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지간 협응 움직임 분석을 통해 무용 표현에 있어 숙련도, 타이밍, 움직임 협응 요소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무용 숙련자 6명과 비숙련자 6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무게 표현 동작을 팔 들고 내리기와 무릎 굽히고 펴기의 사지간 협응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움직임 속도 조건(빠른 속도, 느린 속도)과 협응형태 조건(같은위상 형태, 반대위상 형태)에서 이루어졌다. 협응 타이밍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절대오차와 가변오차가 이용되었으며, 상지와 하지의 협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상관분석이 사용되었다. 타이밍 정확성과 안정성 분석 결과, 숙련자 집단이 비숙련자 집단에 비해 적은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보였다. 움직임 속도에 있어서 두집단 모두 빠른 속도 조건에서 적은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보였다. 협응형태에 있어서 숙련자 집단은 반대위상 형태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을 보였으나, 비숙련자 집단은 같은위상 형태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숙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표현 동작 타이밍과 사지 협응 형태가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2.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찾기 위하여 체형별로 세가지 스윙패턴(1패턴- 높은 스윙, 2패턴- 깊은 스윙, 3패턴- 넓은 스윙)을 적용하여 신체분절의 협응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동작과 효과적인 스윙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형별로 각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3가지 스윙패턴을 Kwon 3D ver. 3.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운동학적 자료를 기초로 동작수행 시각관절의 공간적 협응형태를 알아보고 구간별 각 관절(무릎- 고관절- 상체)이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라 어떻게 협응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절간 각도-각도 도면(angle-angle diagram)을 작성하여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릎-고관절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에서 전환점동조, P3에서 동형동조, P4에서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고관절 상체의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구간은 이형동조, P4에는 동형동조 협응형태를 보였다. 무릎 상체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동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에는 동형동조, P4에는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내배엽체형은 스윙의 크기를 적게 형성하고 하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체의 좌, 우 움직임이 많고 백스윙이 간결한 형태의 스윙을 가졌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고 중배엽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상대적 각도 차이를 크게 가져가며 중심축과 양 힙축을 중심으로 상체의 회전만으로 스윙했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으며 외배엽체형은 스윙아크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하여 하나의 중심축으로 상체회전을 시켜 백스윙의 높이를 높게 가졌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 형성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