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전문가 사전인터뷰(골프 프로 7명, 골프 전문가 2명)을 통해 사용된 문항을 확인하 였으며, 요인 간 문항 수는 코칭행동 6문항, 레슨만족 4문항, 지속의사 4문항의 선정 절차를 이루었다. 이 에 2024년 6월 1일~12월 23일까지 충청권에 소재한 골프연습장(12개소)를 선정, 표본추출법 (Non-probablity Sampling Method)을 통하여 불성실 답변자 21명을 제외한 총 181명을 SPSS와 AMOS 21.0(ver)을 활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코칭행동과 통제적 코칭행동은 레슨 만족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적 코칭행동과 통제적 코칭행동은 지속의사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슨 만족은 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 해보면, 부분적으로 자율적 코칭뿐만 아니라 통제적 코칭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역시 인식되어야 할 부분이며, 이는 프로의 레슨을 통해 골프 실력 향상의 목적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골프 프로의 인적서 비스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만큼 그 역할의 소명 의식이 강조되는 부분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뚝섬과 과천 서울경마장의 경주로 내부에 만들어졌던 마사회 골프장의 건설과 운영 그리고 폐장에 대해 고증하고자 문헌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뚝섬 서울경마 장 마사회 골프장은 박정희 대통령의 권유에 따라 1969년 6월 30일 경마장 주로 안에 3개의 골프코스와 연습장을 갖추고 덕마골프구락부라는 이름으로 개장하였다. 그 후 1970년 4월에 6홀로 증설하였고, 1971 년 6월에는 9홀 규모로 증설하며 덕마골프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리고 1972년 10월 9일 한국마사회가 덕마흥업주식회사를 인수하며 다시 마사회 골프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88년 제24회 하계올림픽 개최 후, 뚝섬 서울경마장이 과천으로 이전을 추진하며 골프장도 1989년 7월 3일 9홀로 이전하여 개장하였다. 그러나 경마장에 골프장이 있다는 것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1993년 연말을 마지막으로 골프장 을 폐장시키고, 그 부지를 시민 놀이공간으로 조성하여 일반에게 공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뚝섬 마사 회 골프장이 서울시에 인수되어 만들어진 뚝섬 체육공원 골프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국골프사 연구에 또 하나의 새로운 고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파크골프 용품을 구매하는 뉴실버세대들의 구매결정요인과 구매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세종, 충북에 거주하는 파크골프 용품 소비자 2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크골 프 용품 구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구매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파크골프 용품 구 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재구매에 영향을 미쳤고, 가격과 품질, 브랜드파워가 구전의도에 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매만족은 구매 후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파크골프 용품의 경우 하 나의 채를 이용하여 경기가 진행되므로 채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신중히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마케팅 주 체인 뉴실버세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용품을 생산한다면 구매한 용품에 대해 만족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재구매 및 구전을 하는 행동의도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골프 시장 극대화 성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골프 앱 어포던스 특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자 몰입감과 e-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2022년 6월 1일 ~ 8월 1일까지 중국선전(深圳), 싼야(三亚), 쑤저우(苏州)에 골프 앱 사용중인 총 504명의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 과 첫째, 골프 앱 어포던스의 하위요인별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가 즐거움 및 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감의 하위요인별 즐거움, 주의집 중이 사용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 주의 집중은 골프 앱 어포던스의 하위요인별 인지적, 감각적, 기능적 어포던스가 사용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커뮤니티 시설을 이용 중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 긍정적 감정 반응 및 이용 만족이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11월 9일 ~ 2024년 6월 17일까 지 24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커뮤니티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긍정적 감정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의 공조환경, 공간배치가 이용 만족에 부분적으로 영 향을 미치며, 이는 제공되는 환경적 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특히 청결한 환경에서 이용하길 원하는 지금의 이용객 성격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감정반응은 이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하는 대부분에 이용객들은 일상, 즉 삶과 밀접한 장소를 선 호하며, 특히 생활권 내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는 만큼 시설에 대한 보수 정비 그리고 운 동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본 연구는 중국인 골프 참여자를 대상으로 과시적 여가소비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과 심 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국 북경시, 심천시, 연태시, 연길시의 4개 대도시를 중심 으로 골프 활동에 참여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743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 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는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심리적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프 참여자의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 해소와 자아존중감이 과시적 여가소비와 심리적 웰빙을 매개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스트레스 해소와 자아존중감은 과시적 여가소 비를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로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 서는 골프 여가활동을 통한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요소들과 소비심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진다 면 관련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실버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파크골프가 지닌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및 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9월 16일부터 12월 10일까지 충청권에 거주하는 뉴실버세대 총 255명을 분석하였다. 첫째, 재미요인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크골프 참 여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파크골프 참여자들은 재미 요소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을 느끼고, 차후 행동에도 관계가 있음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전과 다른 뉴실버인들의 행동을 범위를 파악하고,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 되는 시점임을 인지하여 생활체육으로서 활성화가 될 수 있는 방안제시 역시 강구 해야 할 것이다.
파크골프는 실버세대들이 신체적, 비용적으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으로서 자리매 김하고 있다. 이에 파크골프 참여자들의 열정적인 참여행동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파크골프 참여자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및 AMOS 18.0 을 이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EM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열정적 행동과 운동몰입 의 관계는 조화열정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강박열정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열정은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운동몰입은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열정과 운동 성과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열정이 저하되지 않도록 파크골프장의 환 경을 개선해 준다면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는 향상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ctional golf inner-wear by preventing the injuries and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Golf swing by checking the influence of the wearing of the functional golf inner-wear considering golf characteristics on the Swing trajectory and Shot distance. Functional inner-wear effective for golf swing was manufactured using the sports taping method. Changes in driver and iron swing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functional golf inner-wear manufactured in this way were measured using trackman equipment. Measurement variables were limited to Club Speed, Attack Angle, Club Path, Ball Speed, Smash Factor, and Priority. Before and after wearing functional golf inner-w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iver club speed, iron club speed, driver etch angle, iron club pass, driver ball speed, driver smash factor, iron smash factor, driver carry, iron carry, and right shoulder joint proprioceptive sensory ability. As a result, functional golf inner-wear is effective for ball speed, impact, and carry by increasing club speed and efficient swing.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golf that can improve the swing ability in a short gam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olf game through various sports taping grafting technique, textile, special material, film, Research on functional golf inner-wear.
본 연구는 열정을 갖고 파크골프에 참여함으로써 느끼는 운동만족 및 행동의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상은 파크골프 참여자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 대상은 2023년 7월 20일 ~ 9월 14일 까지 세종시에 거주하면서 파크골프를 하고 있는 대상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을 활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열정은 운동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열정은 행동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운동만족은 행동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는 파크골프의 열적적 감정이 만족감과 행동의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써 참여자의 열정이 저 하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면 파크골프 저변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열정적 행동이 훈련만족 및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 히고자 하였다. 이에 2023년 4월 1일~6월 23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적으로 ‘골 프선수’, ‘골프훈련’, ‘골프시합’ 등을 키워드(Key word)를 설정하여 연구에 부합하는 요인을 추출 후 SPSS & AMOS 21.0를 통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훈련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열정적 행동은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훈련만족이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골프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기 보단 성장과정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갖춰져야 하며, 자기결정이 유의한 내면화의 표 출 방식? 훈련에 대한 효율성? 을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 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골프웨어 브랜드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들 중 골프웨어를 구 매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49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도입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을 실시했다. 더불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 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모든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로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태도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PA 기법을 이용하여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의 골프장 선택속성 요인에 대한 재방문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처리 및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직원 예절, 만족도는 식당 및 식음료 가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IPA 매 트릭스 분석 결과, 지속유지에는 8개, 집중개선은 14개, 낮은 우선순위는 5개, 과잉노력지양은 3개의 선택 속성이 분포하였다. 셋째 비용, 접근성, 코스시설, 부대시설, 캐디 전문성, 이용객 관리의 만족도가 재방문 과 추천 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으로 한정하였기 때 문에 골프문화가 다른 국가에서 연구된 선행연구와는 그 결과를 비교하는데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 문에 문화의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헹가(Iyengar) 요가 수련이 골프 스윙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이론 적 배경 중심으로 문헌적으로 분석하였다. 아헹가요가는 전통적인 요가 원칙을 바탕으로 신체와 정신 의 조화를 추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헹가요가 수 련은 골프 선수들의 유연성을 개선하고, 스윙의 범위를 확장하여, 클럽 헤드 속도를 증가시켜 골프 스 윙 능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근력 및 밸런스 향상을 통해 정확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골프 경기의 수 행력을 증가시킨다. 셋째, 골프스윙으로 인한 불균형한 골퍼들의 좌우 비대칭을 완화하며, 부상 예방 과 회복을 도와 골퍼들의 정신적 요소를 개선한다. 아헹가요가 수련이 골퍼들의 바른 자세, 유연성 개 선, 근력 증가로 골프 스윙시 일관적이고 정확성이 향상되어 비거리가 증가되고, 상해를 예방히여 경 기력을 높이데 효과적으로 골프의 정교함과 비거리 향상을 도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골프웨어 브랜드 진정성과 브랜드 애착 및 충성도 간의 구조적인 모형을 검증하여 골프웨어의 브랜드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골프웨어를 구매했던 유 경험자를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29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했다. 자료처리 방법은 빈도분석과 신뢰도 의 내적일관성, 타당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했다. 프로그램은 SPSS(ver. 21.0)와 AMOS(ver. 20.0)를 활용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골프웨어의 브랜드 진정성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웨어의 브랜드 애착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웨어의 브랜드 진정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골프웨어의 브랜드 진정성 및 충성도 간의 브랜드 애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운동문화가 형성되어 가고 있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운동을 겸하고 있는 대학 에 재학 중인 골프 종목 체육특기자 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대학 생활에서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 나 겪어 본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있는 A 대학 골프학전공에 재학 중인 10명의 특기자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택하였으며,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Strauss와 Corbin(1990)이 밝힌 분석 방법에 따라 개념에 대 해 결론을 끌어내고 개념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코딩 패러다임을 구성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개방 코딩에서 117개 개념, 16개 하위범주, 10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로 인과적 조건은 “비대 면 수업의 대학 생활”, 맥락적 요소는 “실기 운동”, “수업 참여”로 범주화하였으며 중심현상은 “골프 종목 체육특기자 학생으로서의 대학 생활 의미”로 보았다. 중재 조건은 운동과 학업을 함께하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관계 형성”, “능력향상”으로 정리되었으며 작용/상호작용전략은 “학문 연구”, “부정적인 생각”으로 범주화했으며, 마지막으로 결과는 “지난 대학 생활 되돌아보기”, “정체성”, “미래 설계”로 구성하였다. 이러 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된 체육특기자(골프) 학생들의 운동과 학업을 병행하는 삶의 과정에 대한 모 형을 근거 이론적 패러다임의 방법 절차에 따라 범주화하였으며, 골프 종목 체육특기자들은 운동 생활이 학업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쉼이 없는 대학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었으며, 그리고 운동과 학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학생 선수의 역량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골프 분야에서 인적 서비스에 해당하는 골프 지도자의 코칭행동과 지도자 신뢰, 재등 록 간에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2022년 2월 1일∼3월 11일까지 223명을 유효표본으로 인과 관계 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첫째, 코칭행동과 지도자 신뢰 간에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고, 둘째, 지도자 신뢰 와 재등록 간에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다. 마지막으로 코칭행동과 재등록 간에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지만, 지도자 신뢰의 간접효과로 행동의 유효성을 존재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고객이 인식하는 코칭 행동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력이 존재하며, 지도자 신뢰는 골프장 경영성과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변화하는 골프 시장에서 인적 서비스가 주목되어야 할 부분임을 강조하는바 기존 선행 연구와 본 연구를 대입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