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골프 스윙동작의 체형과 스윙패턴에 따른 협응형태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Coordinative Patterns of Golf Swing Motions According to Somato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3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찾기 위하여 체형별로 세가지 스윙패턴(1패턴- 높은 스윙, 2패턴- 깊은 스윙, 3패턴- 넓은 스윙)을 적용하여 신체분절의 협응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동작과 효과적인 스윙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형별로 각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3가지 스윙패턴을 Kwon 3D ver. 3.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운동학적 자료를 기초로 동작수행 시각관절의 공간적 협응형태를 알아보고 구간별 각 관절(무릎- 고관절- 상체)이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라 어떻게 협응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절간 각도-각도 도면(angle-angle diagram)을 작성하여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릎-고관절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에서 전환점동조, P3에서 동형동조, P4에서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고관절 상체의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구간은 이형동조, P4에는 동형동조 협응형태를 보였다. 무릎 상체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동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에는 동형동조, P4에는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내배엽체형은 스윙의 크기를 적게 형성하고 하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체의 좌, 우 움직임이 많고 백스윙이 간결한 형태의 스윙을 가졌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고 중배엽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상대적 각도 차이를 크게 가져가며 중심축과 양 힙축을 중심으로 상체의 회전만으로 스윙했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으며 외배엽체형은 스윙아크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하여 하나의 중심축으로 상체회전을 시켜 백스윙의 높이를 높게 가졌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 형성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effective swing method of golf swing according to three somatotypes(1 pattern-arc swing, 2 pattern-leverage swing, 3pattern-width swing) and purpose of bring swing model new paradigm and effective body motion compare to body coordinative. The subject consist of 9 male golfers who 3 male golfers per somatotypes and three of there golf swing pattern were analyzed using kwon 3D 3.0 program. coordinative pattern of the knee-hip-upper body to compar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 swing mo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ordinative pattern of the knee and hip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The coordinative pattern in the trunk and hip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The coordinative pattern in the trunk and knee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장비
  3. 실험과제 및 절차
  4. 스윙패턴
  5. 분절의 정의와 분석국면 설정
  6. 자료분석방법
 Ⅲ. 결과 및 논의
  1.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른 비거리, 정확도, 헤드속도
  2. 무릎⋅고관절 각도-각도 다이어그램
  3. 고관절⋅상체 각도-각도 다이어그램
  4. 무릎⋅상체 각도-각도 다이어그램
 Ⅳ. 결 론
 ABSTRACT
저자
  • 박재영(전남대학교) | Park, Jae-Young 교신저자
  • 이계윤(전남대학교) | Lee, Kye-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