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을 통하여 발달 장애아동의 가족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장애부모 자신의 양육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게임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3가지의 미니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게임을 통해 장애아동의 부모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특수교육학, 심리치료학, 게임학 등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융합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용 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자연사랑 교육과정 어르신들의 정서발달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발달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인관계에는 효과가 높았다. 이는 노인들이 경제적 활동이 제한되면서 특별한 취미활동을 할 수 없었고 의사소통을 나눌 가족과 이웃이 없어 무료한 일상을 보냈었다. 원예치료의 다양한 프로그램은 닫혀있던 마음을 열어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져 관계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지역의 많은 어르신들이 본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아 노인들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요가 운동이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J재활원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 16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연구대상(집단 간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통한 Leven's 등분산의 동질성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으로 실험집단은 12주간 주 2회(1회: 40분) 요가 운동은 학습 후 집단×시기별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 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및 시기별 집단 간 유의차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증(Turkey's HSD)을 실시하여 다음과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요가 운동 학습은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 시기별 정서적 행동변화는 6주 이후부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적 행동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가 운동은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적 행동 모든 하위요인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