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test culti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eding technology was improved because the demand for direct planting increased.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position sensor are utilized to control the seed detection system. In this paper, of seed types, RPM (Revolution per minute) variations and hole size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seeder hopper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 demand. These algorithms were composed of the process of seed monitoring and the compulsion opening system. The capacity of seeding is assumed to be 1.53kg(11.6 liters) of rice seed per 1.8km. Therefore, this detection system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capacity according to seed types, RPM and hole size.
        4,000원
        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험목적 한국에서 개발되어 한국, 북한, 중국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복토직파기술은 2006년 중국에 최초로 4개성(강소, 안후이, 상하이, 녕하회족자치구)에 도입하여 농가현장실증시험을 한 결과 그 효과가 입증이 되어 2년차인 2007년도에는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및 9개성(사천, 안후이, 호북, 절강, 상하이, 강소, 요녕, 녕하, 흑룡강)에 각각 도입하여 농가 현장실증시험을 통한 안정적인 벼 직파재배기술확립으로 획기적인 쌀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구명하고자 함. 재료 및 방법 ○ 시험 장소 -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중국 항조우) ○ 시험방법 - 포장시험 o 품종 : 浙粳22(일반벼), 甬亻尤 1호(교잡벼-Hybrid) o 파종량 : 2.25kg/10a, 3.0kg/10a, 3.75kg/10a 실험결과 ○ 규산질비료 복토에 따른 성묘율은 무처리 60%에 비하여 山東규산질비료처리구에서는 80%내외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수장, 영화수가 각각 증대되었다. ○ 수량성은 손 산파, 조파, 복토직파를 비교한 결과 10a당 각각 549kg/10a, 523kg/10a, 577kg/10a로써 복토직파재배에서 577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량(교잡벼)은 10a당 3.0kg/10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기술은 중국의 교잡벼(Hybrid)에도 그 활용성이 입증이 되었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직파법에 비하여 줄기 및 흰 뿌리가 많았으며 하위 절간이 3cm 내외 깊게 묻히어 도복에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맥류 파종기의 잦은 강우로 파종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의 파종방법으로는 습한 포장에서의 파종이 쉽지 않아 만파의 유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습 상태의 토양에서도 논에서 맥류의 파종이 가능한 새로운 파종 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99년에 벼 파종용으로 개발된 부분 경운 건답 직파기를 이용하여 논에서 맥류를 파종할 때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해 2001~2003 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가. 배수 후 1~3 일, 즉 토양수분이 각각 50% 이상, 40%, 27~30% 를 보이는 토양에서 휴립 광산파와 세조파의 경우는 정상적인 파종이 불가능하였으나 부분경운 파종기를 사용하여 파종한 경우 토양수분 40%(배수 후 2일)만 되어도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파종이 가능하였고 초기 생육도 양호하였다. 반면 세조파종법과 휴립광산파는 토양수분 40%에서 뿐만 아니라 토양수분이 27%로 낮아져도 작업기주변에 흙이 범벅이 되어 종자가 흙과 함께 쓸려가 제 위치에 종자가 놓이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파종법사이의 보리 입모 차이가 확연하였다. 나, 토양수분 함량 30-40%(배수후 2일)에 파종된 부분 경운파종구의 생육을 세조파종구와 비교해 볼 때 부분경운 파종기 구의 입모수가 충분히 확보되었고 이로 인해 수수도 충분히 확보되어 같은 수분함량에서 파종된 휴립광산파와 세조파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벼를 위해 개발된 부분경운파종법은 토양 과습시 보리의 파종작업에 유리한 점이 많아 농가에 보급되어 벼, 보리 모두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 부분경운파종기에 부착된 배토기의 배수로 폭이 14cm로 좁고 깊이도 일반배토기에 비해 얕아 배수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으므로 파종 후 과습이 계속될 경우에는 추가적인 배수로 보완 또는 작성 작업이 필요하며 잡초도 일반 포장에 비해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어 적기에 잡초방제를 해야 할 것이다