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친환경 해충 방제를 위해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연구가 화학농약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제충국 식물은 살충제용 피레트린의 원료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 재배된 식물의 추출물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두 가지 제충국 품종에서 피레트린을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분리된 피레트린 함유 추출물의 주요 식물 해충 에 대한 효능을 조사하였다. 피레트린 함량은 프랑스에서 수입한 '계통' 품종에 비해 '달마시안' 품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달마 시안 품종의 피레트린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추출된 피레트린의 양은 추출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 며, 95%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6,064 ppm/100 g 꽃 건물중)이었다. 총 피레트린 함량과 피레트린 I/II 비율은 만개기에 수확한 꽃 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in vitro 생물검정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LC50 값은 34 ppm, 배추좀나방 유충은 69 ppm, 뿌리혹선충 유충은 0.1 ppm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재배된 달마시안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 식물 해충 방제를 위한 천연 살충제 개발에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냈 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T. cinerariifolium var. 달마시안 꽃 추출물이 국내에서 식물 해충을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방제하는 데 잠재력이 있음을 보였다.
제충국(Tanacetum cineariaiaefolium), 데리스(Derris elliptica),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은 다양한 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물추춞물 자재는 유효성분의 표기가 없고, 살충농도와 살충시간에 대한 자료가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 용화된 주요 식물추출물의 살충유효성분의 농도를 결정하고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살충농도와 살충시간을 측정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살충활성성분 인 pyrethrins, rotenone, matrine과 oxymatrine의 농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표준물질을 활용하여 질량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식물추출 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복숭아혹진딧물에 살포하여 살충력을 측정하였다. 표준화합물과 비교한 후 질량분석 및 결정했습니다. Myzus persicae에 대 한 lethal concentation과 lethal time을 조사했다. 살포 후 48시간 후 치사 농도(LC50)는 pyrethrins (20.4 ppm), roteone (34.1 ppm), matrine (29.6 ppm)였고, 100 ppm 살포한 LT50은 pyrethrins (13.4시간), rotenone (15.1시간), matrine (14.4시간)로 측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 석 결과, 100 ppm에서 세 가지 식물 추출물의 LT50은 대조구인 화학 살충제인 Sulfoxaflor를 살포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빨랐습니다. 본 결과는 복숭 아혹진딧물 방제를 위해 식물추출물의 제형화에 단일 또는 혼합 제제를 개발하는데 기준 살충농도와 살충시간을 제고하는데 의미가 있다.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 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 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 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 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evaluate toxicology of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and Melia azedarach against natural enemies in the laboratory, and the diamond backmoth, Plutella xylostella, on chinese cabbage. In the evaluation of the toxicity on predatory mite of phytoseiid Phytoseiulus persimilis, Hypoaspis aculeifer, Amblyseius cucumeris, A. wormersleyi, A. swirskii, the two plant extrac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 selective toxicity as recommen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biocontrol (IOBC). The mummies parasitic natural enemies, Trichogramma evanescens, Aphidius ervi, Aphidius colemani, Eretmocerus eremicus, Encarsia formosa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afe to the plant extracts except Eretemocerus eremicus. In the field study for the contro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single spray of C. cinerariefolium indicated that the control effect dropped from 21th days after the spraying. In the 3 times of spray with 7 says intervals, the mortality effect low at the beginning, but increased to 91.1 at 21 days after spraying. Single spray of M. azedarach showed a 96.7% mortality on P. xylostella at 14 days after spraying, and thereafter decreased. In the three times of spray with 7 days intervals of M. azedarach, the mortality of P. xylostella was 100% at 14 days and its effect was maintained to 28 days after treatment.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M. azedarach be sprayed before C. cinerariaefolium applic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extracts, Chrysanthimum cinerariefolium and Melia azedarach to natural enemies and management of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n organic strawberry fields in Jeonnam area. Plant extracts were highly toxic against Phytoseiulus persimilis, but low against Orius laevigatus. In the residual effect against Phytoseiulus persimilis, C. cinerariefolium showed lower level than M. azedarach which safe at least 1 day after spray. Emergence rates of parasitoids were about 40% at seven days after spray. Eretmocerus eremicus has very low emergence rate in treatment of M. azedarach, so it should release after spray of M. azedarach. To control of T urticae C. cinerariefolium (CC) sprayed first and then sprayed C. cinerariefolium or M. azedarach (MA) for two and three times at a week interval. In the treatment of CC+MA and CC+CC+MA, the density of T urticae was inhibited by 15th day but increased afterward. In CC+MA+CC, that of T urticae inhibit from 8 days but also increased after 15th day. In case of spray M. azedarach (MA) first, the treatment of MA+CC, MA+MA+CC, MA+CC+MA suppressed T urticae from the first day so the densy of T urticae maintained low level to 30 days after spray. It suggested that M. azedarach should spray first and then alternative spray. When C. cinerariefolium sprayed before and behind to release of P. persimilis, the density of P. persimilis maintained unchanged but could not suppress T. urticae after 8 days which T. urticae increase time. When M. azedarach sprayed, the density of T. urticae rapidly decreased. It was accompanied with P persimilis so T. urticae did not occur at 8 days aft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