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stalled and evaluated the efficiency of a radon barrier membrane, radon mat, and radon well in the removal and reduction of radon gas that originates from the soil and flows indoors. The study aims to present a fundamental and long-term solution to radon reduction in buildings by preventing soil radon, which is the main source of radon gas, from migrating indoors. A radon barrier membrane, radon mat, and radon well were developed and verified, and the radon reduction effect of each system was evaluated. Through applying a special radon gas blocking film with a 5-layer structure, the radon barrier membrane prevents radon gas particles from passing through the polymer deposited on the radon blocking film. The radon mat is a type of radon reduction construction method that induces radon gas generated from the soil under the building to move in the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plate-structured pressure reducing panel and discharges radon ga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an exhaust pipe and fan installed at the edge. In addition, the radon well can also be applied to special structures such as old buildings and historical sites wher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reduce radon concentration within the building foundation, because the intake area can be controlled and, therefore, the method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ranges. In the case of Intervention 1 (installing a radon barrier membrane and radon mat), the soil radon was reduced by 24.7%. Intervention 2 (installing a radon barrier membrane, radon mat, and radon well) reduced the soil radon by 45.1%,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il radon concentration was 1.8 times higher compared with installing only the radon barrier membrane and radon mat.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was reduced by 46.5%, following the reduction in soil radon concentration through Interventions 1 and 2, demonstrating the effect of reducing indoor radon gas by installing the radon barrier membrane, radon mat, and radon well. Through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prototype systems, this study confirmed the reduction effect of radon concentration in soil and indoor air. These systems achieved a higher efficiency at a relatively low cost than that achieved with the existing radon reduction methods applied in Korea and abroad.
        4,000원
        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가 간 농축산물의 교역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외래해충의 유입과 이로 인한 생태계 교란 및 농작물의 피해 위험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유입되는 해충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으로서 제한된 국내의 해충 전문가 및 간편한 해충동정 프로토콜의 부재에 따라 신속한 검역과 유입해충의 효과적 차단에 대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정되어 있는 식물검역대상해충은 1,373종으로서 외래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편하고 신속한 해충동정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린재류, 개미류, 미소나방류, 저장물 해충 등에 대하여 국내와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등에서 확보된 해충종 및 근연분류군을 중심으로 463종 2132개체의 표본을 확보하여 DNA barcode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897개체의 DNA barcode 서열을 확보하였다. 또한 표본에 대한 채집정보, 이미지정보, 생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여 검역관련 해충에 대한 동정에 활용 할 수 있는 Database를 구축하고 향 후 검역해충의 신속한 진단을 통한 외래해충의 유입 차단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에 따른 국가 간 농산물 수출입량의 증대에 따라 외래 유입종의 확산에 의한 생태계의 혼란과 피해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의 병해충에 대한 검역관리는 외래유입종 차단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 발견되는 해충은 대부분 egg, 유충 또는 약충기에 있는 경우가 많으며 형태적 방법에 의한 동정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통관의 지연이나 거부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해충의 종 동정은 기존의 형태학적 동정을 극복하는 대체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종 특이적 PCR 진단법이나 DNA barcoding과 같은 특정 DNA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한 종의 동정법이 널리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농립축산검역검사본부와 농진청 등의 기관을 중심으로 국내 농산물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해충 분류군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진단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정부분의 성과를 나타내는 시점에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 유입 가능한 해충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주요 교역국간의 상호협력에 의한 표준화 된 동정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DNA barcoding은 이러한 국제적 요구에 대한 매유 효과적인 표준화 수단이 될 수 있다. DNA barcoding은 10년이 조금 넘는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연구 분야로서 2003년 캐나다의 연구진을 중심으로 제안이 되었으며 국제적 컨소시엄의 구성과 협력연구 및 각 국가별 주요 생물자원에 대한 DNA barcoding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600편 이상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DNA barcode database인 BOLD system에는 5만종, 220만개 이상의 DNA barcode 정보가 등록이 되었으며 EU는 최근 3년간의 7th Frame Work Program을 통하여 QBOL을 구성하고 주요 해충에 대한 13,000개의 DNA barcode를 확보하였다. DNA barcode 연구의 최근 경향은 환경시료에 대한 대량분석과 NGS 기법을 이용한 DNA barcoding 경비의 절감을 통한 대중화를 들 수 있으며 2013년 가을 중국 곤명에서 개최된 제 5차 iBOL meeting에서는 다수의 환경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와 경제적으로 중요한 분류군에 대한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DNA barcode 연구에는 아직 여러 가지 어려움이 남아 있으며 그 중 각 분류군에 대한 universal PCR primer 개발문제, 생물종에 대한 명명법의 국제적 표준화 문제 및 정확하게 동정된 표본과 이를 통한 신뢰도 높은 reference library 구축의 시급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식물검역관리를 위한 관리급 해충 및 유사해충에 대한 DNA barcode reference library의 확보는 외래해충의 유입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단계로서 최근 농림축산검역검사본부는 주요 식물검역 관련 해충에 대한 reference library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식물검역해충의 국내 유입 및 확산에 대한 대비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4.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power plants are primarily using seawater as cooling water, they have been severely damaged quite often by various marine organisms inflow in power plants. So, various screen system - bar screen, travelling screen, drum screen and debris filter - have been used as a facility preventing harmful substances into the water intake of power plant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prevent too small organisms such as krill shrimp and large mucilages such as jellyf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creen system that can prevent harmful substances more efficiently. In the present study, the principal and shape of a air bubble barrier system was proposed as a screen system for preventing harmful substances. Then, analyt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environmental loading acting on the barrier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