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head and face are determined by genetical factors and they are important indicators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But it is known that they could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diet, conditions of nutrition, behavior and so on. In Korea,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diet pattem since 1970s that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body have been changed. But there was no anthropolygic studies on the facial features in Korean youth.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ead and facial measurements of the 22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ee from systemic and ocular diseases or abnormal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head height of the youth is similar with the adult, but other head measurements are smaller than those of adult. The face width and the face height of the youth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adult and the partial ratio of the subnasale-gnathion measurement on the face height is significant smaller than that of adult. In the face of youth head width, head length, face width and bitragion breadth are correlated weakly with the height and the subnasale-gnthion is correlated with the height significantly.
        4,000원
        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와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정온 환경척 요인에 의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인 종과 민족올 구별할 수 있는 특정이다. 얼굴형태는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달라지므 로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해부학적 자료가 계측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 및 전신질환이 없는 20-30세 사이의 성인 581 명(남자 껑4명, 여자 327 명)을 대 상으로 한국인의 측면 얼굴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계측항목율 성벌과 좌우 얼 굴변에 따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옵과 같은 결과훌 얻었다. 한국인 측면얼굴에서 tr - g 직선거리는 성벌에 따라 차이가 없으나 그 이외의 계 측항목에서는 좌우얼굴에서 뚜렷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남자의 계측값이 여자보다 더 길며 성벌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좌우 얼굴의 계측항목은 서로 높은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한국인에서 귀구슬최고점은 기준선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전면귀 구슬경사각은 개인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와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정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인 종과 민족올 구별할 수 있는 특정이다. 따라서 한국 대학생의 정면 얼굴형태를 분석 하기 위하여 외상 및 전신질환이 없는 17-30세 사이의 대학생 688명(남자 322 명, 여 자 366명)올 대상으로 머리높이, 얼굴높이, 미간얼굴높이, 이마높이, 눈썰최고점 glabella 직선거리, Glabella- 기준선 직선거리, 기준선 - subnasale 직선거리, subna잃le - gnathion 직선거리, 얼굴폭, 외안각사이거리, 내안각사이거리, Trichion- 눈캡최고정 직선거리, 눈캡최고점 - subnasale 직선거리를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한국 대학생의 정면얼굴은 얼굴높이가 다른 인종에 비해 길고 넓은 얼굴형태를 나타내며, glabella기준선 직선거리, 이마높이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남자에서 여자보다 길게 계 측되었고 성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 학생의 정면얼굴에서 상안, 중안 및 하안이 차지하는 비율은 하안, 상안, 중안의 순서 로 나타났으며, 상안과 하안의 길이는 얼굴높이에 영향율 주나 눈 주위 계측항목과 코높이는 얼굴높이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와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인 종과 민족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으로 눈의 위치는 눈의 일차 건강진단에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한다.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는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달라지므로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해부학적 자료가 계측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와질 훤. 안외상. 전선질환이 없는 18~33세 사이의 성인 689 명(남자 325 명, 여자 364 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될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계측치를 측정하였 고 각각의 셰측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추적하였으며 성별 및 인종에 따라 계측자료 플 비교 푼석하였다.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의 위치는 성별에 따라 통계화적으로 뚜 렷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의 위치는 얼끊형꽤와 서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 고. 다른 인종파 뚜렷한 차이플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얼굴형태와 눈 의 위치에 적합한 안경테 및 안경렌즈 제-죠 등을 위한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