에서 무서운 역병, 위조병, 엽고병 등에 강한 유전자원이 풍부히 산재, 수집된 유전자원을 교배모본으로 활용, 국내품종 의 재해 및 병해저항성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품종의 고품질화를 통해 중국 상류층의 “한류”에 부응, 세계 최고급 농산물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캄보디아 베트남 현지농장의 대면적 재배생산 시스템 확립으로 전 세계 세계 무역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