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후 6개월 이상 지난 3명의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ABAC디자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기초선(A1) 1주, 중재기(B) 2주, 기초선(A2) 1주, 그리고 중재기(C) 2주로 총 6주간 진행되었으며, 중재기(B)에서는 완곡추적 안구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EM)의 단일중재를, 중재기(C)에서는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Neck Muscle Vibration; NMV)과 SPEM의 결합중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매회기 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Bells test)를 실시하였으며, 한국판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Catherine Bergego Scale; K-CBS)와 한국판 일상생활활동 중심 작업기반 신경행동 평가(Korean version of ADL-focused Occupation-based Neurobehavioral Evaluation; K-A-ONE)를 기초선(A1)의 첫 회기와 각 중재기의 마지막 회기에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SPEM과 NMV를 단일 또는 결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편측무시의 지필검사(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와 관찰적 검사(K-CBS와 K-A-ONE)에서 편측무시가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결합중재시에 더 효과가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측무시가 개선됨에 따라 일상생활활동의 수행(K-A-ONE)에서도 향상을 보였는데, 편측무시 환자의 일상생활을 저해하는 신경행동 손상은 편측무시 뿐만 아니라 공간관계나 마비와 같은 손상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신경행동 손상의 중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해야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PEM과 NMV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 활동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aking the cognitive psychology approach,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Korean learners’ French text reading. Especially, it examined the readers’ eye movements (i.e., fixation and saccade) recorded by the eye-tracker. To this end, 14 Korean students of the French language at the language level of A2 and B1 or even higher, and three French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reading, the learners’ eyeballs did not follow the text but moved irregularly (i.e., ‘saccade’). The six major results were observed: (1) decoding a word in a syllable unit; (2) more fixation on grammatical words of Korean learners compared to French speakers; (3) reading repeatedly with numerous regressions; (4) irregularity of the duration of fixation; (5) numerous fixed points of long gaze duration; and (6) diversity of reading strategies. This suggest that readers pay a lot of attention when they process words, sentence structure,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ruct Korean learners of French to reconcile spelling and phoneme as well as to reduce the learners’ anxiety towards French texts. Cette recherche, s’inscrivant dans le domaine de la psychologie cognitive, a pour objet de mieux connaître la lecture de textes français chez des lecteurs coréens. Nous avons étudié en particulier les mouvements oculaires (fixation et saccade) des lecteurs, enregistrés à l’aide de l’oculométrie. Pour ce faire, nous avons mené une expérimentation auprès de 14 coréens, étudiants du français, de niveau A2, B1, voire plus, et de 3 français. Le résultat nous a montré que la lecture ne se fait pas de façon linéaire, mais de manière saccadée. En outre, six phénomènes sont particulièrement observés chez les coréens: (1) décodage en syllabique d’un mot; (2) fixation attribuée plus fréquemment aux mots grammaticaux par rapport aux français; (3) lecture répétitive venant des saccades régressives; (4) irrégularité de la durée de fixation; (5) nombreuses fixations de longue durée; et (6) diversité des tactiques de lecture. Ces phénomènes montrent que les lecteurs ont attribué beaucoup d'attention aux traitements des mots, des structures de phrase, etc. Par conséquent, il est nécessaire d’enseigner la correspondance entre graphie et phonie et de supprimer une attitude craintive à l'égard des textes français, chez les apprenants coréens.
목 적: 간접적 안구 운동 검사 방법인 New York State Optometric Association King-Devick (NYSOAK-D) 및 Developmental Eye Movement (DEM)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직접적 안구 운동 검사 방법인 안구운동 추적 장치(Eye Movement Tracking Device, SMI, Co.)를 사용하여 측정된 안구 운동 변수가 두 검사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학생 86명(22.60±1.68세)을 대상으로 NYSOA K-D 및 DEM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안구 운동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주시, 홱보기 및 눈 깜박임 안구 운동 변수의 횟수 그리고 지속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안구 운동 추적 장치로 측정한 검사 수행 시간은 NYSOA K-D 하위 검사 1, 2 및 3에서 각각15.85±3.46 sec, 15.45±3.32 sec 및 15.69±3.16 sec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EM 하위 검사 A, B 및 C에서 16.03±2.82 sec, 16.45±2.96 sec 및 15.69±3.19 sec로 시표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하위 검사SA 및 SB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YSOA K-D 및 DEM 검사에서 주시 수행 시간이 홱보기 수행 시간보다 더 많았고, DEM 검사에서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시표에서 홱보기 수행 시간이 더 감소하였다. 결 론: NYSOA K-D 및 DEM 검사에서 주시운동의 수행시간이 홱보기보다 더 크고,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의 시표에서 홱보기의 수행시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주시 및 홱보기 안구 운동 능력을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과 안구운동이상자를 대상으로 수직 및 수평 배열 시표가 모두 포함된NYSOA K-D나 DEM 검사와 안구운동추적검사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