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방 이후의 시기인 탈식민지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어교육은 철저히 배 제되었다. 한국어를 국가의 언어로 인정함과 동시에 생활언어와 교육언 어에 있어서 한국어를 되돌리고자, 대한민국 각처에 남아있는 일본어 간 판 및 일본 서적 등 일본어적 색채를 일소시키기 위한 신문화 운동이 일 어났다. 이러한 반일 및 배일 관념의 심화로 인해 일본어교육은 공백기 에 들어갔지만, 장면 정권기, 대(對)일 적극책으로 노선을 변경함에 따라 반일 감정이 조금씩 완화되었다. 이 시기 일본 서적 및 영화 등 일본의 대중문화가 유입되었고 그에 따라 일본어를 배우려는 20대 수요층이 크 게 늘어났다. 전국적으로 일본어 강습소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났고 한일 국교정상화를 앞두고 일본어교육의 필요론을 제기하는 시민들, 개인의 출세를 위해 암암리에 일본어를 학습하는 자들도 많았다. 박정희 정권기 인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면서 양국의 경제교류는 활발해졌고 1973년부터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 일본어교과목 지정과 대학에서의 일 본어학과 개설 등이 본격적으로 행해졌다. 이를 통해 국민의 주체의식 확립을 위해 ‘부정’적이었던 일본어교육이 ‘수용’이라는 관념으로 시대적 기능이 전환되었다. 본고에서는 해방 이후 일본어교육의 성행 과정과 양 상을 살펴보고 일본어교육이 성행하게 된 요인과 시대적 기능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에서 일본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의 미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5,5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이광수의 역사소설 <단종애사>가 당시 식민지 시대의 대중문화(유행가)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광수의 문학이 과도하게 계몽적임을 비판하면서, <단종애사> 역시 그 한계를 띤 작품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시대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다시 생각해볼만하다. 따라서 본고는 <단종애사>가 산출된 시기를 전후한 대중문화 중 유행가 <사의 찬미>, <황성의 적>, <낙화유수>를 살펴본 후 그것이 부재 에 대한 비애의 정조라는 통속적 감정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이광수는 대중들의 기대지평에 맞게끔 비애의 정조를 활용하여 통속적인 소설을 창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의 작가의식을 용해시켜 식민지 시기의 시대정신을 <단종애사>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통속성 속에 보편성을 담아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에 <단종애사>에 나타난 식민지 시대정신은 바로 비애가 어디에서 왔는지 질문할 수 있는 문제제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면모는 같은 시기에 나왔던 딱지본소설 <단종대왕실기>와 비교해 보았을 때 더욱 선명해진다. 따라서 <단종애사>는 단순히 계몽운동의 한 일환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식민지 시기의 시대정신을 잘 담아내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해야할 것이다.
        5,400원
        3.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thesis analyses the most popular Korean Protestant magazines “The Youth” and “The Christian News” during the colonial era, in order to examine the Korean Protestant understanding of war and peace of the time. This war, utilizing modern scientific knowledge for military weapons, was an unprecedented disaster that forced Korean Protestants to realize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war’. As Protestantism sought the cause of war in state-ism, scientism, and capitalistic competition, it started to critically view the limitations, contradictions, and necessity for reformation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which used to be a role-mod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critical revision towards historical practices of Christianity, and also search for the ideal Christian response towards war. In general, the human crisis-war-and Christianity was understood as conflicting concepts and Christianity needed to maintain a non-belligerent stance. The philosophies of Tolstoy and Ghandi’s non-violent social disobedience were also introduced. It is debatable how much their philosophies were understood, but it holds true that there wa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Protestantism at the tim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that rejected the capitalistic liberalism ideals, that sought the future ideal society in villagecommunities represented by small farmers, and that practiced this through non-violence social disobedience. But such philosophical thought and search towards peace decreases with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Eras of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was dominated by arguments of Holy Wars based on definitions of self as absolute right and the enemies as absolute evil. Such Holy War theories become vastly spread throughout Korean Protestantism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generalized as the Korean Protestant response towards war. Today, the Korean peninsula where North and South Korea are hostile towards each other, is a power cake of the world and the possibility of war increases with North Korea’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In order to realize the Christian ideals of ‘respect towards life’ and ‘realization of peac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re must be critical analysis about the peaceful traditions of colonial times and also the arguments of ‘righteous war’ in order to define what allows wars to be righteous. For Christianity to mediate conflicts of interest and politics, there needs to be much more meditation on what Christianity can do to actively build peace. Moreover, there is a critical need to continuously find and review peaceful movements within church history, such as the ‘The World Day of Prayer for Women Incident’ conducted by women of a nameless church during the Pacific wars, at a time in which the Holy War theory was dominant.
        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항구도시 칭다오가 20세기 전반에 근대도시로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칭다오의 근대도시화 과정은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공통점을 보여주며 강대국 등 정치적 지배 세력에 의해 4개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독일 점령기 동안에는 칭다오의 구도심 영역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었다. 두 번째 일본 1차 점령기 동안 칭다오의 도심 영역은 북쪽과 동쪽으로 확장되어 기존 도심의 북쪽으로 금융 및 업무시설이 형성되었고 그 북쪽에서 대항에 이르는 지역에는 공업지역이 넓게 형성되었다. 세 번째 북양군벌 및 국민당 통치기 동안 칭다오는 국제적인 상업과 금융, 휴양도시로서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네 번째 일본 2차 점령기 동안 건축 활동은 활발하지 못했으며 이 기간 동안 일본은 중국 대륙 침략의 관문으로서 칭다오를 활용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