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숭어과 어류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광염성 어류이다. 이들의 형 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분류학적인 면에서나 명명법에 있어 많은 논란이 있다. 숭어과 어류 중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어종은 숭어(Mugil cephalus)와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로, 일반적으로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숭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 내의 학술적인 자료 및 옛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혼용되고 있는 숭어류의 학명 및 어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숭어의 학명은 M. cephalus로 사용되고 있지만, 가숭어는 Chelon, Mugil, Liza 속명이 혼용되고 있다. 숭어류의 어명에 대해 국내사전에는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 하지 않고 있으나, 일어, 영어, 중국어사전에서는 숭어와 가숭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옛 문헌에서는 숭어류를 '치어' 또는 '수어'라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숭어와 가숭어 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산어보에서는 가숭어를 치어(참치어)로, 숭어를 가치 어로 기록하고 있어 '가(假)'자의 붙임이 현재와 달리 사용되고 있었다. 가숭어는 양식되고 있는 종으로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이 모색되고 있는 단계에서, '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 하였을 때 가숭어라는 어명 대신에 ‘참숭어’로의 어명 변경을 제안한다.
        4,000원
        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Survival rate (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was 3.671.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and fishing mortality (F) was estimated to be 0.325 /year, 0.962 /year for flathead grey mullet. Also fist capure age of flathead grey mullet was 3.61year. The current biomas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19.6 M/T and F0.1 and F40% were estimated 0.340 /year, 0.225 /year. For the stock assessment result, flathead grey mullet was not overfished but overfishing.
        4,000원
        4.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eosu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Spawning season estimated from the gonadosometic index (GSI) was from November to Januar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adability of the otolith was described and criteria for the interpretation of otolith was provided. The annual ring was formed in September once a year. Annual ring in otolith for flathead grey mullet is validated for fish aged 1-8 using the marginal increment analysis. Using the sectioned otolith, between reader precision was 84%. Also, Within-reader agreement for sectioned otolith age readings was higher (reader 1=84%, reader 2=87%).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total weight was TW=0.022FL2.818. The estimated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for the flathead grey mullet were L∞=67.97cm K=0.164/year and to=-0.81year.
        4,200원
        5.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수 돌산도의 동쪽 승망 어장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수온, 해저지형, 조류의 이동과 어획량을 조사하여 대상어장의 환경을 평가하였다. 또한 동 해역의 5개 정점에서 체장 22.0~51.0cm의 숭어 160마리를 5회에 걸쳐 표지 방류하여 숭어의 이동방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승망 어장에서 수온은 2월에 가장 낮고, 3월 이후 점점 상승하여 8월에 최고가 되며 9월부터 다시 하강하여 10월과 11월 사이에 급격하게 하강하였으며, 그 범위는 6.9~27.4℃이었다. 월별 숭어의 여획량은 3월부터 9월까지 양호하였으나, 10월과 11월 사이에 수온이 급격하게 하강하면서 어획량이 줄어들었다. 숭어는 연중 수온범위 6.9~27.4℃에서 어획되었으며, 특히 수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15.0~25.0℃의 범위에서 어획이 양호하였다. 2. 돌산도 동쪽 해역의 승망 어장에 분포한 등심선은 승망 어구가 설치되어 있는 연안쪽에는 6~13m의 범위로 조밀하게 분포하고, 어장의 외해쪽에는 14m 이상의 넓은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다. 3. 승망 어구가 설치되어 있는 연안쪽에서 낙조류와 창조류는 해안선을 따라 각각 남류와 북류하였다. 연안 외해측에서 조류는 우전환류가 나타나 낙조류는 남동류로 평균유속은 43cm/secdldjTdmsk, 창조류는 북서류로 평균 유속은 25cm/sec이었다. 4. 숭어의 표지방류 후 재포율은 평균 9.4%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장별 재포율은 계동 연안이 33.3%로 다른 연안어장보다 높았다. 돌산도 연안에서 숭어의 이동은 육수의 유입이 많은 내만을 찾아 이동한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남하이동보다는 북상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4,000원
        6.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behavior of the Striped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setnet by telemetry techniques. The telemetry system consists of a pinger of 50KHz, three omni-directional hydrophones and ultrasonic receivers, a single board computer for the signal processing, two RF transceivers for the data comunication and a personnel computer. The fish tagged the pinger was tracked by the LBL method, and its location was calculated by the hyperbolic method. The fish escaped from sea surface to 7m deep right after release and had been swum near the sea surface after 30 minutes being released. Also, in horizontal movements, the fish stayed long time around the enterance of the square net in setnet, and showed the escaping behavior repeatly. The average speed of the fish was about 0.41m/sec(1.1 times of the body length)
        4,000원
        7.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0KHz, 200KHz용 과학어군탐지기로서 한국연안에서 많이 어획되고 있는 숭어 Mugil cephal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의 자원량을 추정할 때 보다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 어류에 대한 체장별, 체중별, 어체의 자세별 초음파 반사특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숭어, 쥐노래미, 도다리의 초음파 반사특성은 대체로 이들 어체의 등방향 60˚~120˚사이가 가장 큰 경향을 나타내었고, 200KHz가 50KHz보다 예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2. 50KHz 주파수에서의 초음파 반사강도는 어체의 자세가 Rolling 방향일 때가 Pitching 방향일 때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도다리, 쥐노래미, 숭어의 전장별, 체중별 초음파 반사강도의 변환계수 A, B는 각각 -66.8dB, -69.8dB, -70.9dB, -54.1dB, -56.8dB, -57.1dB이였다. 3. 200KHz 주파수에서의 초음파 반사강도는 어체의 자세가 Pitching 방향일 때가 Rolling 방향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도다리, 쥐노래미, 숭어의 전장별, 체중별, 초음파 반사강도의 변환계수 A, B는 각각 -71.6dB, -71.9dB, -74.1dB, -58.8dB, -60.2dB이였다. 4. 어체의 부위에 따른 초음파 반사강도는 도다리와 숭어의 경우 등방향을 중심으로 ±15˚범위가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쥐노래미의 경우 ±30˚범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200원
        8.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지혈증 흰쥐에 있어서,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 제조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 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G군을 비롯한 고지혈증 유발군(CW군), 고지혈증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CCP군)을 5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