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irt pattern tha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golf swing motions. The pattern was made with 3D body surface shape data that changed according to dynamic golf postu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golf swing motions. The 3D body surface data in golf swing postures piled up on the 3D surface data in a static pos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shape data changed more in the address, back swing, and finish postures than the other swing postures. The experimental pattern was developed with 3D surface scan data in those three golf swing motions. The pattern had raglan sleeves and the front-bodied piece was divided into two pieces with a princess line, which comes from armscye line of the address posture. The back bodice piece was divided into three pieces with a yoke line and a back princess line. The yoke line was made by back shoulder shape in the back swing posture. The level of comfort of the experimental garment and commercial golf shirts was evaluated by 38 women golfers. The experimental garment pattern was evaluated to be more comfortable in golf swing postures than commercial golf shirts.
        4,300원
        2.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찾기 위하여 체형별로 세가지 스윙패턴(1패턴- 높은 스윙, 2패턴- 깊은 스윙, 3패턴- 넓은 스윙)을 적용하여 신체분절의 협응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동작과 효과적인 스윙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형별로 각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3가지 스윙패턴을 Kwon 3D ver. 3.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운동학적 자료를 기초로 동작수행 시각관절의 공간적 협응형태를 알아보고 구간별 각 관절(무릎- 고관절- 상체)이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라 어떻게 협응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절간 각도-각도 도면(angle-angle diagram)을 작성하여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릎-고관절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에서 전환점동조, P3에서 동형동조, P4에서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고관절 상체의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구간은 이형동조, P4에는 동형동조 협응형태를 보였다. 무릎 상체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동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에는 동형동조, P4에는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내배엽체형은 스윙의 크기를 적게 형성하고 하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체의 좌, 우 움직임이 많고 백스윙이 간결한 형태의 스윙을 가졌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고 중배엽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상대적 각도 차이를 크게 가져가며 중심축과 양 힙축을 중심으로 상체의 회전만으로 스윙했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으며 외배엽체형은 스윙아크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하여 하나의 중심축으로 상체회전을 시켜 백스윙의 높이를 높게 가졌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 형성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