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치원문화정원’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제3의 장소 이론과 공론장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지역 기반 문화공간이 공동체 형성과 공적 담론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공간 운영대표, 입주 작가, 연구원, 지역 주민과의 심층 인터뷰와 현장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조치원문화정원은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개방적 공 간에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과 참여 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상호작용성 을 실현하고 있었다. 둘째, 제3의 장소가 요구하는 비공식성, 반복성, 사 회적 유대 형성의 조건을 충족하는 수평적 담론의 장으로 확장될 수 있 는 가능성을 갖고 있었다. 조치원문화정원은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자율 적 참여를 바탕으로 제3의 장소이자 생활 기반 공론장의 초기 구조를 형 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적 불안정성과 운영 자원의 한계, 지역문화 기반의 미성숙은 지속가능성에 제약을 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지역 문화공간이 물리적 재생을 넘어 주민 참여와 공적 담론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향후 과제로는, 이러한 구조의 지속을 위 해 제도적 지원의 안정화와 참여 주체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proper spot to create a symbolic place for the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d to improve the connections among the place assets of Gapyeong as a place market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was conducted using space syntax.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pace formed in the axis of a total of 200. The value of total integration was 0.833, which is relatively low, and the local integration degree was 1.588 degrees. Gahwa Street has the highest value of full integration (1.264) among the major points related with the Festival, followed by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1.189). As a result,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was identified as a recommendable place for symbolic place because it is highly acce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s and spacious enough to function as a plaza. Developing a cultural street occupied by jazz cafes, concerts, shops and restaurants, and transforming the old railroad into a linear park will enhance the image of jazz city and help place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ssues on how locality can be revealed through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especially in the local environment.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substantial increase in architects and landscape architects working internationally. There are many that believe this may lead to a unifying global brand of design that overlooks the identity and specificity of place. This lead us to think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designers working internationally to understand and create a unique sense of place. Relations between contemporary design trend and local identity will be studied through case studies. Design strategies and languages on revealing locality will be also discussed with the Suncheon Education Culture Center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