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조선시대 귀신과 요괴는 어떤 모습이었으며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필기와 야담집, 그리고 몽유록과 소설 등에서 관련 기록을 살펴보았다. 귀신․요괴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서사 적 이야기가 많이 수록된 조선초기 필기서인 용재총화 였는데 여기에서는 초자 연적 현상에 대한 설화적 경이를 주로 담고 있었다. 이후 임병 양란을 거치면서 문학작품에는 귀신과 요괴의 형상이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으니 강도 몽유록 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형상과 어우야담 에 실린 풍부한 요괴담이 그것 이다. 이들 작품은 참혹한 귀신과 요괴의 모습을 통해 부패하고 부정한 현실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귀신의 형상은 18세기로 오면서 약화되었다. 그렇다고 이 시 기에 귀신담 자체가 약화된 것은 아니었으니 천예록 의 경우는 작품의 반 이상 이 귀신담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선후기 강고해진 유교이념에 의해 귀신담은 주로 조상의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요괴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모 습은 필기․야담집에는 거의 사라지게 된다. 대신 19세기 이후 고전소설에는 원 귀형 여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뒤이어 1900년대 이후 완성된 여귀의 원형이 된다. 19세기 원귀형 여귀들은 이전 설화 속 여귀의 계승이며 조선후기 가부장적 이념 하에 여성에게 가해진 폭압을 의미한다. 1900년대 초중반에 가면 외국 영화의 영향과 60년대 이후 폭발적 인기를 끌었 던 전설따라 삼천리 의 영향으로 한국 공포 영화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 다. 반복적으로 영화화 되었던 장화홍련전 의 경우 초기에는 고전소설의 내용과 동일하게 가정비극적 성격을 지녔다면 후기로 갈수록 공포영화적 기법이 확대되 어 괴기스런 원귀의 모습을 보인다. 바로 그것이 현재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여귀의 형상이다. 현재 우리에게 친숙한 여귀의 모습은 근대 시각 문화가 발달한 1960년대 이후의 산물이다.
        6,000원
        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을 고찰해보기 위해 『청구야담(靑邱野談)』, 『어우야담(於于野談)』, 『천예록(天倪錄)』, 『동야휘집(東野彙輯)』, 『계서야담(溪西野談)』, 『기문총화(記聞叢話)』, 『동패락송(東稗洛誦)』, 『청야담수(靑野談藪)』, 『금계필담(錦溪筆談)』등의 야담집에서 퇴치담 작품 45편을 선택하여 동물 퇴치담의 특징과 사회적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동물 퇴치담에서 주로 퇴치의 객체는 호랑이, 여우, 뱀, 수리, 멧돼지, 고양이가 등장한다. 퇴치의 주체나 방법 면에서 각각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동물 퇴치에 주로 이용되는 도구는 살촉없는 철적(鐵鏑), 주문, 불, 칼, 나무, 도술, 돌, 죽창(竹槍), 쇠뭉치 등이며, 주체는 주로 당시의 이름난 사람 또는 동물이다. 퇴치의 주체로 등장하는 인물은 정북창(鄭北窓), 정고옥(鄭古玉),서화담(徐花潭), 이복영(李復永), 이수기(李修己), 신현(申俔), 박명현(朴命賢), 이우(李堣), 박엽(朴曄), 이덕재(李德載), 강감찬(姜邯贊), 민창혁(閔昌爀) 등이며, 동물은 야학(野鶴), 맹수, 호랑이, 족제비, 뱀, 쥐, 해동청 등이다. 동물이 동물을 퇴치하는 경우는 일곱 작품이며, 38편은 사람에 의해 퇴치되는 경우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랑이를 퇴치하는 작품이 25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뱀 퇴치가 13편, 여우 퇴치가 4편, 멧돼지 퇴치가 1편, 수리 퇴치가 1편, 고양이 퇴치가 1 편이 있다. 각 퇴치담에서 퇴치 객체는 퇴치의 주체가 되는 인간이나 동물에게 해가 되는 존재이며, 퇴치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존재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호랑이 퇴치의 경우 호랑이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이다. 손자를 데려가거나, 처녀를 위협하거나, 아버지를 죽이는 존재가 호랑이 이다. 또한, 뱀은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해를 가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뱀은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서 익힌 알려진 동물이지만, 야담집에서 퇴치의 객체로 등장하는 뱀은 착취와 재앙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양어(養魚)를 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백성에게는 뱀이 착취의 대상이 되며, 사람의 아들로 변신한 뱀은 한 집안의 장래를 위협하는 재앙의 대상이 된다. 고도에 홀로 남겨진 사람에게 뱀의 존재는 단순한 위협의 대상뿐만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경쟁자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매의 새끼를 잡아먹는 뱀은 종족의 평안을 해치는 재앙의 존재이자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존재이다. 여우를 퇴치하는 작품에서 퇴치의 객체가 되는 여우도 뱀과 유사하다. 온갖 신묘한 도술을 부리며 비범(非凡)한 사내의 정혈과 오장을 먹으며 생을 이어가는 구미호는 신(神)조차도 어찌할 수 없었던 존재로 재앙을 몰고 다니는 존재이다. 인간을 농락하기 위하여 화담의 집안에 인간으로 변신하여 인간을 농락한 여우는 천리(天理)를 어긴 존재로 역시 재앙의 존재인 것이다. 야담에 등장하는 퇴치 대상의 이러한 다양성은 악의 화신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겠다. 악은 늘 퇴치의 대상이 되는 존재이며, 과거로부터 만인의 질시를 받는 대상이다. 야담에서도 이와 같은 악의 존재는 퇴치의 대상이 되며, 퇴치를 통해 백성들은 안녕을 추구하게 된다. 퇴치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작품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재앙을 퇴치한다는 측면에서 동일하다. 전통적으로 고전문학 작품들이 추구해 온 권선징악의 사고방식은 야담에도 적용된 듯하다. 동물 퇴치담의 작품들이 재앙의 상징인 호랑이와 뱀과 여우 등을 퇴치한다는 측면에서 권선징악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권선징악은 단순히 선을 권면하고 악을 징치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사회 정의를 구현한다는 점과, 인간 존중 사상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백성들의 가난과 병고, 재앙을 퇴치해 줌으로써 감히 벗어날 수 없는 가난과 병고를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게 하는 것이 바로 퇴치이다. 호랑이·뱀·여우 등의 퇴치의 객체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재앙의 퇴치가 궁극적으로 백성들의 삶을 평안하고 부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백성들은 삶의 하루 하루를 버티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힘들고 지쳤을 것이다. 곁에 재앙을 두고도 무기력하게 당해야만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을 보면서 백성들이 구제받고 있으며, 악은 반드시 징치된다는 명제에 간접적인 희열을 느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백성들 사이에서 구전되며 기록문학으로 정착된 야담은 이미 백성들에게 많은 희열과 희망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은 단순히 흥미만을 위한 작품은 아니었다. 당시의 사회상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며, 흥미롭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연구의 가치를 높여 준다. 학생의 재능과 흥미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돌아보건대, 야담집 소재 작품들은 학생들에게 충분히 흥미를 자극하고, 우리나라 고전문학의 우수성을 알리고, 건전한 가치관을 함양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11,300원
        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양식의 하나인 조선후기 野談은 조선전기 筆記 양식의 성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야담은 見聞의 기록을 특징으로 삼는 필 기가 하층 서민들의 구전서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인물군상의 욕망에 얽힌 서사에 주목함으로 써 성립한 양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야담은 근대를 겪으며 계몽을 위한 야담대회로 거듭났으나 식민지 현실에서 사회운동으로서의 의식성은 상실한 채 윤백남의 󰡔월간야담󰡕과 김동인의 󰡔야담󰡕 양대 잡지로 발간되며 대중들의 오 락물로서 통속화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두 야담 잡지는 공히 5년을 넘는 오랜 기간 존속하며 우리나라의 전 설, 逸話, 野史, 야담은 물론 조선 말기와 근대 초기의 비사들을 집대성하는 결 과를 얻어 내었다. 이는 잡지라는 근대 언론매체의 힘을 빌린 전근대 야담의 전 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서사물까지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서사를 수용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소 재를 수집하고 이를 다시 근대 잡지의 성격에 맞게 윤색할 수 있는 작가를 요청 하면서 1930, 40년대 야담 작가군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때 야담 작가들은 다 양한 소재의 발굴에 따른 개작, 윤색, 창작을 통해 저마다의 성격을 성취하였고, 식민지 성격의 변화와 함께 잡지의 운영에 맞춘 변모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고 는 이를 통해 야담 작가군이라는 식민지 시기 새로운 면모의 문학 현상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