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시대 산성의 축성법은 군사적 상황과 외부 충격, 그리고 외래 성제의 수용과 변용 에 따라 변화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고려 말 대몽항쟁기의 경험을 계승하여 전국적으로 대규모 입보용 산성을 수축하였으나, 1429년(세종 11) 이후 읍성 중심의 방어체계로 전 환되면서 산성은 급격히 쇠퇴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조선은 다시 산성 중심의 방어체계로 전환하였다. 명나라의 『기 효신서』가 전래되어 포루, 여장, 현안 등 새로운 축성 개념이 도입되었으나, 전시 상황의 제약으로 제한적 적용에 머물렀다. 조선 후기에는 병자호란에서의 홍이포 충격을 계기 로 성벽의 대형화·입방체화가 이루어졌으며, 포혈·돈대·총안의 표준화, 읍치의 산성 내 조성 등 구조적 변화가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축성법의 변화에는 중국 성제의 규식화와 일본 왜성의 곡륜형 옹성·완경사 성 벽·다중 성벽 구조가 영향을 주었으나, 조선은 이를 전통 기술과 융합하여 독자적 양식 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조선 산성은 단순한 방어시설을 넘어, 위기 대응과 외래 성제의 창의적 변용을 보여주는 복합적 군사 건축유산으로 평가된다.
        7,000원
        2.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읍성을 중심으로 구축된 방어체제가 한계를 드러내 자 산성의 전략적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청과 맺은 정축약조로 인해 산성 수축의 대상지가 하삼도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외방산성의 수·개축은 조선 후기 산성 축성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삼도 지역의 산성을 중심으로 문헌기록과 주요 산성의 조사성과를 검토하고 중앙의 산성과 비교하 여 살펴봄으로써 조선 후기 산성 축성법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많은 산성이 외성·중성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구조를 보이며, 대형화 되는 특징이 있다. 성벽은 병자호란 이후 수축된 남한산성의 사례처럼 허튼층쌓기에 쐐 기돌을 이용하여 틈을 보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1711년에 축성된 북한산성은 입지에 따라 성벽의 높이를 달리하고, 마름돌 층지어쌓기, 다듬돌 바른층쌓기법 등이 도 입되는데, 이후 일부 지방의 산성 축성에도 적용되었다. 수성 체계에도 변화가 나타나 화기의 사용에 대응한 방어시설로 총안과 포루가 새롭 게 도입되었다. 총안은 여장 상면에 자연석을 활용하여 축조하였으며, 포루는 치성과 결 합되거나 조망이 유리한 지점의 성벽 안쪽에 설치하였다. 남한산성의 사례와 같이 용도 (甬道)와 같이 길게 이어진 치(雉)에 포루를 결합한 형태도 보인다. 조선 후기 산성의 축성법을 검토한 결과 외방산성은 중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입지, 전략적 가치, 사회적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한 축성법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추가 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선 후기 산성의 축성법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 할 것이다.
        7,000원
        3.
        200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춤으로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에 사 용된 석회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여장의 모르타르는 기질에 석영, 장석, 운모, 휘석과 불투명 광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XRD 분석을 통해 점토 광물인 녹니석, 카올 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시료의 입도 분포가 넓고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입도의 60%가 모래영역에 해당되었다. XRF 분석 결과 석회의 주성분인 Ca은 8.71-11.18%로 나타났으며 토 양에서 확인되는 SiO2, Al2O3, Fe2O3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TG-DTA 분석 결과 약 750℃ 부근에 서 탄산칼슘의 탈탄산반응으로 인한 흡열피크와 약 10%의 중량감소율을 확인하였으며, SEM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결과 조밀하게 응집된 비정질, 능면상의 방해석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장의 사춤재는 석회와 토양이 혼합된 모르타르이며 여장의 위치나 사용부위에 따른 광물 조성 차이는 보 이지 않으므로 당시 한봉성 여장은 동일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개축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