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calable large high-resolution tiled display supports a number of users from any point and distance to view and use contents on the display. However, user interaction with the tiled display is not well supported by traditional mouse and keyboard due to the screen size and resolution. While many user interaction techniques for tiled displays have been investigated, no single user interface standard is existed yet. In this paper, we describ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ple input device user interaction system for a scalable distributed tiled display system. This interaction system presents the generalization and interaction mechanism of input information to handle various input devices to enable users to simultaneously interact with tiled display applications. This system aims at supporting more complex user interactions via several different types of input devices.
        4,000원
        2.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선형 구조계의 확률론적 지진해석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은 지진 재해도 수준에 해당하는 입력지반운동 모델을 사용한 시간이력을 수행하여 그 응답의 확률분포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입력지반운동 모델에 따른 구조계 응답의 분포특성 및 파손확률의 차이와 그 원인을 분석한다 입력지반운동 모델로는 실제 지진기록을 배율 조정하여 사용하는 배율조정 입력지반운동과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인공 지진기록을 사용하는 스펙트럼 맞춤 입력지반운동 두 가지를 고려한다. 동일한 지진재해도 수준을 고려한 해석결과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인공 지진기록을 사용한 입력지반운동 모델은 실제 지진기록을 배율 조정한 입력지반운동 모델보다 평균적으로 응답을 크게 평가하였고 이로 인해 파손확률 또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약한 지반에서 더욱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력지반운동 모델에 따른 파손확률의 차이는 스펙트럼 맞춤 입력지반운동의 목표로 사용된 도로교 설계기준의 설계 응답스펙트럼이 실제 지진기록의 응답스펙트럼보다 장주기로 갈수록 응답을 크게 평가하도록 보수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 BUILDS는 기존의 CAD 프로그랩인 BUILDS와 지식베이스룹 일판된 시스템으로 통합한 컨쓸설계용 전문가 시스댐이다. 본 시스템올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논 추론에 의해 발생된 데이 타 뜰 을다양한계산능력을가지 변서 특별한 업부 도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된 건붙의 일팔구조셜계 시스댐인 BUILDS 의 부시스템 (BUILDS - A ) 에 이용되도록 입력파일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을 기술한다.
        4,000원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속한 지진재해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통합DB 관리와 소방방재청의 지진재해대응시스템과의 연계가 가능한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국토지반정보 통합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의 입력항목에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물리탐사 및 지반의 동적 물성치 관련항목을 입력하는 항목을 추가하였다. 추후 소방방재청의 지진재해대응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의 개선 및 재해위험지도 작성의 기초자료로써의 활용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